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뇌졸중 일차예방 프로그램이 뇌졸중 발생위험군의 뇌졸중 지식과 발작예상 대처행동 및 자가 관리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Primary Stroke Prevention Program on the Knowledge of Stroke, Stroke Symptom Coping Behavior and Self Management of Stroke Risk Group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6 no.11, 2015년, pp.7925 - 7933  

김은정 (진주보건대학교 간호학과) ,  공정현 (한국국제대학교 간호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뇌졸중 발생위험군을 대상으로 뇌졸중 일차예방 프로그램이 뇌졸중 발생위험군의 뇌졸중 지식, 발작예상 대처행동, 자가 관리에 미치는 효과를 파악하기 위한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 실험연구이다. 연구기간은 2014년 8월 1일부터 8월 24일이며, 자료 수집은 G도 S시에 소재한 2개의 보건지소에 등록된 대상자로 실험군 19명, 대조군 17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실험군에게 연구자가 개발한 프로그램을 4주 동안 2회/주, 1회 1시간씩 제공하였으며 대조군에게는 프로그램을 진행하지 않았다. 자료 분석은 빈도와 백분율, 카이제곱검정, paired t-test를 이용하였다. 뇌졸중 일차예방 프로그램을 실시한 후 뇌졸중 지식에서 두 군간 중재 전 후로 뇌졸중 지식 점수의 차이는 없었으나(t=1.02, p=.315) 발작예상 대처행동(t=2.51, p=.017)과 자가 관리(t=2.32, p=.026)는 두 군간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본 연구결과를 통하여 뇌졸중 일차예방 프로그램이 뇌졸중 발생 위험군의 발작예상 대처행동, 자가 관리 향상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었으나 뇌졸중 지식에 대해서는 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나 추후 반복연구가 시행되어야 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s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post-experiment research on stroke risk group to examine the effect of primary stroke prevention program on knowledge of stroke, stroke symptom coping behavior and self-management. The study was conducted from August 1 to 24, 2014 and the study data wer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와 같이 뇌졸중 발생위험군의 위험요인 관리는 뇌졸중 발병률을 낮추는데 매우 중요하지만 뇌졸중 발생위험군은 뇌졸중이 어떠한 질환인지 정확하게 알지 못하고 있어 효과적인 위험요인 관리가 이루어진다고 볼 수 없다. 그러므로 뇌졸중 발생위험군에게 뇌졸중 지식, 발작 예상 대처행동, 자가 관리를 포함한 일차예방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그 효과를 검증하고자 한다.
  • 5, 6회기는 뇌졸중에 대해 간략하게 복습을 하고 O, X 퀴즈를 통해 이해 정도를 사정하였다. 또한 초기치료의 중요성과 뇌졸중의 약물에 대해 설명을 하였다. 구체적으로 5회기에는 뇌졸중의 증상에 대해 간략하게 복습하고 뇌졸중 발생 시 초기 대처의 중요성과 뇌졸중의 예후에 미치는 영향을 설명하였고, 6회기에는 초기치료에 대해 설명하고 그 중요성을 강조하여 뇌졸중의 급성기 치료, 뇌졸중의 약물에 대해 설명하였다.
  • 본 연구는 뇌졸중 발생위험군에게 뇌졸중 일차예방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뇌졸중 지식, 발작예상 대처행동, 자가 관리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한다. 그 결과 뇌졸중 지식은 유의하게 증가되지 않았지만, 발작예상 대처행동과 자가 관리는 유의하게 증가되었다.
  • 본 연구는 뇌졸중 일차예방 프로그램이 뇌졸중 발생 위험군의 뇌졸중 지식, 발생예상 대처행동 및 자가 관리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 설계를 이용한 유사 실험연구이다.
  • 본 연구는 뇌졸중 일차예방 프로그램이 뇌졸중 발생 위험군의 뇌졸중 지식, 발작예상 대처행동, 자가 관리에 미치는 효과를 규명하기 위해 수행된 실험연구이다. 연구의 결과 뇌졸중 일차예방 프로그램을 제공받은 실험군은 뇌졸중 일차예방 프로그램을 제공받지 않은 대조군보다 발작예상 대처행동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고, 자가 관리 점수도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되었다.
  • 본 연구의 목적은 뇌졸중 일차예방 프로그램이 뇌졸중 발생위험군의 뇌졸중 지식, 발작예상 대처행동 및 자가 관리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기 위함이며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가설 설정

