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대학 영재원 영재선발시험의 단계별 연관성에 관한 연구 : 창의성의 일반 영역적 관점과 특수 영역적 관점에서
Analysing a Selective Examination for the Gifted and Talented : on the basis of domain-general and specific viewpoint of creativity in a college gifted center 원문보기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earth science education, v.8 no.3, 2015년, pp.259 - 266  

채동현 (전주교육대학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s to analyze a selective examination for the gifted and talented from a domain-general and special standpoint. For this, we analyzed gifted and talented test results carried out by Gifted and Talented Education institute affiliated with the university of Education located in the centr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Pearson적률상관계수 분석에 의하면 1차 영재성 검사, 2차 학문적성 검사, 3차 면접이 거의 상관이 없다는 결과로 보아 3차례의 검사가 영재들의 각기 다른 특성들을 평가하고 있는 것으로 볼 수 있으며, 특히 1차 영재성 검사와 2차 학문적성 검사의 결과는 아주 낮은 상관관계를 보이는 것으로 보아 2차 학문적성 검사가 검사의 취지에 맞게 영재성의 영역 특수적인 관점에서 이루어졌음을 알 수 있다. 아울러 교과별로 상관관계를 조사해 보았다.
  • 이 연구는 초등학교 각 영역별 영재 선발 과정에서 실시된 검사의 결과에 대해 영역 일반적인 관점에서와 영역 특수적인 관점에서 집단 간 그리고 검사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가를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분석 결과 영역 일반적인 관점에서 실시한 1차 영재성 검사에 대한 국어영재, 영어영재, 수학영재, 과학영재 간의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 이 연구의 목적은 영재선발 시험에 최종 통과한각 교과별(국어, 영어, 수학, 과학) 영재들을 대상으로 영재선발 시험 점수를 비교하여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 영재교육원에 선발된 학생들의 영재성에 대해 영역 일반성(domain-generality)과 영역 특수성(domain-specificity) 관점에서 비교, 분석하는 것이다. 연구 대상은 우리나라 중부지방에 위치한 G시 교사양성기관 부설 영재교육원 소속 학생 80명이었다.
  • 이번 연구는 창의성과 더불어 영재에 대한 최근 연구들의 관점인 영역 일반성과 영역 특수성 측면에서 영재 선발 시험이 어떻게 치러지고 있는지 조사하는데 그 의의가 있었다. 한 지역에서 이루어지는 시험을 가지고만 분석하였기 때문에 일반화하는데는 제한점이 있으나 이번 연구는 영재 선발에 있어서 영역 일반성과 특수성에 대한 점을 고려해야 함을 시사해준다고 할 수 있다.
  • 이는 영재를 선발함에 있어 영역 일반적인 시각에서 뿐만 아니라 학문적 적성이 반영된 영역 특수적인 관점에서의 평가도 이루어져야 한다는 것이다. 이에 이번 연구에서는 영재 선발 과정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다단계 평가 과정 중 실시되는 여러 가지 검사들을 영역 일반적인 관점과 영역 특수적인 관점에서 분석해보고자 한다. 이를 통해 합당한 영재 교육 대상자 선발을 위한 검사나 평가가 나아가야 할 방향의 시사점을 제시할 수 있으리라 사료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영재 교육을 계획함에 있어 가장 먼저 이루어져야 하는 일은? 영재 선발은 영재 교육을 계획함에 있어 가장 먼저 이루어져야 하는 일이다(Davis & Rimm, 2003). 최근 우리나라의 영재 선발 과정을 보면 다단계 선발을 통해 이루어지고 있으나, 일부에서는 영재교육의 성공을 좌우하는 영재교육 대상자의 판별 및 선발에 대해 확신하기 어렵다(Park, 2004; Lee et al.
관찰․추천제 또는 역동적 평가제란? 그러나 최근에는 이러한 지필 시험을 통해 선발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영재 선발 과정에 다면적 평가의 관점에서 영재를 관찰․추천하는 역동적 평가제(dynamic assessment)가 도입되어 시행되고 있다. 관찰․추천제 또는 역동적 평가제는 학교에서 교사가 다양한 상황과 조건에서 학생들에게 교과 지식을 가르치고, 학생의 행동을 관찰하면서 지능검사에 의해 쉽게 식별되지 않는 영재성의 특성을 찾아내어 영재를 선발 추천하는 제도를 말한다. 이와 관련하여 Siegle과 Powell(2004)은 관찰․추천에 의한 영재성 판별이 대상 학생의 영재적 행동 특성을 예측하는데 타당한 기준이 된다고 설명하였다.
영재성과 창의성을 바라보는 관점이 영역 일반적 시각과 특수적 시각이 있다는 것의 의미는 무엇인가? , 2000-2001)과 영역 특수적인 시각(Feldhusen, 1994; Baer, 1996, 1999; Diakidoy & Spanoudis, 2000)으로 나눌 수 있다. 이는 영재를 선발함에 있어 영역 일반적인 시각에서 뿐만 아니라 학문적 적성이 반영된 영역 특수적인 관점에서의 평가도 이루어져야 한다는 것이다. 이에 이번 연구에서는 영재 선발 과정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다단계 평가 과정 중 실시되는 여러 가지 검사들을 영역 일반적인 관점과 영역 특수적인 관점에서 분석해보고자 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5)

