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재난인식과 재난관련 태도 및 자아탄력성이 재난간호 핵심수행능력에 미치는 융합적 영향요인
Convergence of the Factors Influencing of Disaster Perception, Disaster Attitudes and Self-Resilience on Core Competencies on Disaster Nursing 원문보기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 JCCT = 문화기술의 융합, v.6 no.1, 2020년, pp.351 - 359  

송환 (초당대학교 뷰티디자인학과) ,  김혜숙 (초당대학교 간호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재난인식과 재난관련 태도, 자아탄력성이 재난간호 핵심수행능력에 미치는 융합적 영향 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학생들은 미래 간호사로서 재난의 최전선에서 상황에 대비해야 하는 직무를 수행해야 한다는 점에서 간호학생들의 위험에 대한 재난인식, 재난관련 태도 및 실천력이 중요하다. 재난간호 핵샘수행능력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자아탄력성이었고 재난관련 교육, 재난관련 태도 순으로 확인되었다. 이와 같이 간호학생들의 재난간호 핵심수행능력을 함양시키기 위해서는 자아탄력성 부분에 초점을 맞춘 재난관련 긍정적이고 적극적인 태도와 재난관련 다양한 교육을 통하여 경험할 수 있도록 하는 융합적 실습교육과 재난간호 교육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s a descriptive research study to identify the factors of convergence effect of the University of Nursing on Core Competencies on Disaster Nursing by Disaster Perception, Disaster Attitude and Self-Resilience. The Disaster Perception, Disaster Attitude, and practical ability to prepare f...

주제어

표/그림 (5)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재난 인식과 재난관련 태도, 자아탄력성이 재난간호 핵심수행능력에 미치는 융합적 영향 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결과 재난간호 핵심수행능력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자아탄력성이었고 재난관련 교육, 재난 관련 태도 순으로 확인되었다.
  • 본 연구는 대학생들의 간호대학생의 재난 인식과 재난관련 태도, 자아탄력성이 재난간호 핵심수행능력에 미치는 융합적 영향 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 연구이다.
  • 본 연구는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재난 인식과 재난관련 태도, 자아탄력성이 재난간호 핵심수행능력에 미치는 융합적 영향 요인을 파악하여 재난간호 교육과정 개발의 기초 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 본 연구의 목적은 간호대학생의 재난 인식과 재난관련 태도 및 자아탄력성이 재난간호 핵심수행능력에 미치는 융합적 영향 요인을 파악하기 위함이다.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이에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재난인식과 재난관련 태도, 자아탄력성 및 재난간호 핵심수행능력 정도를 융합적으로 파악함으로써 간호대학생의 재난간호 관련 교육과 발전의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본 연구에서 재난간호 핵샘수행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는 무엇이 있는가? 학생들은 미래 간호사로서 재난의 최전선에서 상황에 대비해야 하는 직무를 수행해야 한다는 점에서 간호학생들의 위험에 대한 재난인식, 재난관련 태도 및 실천력이 중요하다. 재난간호 핵샘수행능력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자아탄력성이었고 재난관련 교육, 재난관련 태도 순으로 확인되었다. 이와 같이 간호학생들의 재난간호 핵심수행능력을 함양시키기 위해서는 자아탄력성 부분에 초점을 맞춘 재난관련 긍정적이고 적극적인 태도와 재난관련 다양한 교육을 통하여 경험할 수 있도록 하는 융합적 실습교육과 재난간호 교육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재난간호란 무엇인가? 재난간호란 재난으로 인해 야기된 생명과 건강에 대한 위험을 줄이기 위해 재난과 관련된 전문적인 지식과 기술을 체계적으로 이용하여 간호활동을 제공하는 것으로, 간호역량이란 지식, 기술, 판단력을 효과적으로 적용하는 수행 능력을 말한다.[2] 그러므로 재난간호 핵심수행능력이란 재난으로 인해 발생한 환자들에게 간호를 제공하는데 필요한 지식과 기술을 의미한다.
'재난 발생 시 기본인 응급처치를 할 수 있다’ 항목의 점수가 높은 이유는 무엇일까? 본 연구대상자의 재난간호 핵심 수행능력 세부 항목별로 살펴보면 ‘재난 발생 시 기본인 응급처치를 할 수 있다’ 항목이 가장 높은 점수로 나타나 [22], 간호사를 대상으로 조사한 [18]의 연구 결과와 일치한다. 이러한 결과는 본 연구대상자들은 교육과정 중 따로 재난간호를 배우지는 않았지만 취업을 위해 학 생시절에 심폐소생술(BLS Provider)의 자격증을 많이 소지하고 있거나 간호교육인증평가의 핵심기본간호술기 20개 중 기본 심폐소생술 및 제세동기 적용 항목이 있어 각 학교마다 실습을 통해 훈련하여 응급처치에 대해 배웠기 때문일 것으로 사료된다. 그러므로 훈련과 실습을 통해 미래 간호사로서 필요한 재난에 대한 대비능력 을 구축하는 것이 필요한 것으로 사료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Statistics Korea. 2014 social investigation report[Internet]. Daejeon: Statistics Korea; [cited 2014 December 26]. Available from: http://kostat.go.kr/wnsearch/ search.jsp. 

  2. A. Jenning-Sanders, N. Frisch and S. Wing. Nursing student's perception about disaster nursing. Disaster Management & Response, 3(3), 80-85, 2005. DOI : 10.1016/j.dmr.2005.04.001 

  3. T. G. Veenema. Disaster nursing and Emergency preparedness for Chemical, Biological, and Radiological terrorism. NY, New YORK: Springer Publishing Company, 2007. 