  • 둘째, 뇌졸중 일차예방 프로그램을 제공받은 실험군은 제공받지 않은 대조군보다 발작예상 대처행동 점수가 높을 것이다.
  • 셋째, 뇌졸중 일차예방 프로그램을 제공받은 실험군은 제공받지 않은 대조군보다 자가 관리 점수가 높을 것이다.
  • 첫째, 뇌졸중 일차예방 프로그램을 제공받은 실험군은 제공받지 않은 대조군보다 뇌졸중 지식이 높을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자가 관리란 무엇을 의미하는가? 자가 관리는 개인이 각자의 삶과 정상적인 신체 기능 유지 및 질병을 예방 또는 조절하기 위해 수행하는 광범위한 일상생활 활동을 의미한다[17]. Chiuve, Rexrode, Spiegelman[18]은 모든 뇌졸중 환자의 절반 이상이 건강한 생활습관 실천의 부족과 관련이 있어 자가 관리를 통한 건강한 생활습관을 유지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하였고, Sander[19]는 뇌졸중의 위험요소를 감소시켜 건강한 생활을 하도록 격려하는 것이 간호사의 역할이라고 하였다.
뇌졸중 위험인자에는 무엇이 있는가? 뇌졸중의 예후는 수 시간 내에 적절한 처치가 이루어지지 않으면 영구적인 신경학적 장애를 남기거나 사망에 이를 수 있으며[3], 뇌졸중 환자의 약 15-20%는 사망에 이르게 되고, 70-75%는 뇌의 침범 영역에 따라 다양한 기능장애를 갖게 된다[4]. 이러한 뇌졸중 위험인자들은고혈압, 당뇨병, 흡연, 고지혈증, 비만, 심방세동, 심혈관 질환, 운동부족, 무증상 경동맥 협착 등이 있으며 이들은 뇌졸중의 유병률이 높으며 조절 가능한 위험인자들이다[5]. Park 등[6]은 한국인의 허혈성 뇌졸중 위험 인자의 유병률에 대한 체계적인 문헌 고찰을 실시한 결과 고혈압 유병률은 17.
뇌졸중 지식을 증가시키기 위한 교육이 매우 필요하다고 주장하는 근거는? 이러한 뇌졸중의 징후 및 경고증상에 대한 지식은 뇌졸중 발생 시 올바르게 대처하여 신속한 병원 방문과 성공적인 뇌졸중 초기 치료의 중요한 요인이며[12], 뇌졸중의 위험 인자를 알고 있다면 보다 쉽게 예방치료를 시작하고 치료 순응도를 높이고[13], Noh와Shin[14]는 뇌졸중 발생위험 군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뇌졸중 지식이 높을수록 건강증진행위가 높다고 하였다. 그러나 Park 등[13]이 일반시민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뇌졸중이 뇌혈관의 문제로 생각하는 사람이 55.4%로 반수를 겨우 넘어 많은 사람들이 뇌졸중이 어떤 질환인지에 대해 정확하게 모르고 있으며, 무엇보다 뇌졸중 위험 인자를 가지고 있는 군과 그렇지 않은 군 간의 위험인자에 대한 인식 차이가 없어 뇌졸중의 위험인자를 조절하는 일차 의료에서 뇌졸중의 위험요소에 대한 정보를 충분히 제공하지 않고 있다. 그러므로 뇌졸중 지식을 증가시키기 위한 교육이 매우 필요하다[1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Health Insurance Review & Assessment Service. Acute Stroke Evaluation 2010 Report, retrieved December, 12, 2010, from http://www.hira.or.kr/co/search.do?collection 

  2. Clinical Research Center For Stroke, Clinical practice guideline for stroke, retrieved February, 4, 2013, from http://www.stroke-crc.or.kr 

  3. S. M. Kang, "An effect of the secondary stroke prevention education program on self-care of acute ischemic stroke patien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Konkuk University, Seoul, 2005. 

