$\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최근 국내 영재교육 연구의 흐름: $2000{\\sim}2006$년도 연구물 분석
Current Trends and Future Directions of Research in the Area of Gifted Education in Korea 원문보기

英才敎育硏究 = Journal of gifted/talented education, v.17 no.2, 2007년, pp.338 - 364  

한기순 (인천대학교) ,  양태연 (인천대학교)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2000년도부터 2006년까지 국내에서 이루어진 영재교육 관련 연구물의 분석을 통하여 연도별 변화상을 분석하고 향후 국내 영재교육 연구의 방향성을 탐색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영재교육연구, 영재와 영재교육 등 영재 교육 관련 논문을 주로 게재하는 학술지와 함께 한국학술정보원의 자료 중 영재를 키워드로 하여 총 35종의 학술지에서 521개의 논문과 49개의 박사 학위 논문이 연구자료로 활용되었다. 2000년부터 2006년까지의 영재관련 논문을 크게 연구 주제와 연구대상, 연령 및 학년, 연구방법을 중심으로 분석하고 연도별 추이도 살펴보았다. 2000년부터 2006년까지 가장 많이 연구된 주제는 영재교육과정 및 프로그램에 관한 내용이며 그 다음으로는 영재성의 요인 및 발달에 관한 연구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대상은 예상대로 수학/과학 영재에 대한 연구가 가장 많았으며 언어영재와 예술영재도 꾸준히 증가하고 있고 2005년 들어 미성취 영재에 대한 많은 관심이 시작된 것으로 나타났다. 연령 및 학년에서는 중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연구된 것보다 초등생을 대상으로 한 연구들이 상대적으로 더 많았으며 2004년에 들어 유아영재에 대한 연구물이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방법은 문헌연구가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였으며 그 다음으로 조사연구가 많았으며 실험연구와 상관연구가 상대적으로 많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연구결과와 관련하여 향후 국내 영재교육 연구의 방향에 관한 시사점이 도출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current trends and future directions of research in the area of gifted education through the analysis of published manuscripts on giftedness and gifted education between $2000{\sim}2006$. About 521 articles among 35 journals and 49 dissertations...

주제어

참고문헌 (12)

  1. 조석희 (2002). 우리나라 영재교육의 현황과 필요성. 인천대학교 과학영재교육연구소 개소식 발표자료집 

  2. Barone, D. (2003). Turning the looking glass inside out: A gifted student in an at-risk setting. Gifted Child Quarterly, 47(4). 259-271 

  3. Brody, L. E. (Ed.). (2004). Grouping and acceleration practices in gifted education. Thousand Oaks, CA: Corwin Press 

  4. Coleman, L., Sanders, M., & Cross, T. (1997). Perennial debates and tacit assumptions in the education of gifted children. Gifted Child Quarterly, 41(3). 105-111 

  5. Cross, T., Stewart, R., & Coleman, L. (2003). Phenomenology and its implications for gifted studies research. Journal for the Education of the Gifted, 26(3). 201-220 

  6. Delcourt, M. A. (1994a). Evaluation of the effects of programming arrangements on student learning outcomes(Research Monograph 94108). Storrs, CT: The University of Connecticut, The National Research Center on the Gifted and Talented 

  7. Delcourt, M. A. (1994b). Qualitative extension of the learning outcomes study(Research Monograph 94110). Storrs, CT: The University of Connecticut, The National Research Center on the Gifted and Talented 

  8. Landrum, M. S., & Shaklee, B. (Eds.). (1998). Pre-K-12 gifted program standards. Washington DC: National Association for Gifted Children 

  9. Lubinski, D., & Benbow, C. P. (2000). States of excellence. American Psychologist, 55(1). 137-150 

  10. Reis, S. (Ed.). (2004). Essential readings in gifted education(series introduction). Thousand Oaks, CA: Corwin Press 

  11. Renzulli, J. S. (2002). Expanding the conception of giftedness to include co-cognitive traits and promote social capital. Phi Delta Kappan, 84(1). 33-58 

  12. VanTassel-Baska, J. (2006). A content analysis of evaluation findings across 20 gifted programs: A clarion call for enhanced gifted program development. Gifted Child Quarterly, 50(3). 199-21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