  4. M. R. Yu et al. Disaster management for health professionals. Paju-si: Soomoonsa, 2012. 

  5. M.H. Kim, Nursing Ethics Values of Nursing Students,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5(1), 59-66, 2019. DOI : 10.17703./JCCT.2019.5.1.59. 

  6. O. N. Hwang, Y. S. Kwon, and B. J. Park. Emergency and disaster nursing, Seoul: Hyunmoon Publishing, 2015. 

  7. J. C. Langan and D. C. James. Preparing nurses for disaster management. New Jersey: Pearson /Prentice Hall, 2004. 

  8. K. Usher and L. Mayner. Disaster nursing: A descriptive survey of Australian undergraduate nursing curricula. Australasian Emergency Nursing Journal, 14(2), 75-80, 2011. DOI : 10.1016/j.aenj.2011.02.005 

  9. O. C. Lee , K. C. Cho , G. S. Shin and H. C. Baek. A Historical review of disaster nursing activities in Korea(1945-2005).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4(2), 106-121, 2008. 

  10. Y. J. Park and E. J. Lee. A study on ego-resilience, disaster experience and core competencies among emergency room nurse.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21(1), 67-79, 2015. 

  11. J. Block and A. M. Kremen. (1996). IQ and Ego-resiliency: Conceptual and empirical connections and separatenes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70(2), 349-361. DOI : 10.1037//0022-3514.70.2.349 

  12. Y. R. Lee, S. J. Han, and C. M. Cho. Disaster Experience, Perception and Perceived Stress of Nursing Students. The Korean Journal of Stress Research, 24(4), 237-242, 2016. https://doi.org/10.17547/kjsr.2016.24.4.237 

  13. C. K. Schmidt, J. M. Davis, J. L. Sansers, L. A. Chapman, M. C. Cisco and A. R. Hady. Exploring Nursing students' lever of preparedness for disaster response. Nursing Education Perspectives, 32(6), 380-384. 2011. DOI : 10.5480/1536-5026-32.6.380 

  14. C. H. Woo, J. Y. Yoo and J. Y. Park. Experience, Awareness and Preparedness of Disaster among Nursing College students. Korean Review of Crisis & Emergency Management, 11(11), 19-35, 2015. DOI : 10.14251/krcem.2015.11.11.19 

  15. Ibrahim, F. A. A. Nurses' knowledge, attitudes, practices and familiarity regarding disaster and emergency preparedness-Saudi Arabia. American Journal of Nursing Science, 3 (2), 18-25, 2014. DOI :0.11648/j.ajns.20140302.12. 

  16. H. S. Baek.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Connor-Davidson Resilience Scale. Unpublished master's dissertation, Eulji University. Daejeon, 2010. DOI : 10.4306/pi.2010.7.2.109 

  17. R. Wisniewski, G. Dennik-Champion, and J. W. Peltier. Emergency Preparedness Competencies: assessing Nurses' Educational needs. J Nurs Adm, 34, 475-480, 2004. 

  18. J. Y. Noh. Nurses' perception and core competencies on disaster nursing. Unpublished master's dissertation. Yon Sei University, Seoul, 2010. 

  19. S. A. Yang. Convergence Analysis of the Factors Influencing Core Competencies on Disaster Nursing among Nursing Students.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8(3), 39-51, 2018. DOI: https://doi.org/10.22156/CS4SMB.2018.8.3.039 

  20. J. E. Park. A Convergence Study on Disaster Awareness, Disaster Preparedness, and Ego-resilience of Nursing Students.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9(11), 38-46, 2019. DOI: https://doi.org/10.22156/CS4SMB.2019.9.11.038 

  21. J. Hur & H. J. Park. Nursing students' Perception, Competency of Disaster Nursing and Ego Resilience.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15(8), 121-138, 2015. 

  22. H. J Kim. A Study on Disaster Preparedness, Core Competencies and Educational Needs on Disaster Nursing of Nursing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6(11), 7447-7455, 2015. DOI : 10.5762/kais.2015.16.11.7447 

  23. E. K. Ahn and S. K. Kim. Disaster Experience, Perception and Core Competencies on Disaster Nursing of Nursing students. The Journal of Digital Policy & Management 11(6), 257-267, 2013. 

  24. K, Tusaie and J. Dayer. Resilience: A Historical Review of the Construct. Holistic Nursing practice, 18(1), 3-8, 2004. DOI : 10.1097/00004650-200401000-00002 

  25. D. C. Uhm, Y. I. Park and H. J. Oh. Disaster Preparation of Visiting in Public Health Centers.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22(2), 240-249, 2016. DOI : 10.5977/jkasne.2016.22.2.240 

  26. J. J. Yang. The Study of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clinical competence, and satisfaction of clinical practice in nursing students.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5(1), 443-449, 2019. http://dx.doi.org/10.17703/JCCT.2019.5.1.443 

  27. S. Alim, M. Kawabata and M. Nakazawa. Evaluation of disaster preparedness training and disaster drill for nursing students. Nurses Education Today, 35(1), 25-31, 2015. 

  28. M. M. Jose and C. Dufrene. Educational competencies and technologies for disaster preparedness in undergraduate nursing education: An integrative review. Nurse Education Today, 34(4), 543-551, 2013. DOI : 10.1016/j.nedt.2013.07.021 

  29. K. H. Kang, D. C. Uhm and E. S. Nam. A Study on Disaster Experience and Preparedness of University Students.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18(3), 424-435, 2012. DOI : 10.5977/jkasne.2012.18.3.424 

  30. J. S. Kim, J. H. Kong, S. N. Choi, S. S. Kim, and E. Y. Jung. Development and Effect of Simulation-Based Disaster Nursing Education Program for Nursing College Students.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Simulation in Nursing, 7(1), 31-43, 2019. https://doi.org/10.17333/JKSSN.2019.7.1.3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