  4. K. Hardie, G. J. Hankey, K. Jamrozik, R. J. Broadhurst, C. Anderson, "Ten-year risk of first recurrent stroke and disability after firt-ever stroke in the perth community stroke study", Stroke, 35(3), pp. 731-735, 2004. DOI: http://dx.doi.org/10.1161/01.STR.0000116183.50167.D9 

  5. L. B. Goldstein, R. Adams, M. J. Alberts, L. J. Appel, L. M. Brass, C. D. Bushnell, A. Culebras, T. J. DeGraba, P. B. Goerlick, J. R. Guyton, R. G. Hart, G. Howard, M. Kelly-Hayes, J. V. Nixon, R. L. Sacco, "Primary prevention of ischemic stroke: a guideline from the American Heart Association/American Stroke Association Stroke Council: cosponsored by the atherosclerotic peripheral vascular disease interdisciplinary working group; cardiovascular nursing council; clinical cardiology council; nutrition, physical activity, and metabolism council; and the quality of care and outcomes research interdisciplinary working group", Circulation, 113(24), pp. e873-923, 2006. DOI: http://dx.doi.org/10.1161/01.str.0000223048.70103.f1 

  6. T. H. Park, M. K. Kim, K. B. Lee, J. M. Park, S. J. Lee, K. H. Jung, Y. J. Cho, J. S. Lee, J. Y. Lee, H. J. Bae, "Prevalence of risk factors for ischemic stroke in korean: a systematic review", Journal of the Korean Neurological Association, 27(1), pp. 19-27, 2009. 

  7. M. Ezzati, S. V. Hoorn, A. Rodgers, A. D. Lopez, C. D. Mathers, C. J. Murrary, "Estimates of global and regional potential health gains from reducing multiple major risk factors", Lancet, 362(9380), pp. 271-280, 2003. DOI: http://dx.doi.org/10.1016/S0140-6736(03)13968-2 

  8. W. Feinberg, "Primary and secondary stroke prevention", Current Opinion in Neurology, 9(1), pp. 46-52, 1996. DOI: http://dx.doi.org/10.1097/00019052-199602000-00010 

  9. J. W. Ok, "Effects of primary stroke prevention program on self-efficacy, self-care compliance and risk indicators of the stroke high risk group".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Ehwa Womans University, Seoul. 2007. 

  10. E. T. Miller, J. Spilker, "Readiness to change and brief educational interventions: successful strategies to reduce stroke risk", Journal of Neuroscience Nursing, 35(4), pp. 215-222, 2003. DOI: http://dx.doi.org/10.1097/01376517-200308000-00009 

  11. S. Sug Yoon, R. F. Heller, C. Levi, J. Wiggers, P. E. Fitzgeral, "Knowledge of stroke risk factors, warning symptoms, and treatment among an Australian urban population", Stroke, 32, pp. 1926-1930, 2001. DOI: http://dx.doi.org/10.1161/01.STR.32.8.1926 

  12. S. C. Lee, W. Kim, K. S. Lim, "Original articles: factors associated with early presentation and rapid imaging evaluation of acute strok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Emergency Medicine, 16(3), pp. 363-370, 2005. 

  13. B. S. Park, J. M. Lee, S. B. Ko, B. J. Kim, M. G. Park, K. W. Park, C. Shin, "Ansan citizen's knowledge of stroke", The Korean Neurological Association, 20(4), pp. 339-345, 2002. 