  1. Baer, J. (1996). The effect of task-specific divergent-thinking training. The Journal of Creative Behavior, 30(1), 183-187. 

  2. Baer, J. (1999). Domains of creativity. In M. A. Runco, & S. R. Pritzker (Eds.), Encyclopedia of creativity (pp. 591-596). NY: Academic Press. 

  3. Davis, G. A., & Rimm, S. B. (2003). Education of the gifted and talented. Boston: Prentice Hall. 이경화, 최병연, 박숙희 공역(2005). 영재교육. 서울: 박학사. 

  4. Diakidoy, I. N., & Spanoudis, G. (2002). The issue of domain specificity in creativity testing: A comparison of performance on general divergent-thinking test and a paralled content-specific test. The Journal of Creative Behavior, 36(1), 41-61. 

  5. Eisenberger, R., & Cameron, J. (1998). Reward, intrinsic motivation, and creativity: New findings. American Psychologist, 53(6). 673-682. 

  6. Feldhusen, J. F. (1994). Teaching and testing for creativity. In The international encyclopedia of education(2nd ed., 1178-1183). NY: Pergamon Press. 

  7. Jeon, D. R., Kim, S. H., Nam, K. U., Park, M. J., Son, Y. M., & Lee, K. H. (2007). Deternination of the Sciece Gifted & Prior Learning. 2006 Report of the University Conjunction Cooperation, 2007-25. 

  8. Jung, H. C. (2010). Changes in gifted education policies and development strategies. 1st Gifted and Talented Education Forum Proceeding. The Korea Foundation for the Advancement of Science and Creativity. 

  9. Lee, J. H. (2010). Potential Gifted Selection Methods(In Terms of the Observation and Nomination System). 1st Gifted and Talented Education Forum Proceeding. The Korea Foundation for the Advancement of Science and Creativity. 

  10. Lee, K. Y., Dong, H. K., Hong, J. E., Kim, H. K., & Jo, B. J. (2008).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Analysis of Paper-Pencil Test Items for Exploring its Appropriateness as a Selection Tool of the Gifted in Science.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28(1), 32-46. 

  11. Lee, K. P., Choi, S. D., Hwang, S. K., & Lee, K. P. (1999). Analyses of the Test Problems for Admission at the Science Education Center for Gifted Youth.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19(4), 604-621. 

  12. Park, K. H. (2004). Development of the scientific creativity test and analysis of gifted in science students' brain functions.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Doctoral Dissertation. 

  13. Runco, M. A., Plucker, J. A., & Lim, W. (2000-2001). Development and psychometric integrity of a measure of ideational behavior. Creativity Research Journal, 13(3 & 4). 393-400. 

  14. Ryu, S. R. (2009). A Case Study of the Result Analysis of Selection Test Items of Gifted Children in mathematics.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23(2), 349-381. 

  15. Siegle, D., & Powell, T. (2004). Exploring teacher biases when nominating students for gifted programs. Gifted Child Quarterly, 48(1), 21-29.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