  14. J. H. Noh, Y. H. Shin, "Probability of stroke, knowledge of stroke, and health-promoting lifestyle in stroke risk groups", The Korean Journal of Fundamentals of Nursing, 21(2), pp. 174-182, 2014. DOI: http://dx.doi.org/10.7739/jkafn.2014.21.2.174 

  15. N. Y. Han, E. A. Ko, S. Y. Hwang, "Knowledge of stroke symptoms and risk factors among older adults",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Adult Nursing, 21(3), pp. 314-323, 2009. 

  16. S. Billings-Gagiardi, K. M. Mazor,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stroke action test", Stroke, 18(2), pp. 1-5, 2005. 

  17. J. J. Jun, A. K. Kim, S. O. Choi, J. H. Ae, M. K. Choi, S. A. Jang, "Development of a scale to measure self-care for korean patients with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3(1), pp. 9-16, 2003. 

  18. S. Chiuve, K. Rexrode, D. Spiegelman, "Primary prevention of stroke by healthy lifestyle", Circulation, 118(9), pp. 947-954, 2008. DOI: http://dx.doi.org/10.1161/CIRCULATIONAHA.108.781062 

  19. R. Sander, "Prevention and treatment of acute ischemic stroke", Nursing Older People, 25(8), pp. 34-38, 2013. DOI: http://dx.doi.org/10.7748/nop2013.10.25.8.34.e438 

  20. M. S. Lee, "Relating factors and health promoting behaviors of stroke patien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Catholic University of Pusan, Pusan, 2004. 

  21. B. B. Stern, M. E. Berman, J. J. Thomas, A. C. Klassen, "Community education for stroke awareness: an efficacy study", Stroke, 30(4), pp. 720-723, 1999. 

  22. C. D. DeLemos, R. P. Atkinson, S. L. Croopnick, D. A. Wentworth, P. T. Akins, "How effective are 'community' stroke screening programs at improving stroke knowledge and prevention practices? Results of a 3-month follow-up study", Stroke, 34(12), pp. e247-e249, 2003. DOI: http://dx.doi.org/10.1161/01.STR.0000098901.97350.7D 

  23. D. F. Willoughby, L. Sanders, A. Privette, "The impact of a stroke screening program", Public Health Nursing, 18(6), pp. 418-423, 2001. DOI: http://dx.doi.org/10.1046/j.1525-1446.2001.00418.x 

  24. R. H. Rehe, C. Scalzi, K. Shinal, "A teaching evaluation questionnaire for post myocardial patients", Heart & Lung, 4(5), pp. 759-766, 1975. 

  25. H. R. Lee, "Health knowledge of stroke, health promoting, behavior and health risk indicators of stroke patients in a university hospital", Unpublished master's thesis, Inha University, Incheon, 2010. 

  26. M. K. Lee, "A study on health promoting behavior and neurologic symptom coping behavior of risk group for stroke",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onbuk National University, Chonbuk, 2010. 

  27. Y. W. Lee, "A study of the effect of an efficacy expectation promoting program on self efficacy and self-care",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Yonsei University, Seoul, 1994. 

  28. E. M. Kim, J. Y. Hong, "Effect of stroke health education on knowledge of stroke for rural elder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Rural Health Nursing, 4(2), pp. 103-109, 2009. 

  29. S. M. Kang, E. J. Yoon, "An effect of the secondary stroke prevention education program on self-care of acute ischemic stroke patients", Korean Society of Adult Nursing, 7(4), pp. 646-655, 2005. 

  30. Y. H. Lee, Y. T. Kim, K. J. Oh, N. H. Kim, K. H. Jo, H. Y. Park, H. S. Lee, Y. S. Ha, J. S. Jeong, J. K. Park, K. S. Lee, H. S, Kim, "Effects of community-based education and advocacy intervention on public awareness about the warning signs of stroke and the golden window of time", Korean Journal of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32(1), pp. 1-10, 2015. 

  31. M. Y. Ham, "An effects of individualized early rehabilitation education program for patients acute ischemic cerebrovascular disease",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Chung Ang University, Seoul, 200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