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이용자 참여형 참고 서비스 개발을 위한 질문 유형 구분에 대한 문헌적 고찰
Literature Review of Queston Taxonomy for Developing User-participatory Reference Service 원문보기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v.49 no.4, 2015년, pp.401 - 417  

박종도 (중앙대학교 문헌정보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질문 분류는 질의응답과정에서 질문자의 정보요구를 이해하고 주어진 질문에 대해 적합한 답변을 제공하기 위한 중요한 방법 중의 하나이다. 이 연구의 목적은 온라인 및 도서관에서 활용 가능한 질의응답 서비스의 질문 분류체계를 조사해보고, 각 질의응답서비스의 유형별로 어떠한 특징이 있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도서관의 참고서비스 및 온라인 상의 소셜 레프런스, 자동 질의응답 시스템을 대상으로 질문을 어떻게 분류하여 활용하고 있는지를 문헌 조사를 통해 살펴보고 종합하여 질문의 유형을 정리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Question taxonomy is one of main approaches to understand the questioner's information need so that we can assign relevant answerers to the question submitted by the user.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question taxonomy of question and answering services, which are available online and i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인간은 자신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스스로, 가족에게, 친구에게, 이웃에게, 모르는 낯선 사람에게 끊임없이 질문한다. 나아가, 자신의 정보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도서관의 서비스를 이용해 질문하거나 온라인 상의 다른 이용자에게 질문한다. 더 나아가 START1)와 같은 질의응답시스템(Question Answering System)을 통해서도 이용자들이 질문하고 그에 대한 해답을 얻고자 한다.
  • 나아가, 자신의 정보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도서관의 서비스를 이용해 질문하거나 온라인 상의 다른 이용자에게 질문한다. 더 나아가 START1)와 같은 질의응답시스템(Question Answering System)을 통해서도 이용자들이 질문하고 그에 대한 해답을 얻고자 한다. 즉, 이용자들이 이용가능한 질의응답 서비스가 온라인 및 오프라인에 다양한 형태로 존재하고 있다.
  • 본 연구자가 지향하는 궁극적인 목표는 이용자의 정보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하여 이용자의 질문에 답변을 제공하기 위해, 도서관의 참고서비스를 중심으로 온라인 상의 소셜 레프런스 서비스 및 자동 질의응답 시스템을 종합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기초를 마련하는 데 있다. 본 연구에서는 그 출발점으로 서로 다른 질의응답 서비스에서 이용자의 질문의 유형을 어떻게 구분하고 있는지 살펴보고, 이를 토대로 각 서비스의 특징을 이해하고 이를 서비스에 활용할 수 있도록 방향을 제시하는 데 있다.
  • 본 연구에서는 도서관의 참고서비스, 자동 질의응답 시스템, 소셜 레프런스사이트를 대상으로 한 문헌을 통하여 다루어지고 있는 질문의 유형을 살펴보았다. 이러한 질문의 유형은 연구자들의 연구목적에 따라 다양하게 조사되었는데, 몇몇 연구자들은 질문의 유형을 체계적으로 구분하기 위한 분류체계를 여러 학문의 이론을 채택하여 적용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온라인 및 오프라인에서 이용가능한 질의응답 서비스를 제공하는 도서관의 참고서비스, 질의응답시스템, 소셜 레프런스를 대상으로, 각각의 질의응답 서비스에서 다루고 있는 질문의 유형을 종합적으로 살펴보고 비교하여 서로의 유사점과 차이점을 알아보고자 한다. 이를 바탕으로, 향후 이용자에게 질의응답 서비스를 제공함에 있어서 여러 유형의 질의응답 서비스를 융합하여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연구의 토대를 마련하고자 한다.
  • 본 연구자가 지향하는 궁극적인 목표는 이용자의 정보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하여 이용자의 질문에 답변을 제공하기 위해, 도서관의 참고서비스를 중심으로 온라인 상의 소셜 레프런스 서비스 및 자동 질의응답 시스템을 종합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기초를 마련하는 데 있다. 본 연구에서는 그 출발점으로 서로 다른 질의응답 서비스에서 이용자의 질문의 유형을 어떻게 구분하고 있는지 살펴보고, 이를 토대로 각 서비스의 특징을 이해하고 이를 서비스에 활용할 수 있도록 방향을 제시하는 데 있다.
  • 이 절에서는 각각의 영역의 문헌을 바탕으로 질문을 어떠한 유형으로 구분하고 있으며 어떠한 질문 분류체계를 가지고 있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아울러 질문의 일반적인 분류체계의 예로 철학, 교육학, 언어학의 영역으로부터의 주목할만한 분류체계를 소개하고자 한다.
  • 질의응답 서비스와 관련된 참고서비스, 소셜 Q&A, 질의응답 시스템의 영역에서 각각 다루고 있는 질문의 유형 또는 이에 대한 분류체계가 매우 다양하게 존재한다. 이 절에서는 각각의 영역의 문헌을 바탕으로 질문을 어떠한 유형으로 구분하고 있으며 어떠한 질문 분류체계를 가지고 있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아울러 질문의 일반적인 분류체계의 예로 철학, 교육학, 언어학의 영역으로부터의 주목할만한 분류체계를 소개하고자 한다.
  • 를 수행하였다. 이 프로젝트의 주요 목표는 협업 기반 가상참고서비스(Collaborative VRS)에 필요한 도서관의 예산이 점점 부족해지는 가운데 가상참고서비스의 협업의 영역을 소셜 레프런스로 확장하기 위한 모델을 제안하기 위한 것이었다. 즉, 사이버 시너지 프로젝트는 도서관의 가상참고서비스를 소셜 네트워크 환경으로 연계, 확장할 수 있는지 그 가능성을 조사해보기 위한 실험적인 프로젝트였다.
  • 본 연구에서는 온라인 및 오프라인에서 이용가능한 질의응답 서비스를 제공하는 도서관의 참고서비스, 질의응답시스템, 소셜 레프런스를 대상으로, 각각의 질의응답 서비스에서 다루고 있는 질문의 유형을 종합적으로 살펴보고 비교하여 서로의 유사점과 차이점을 알아보고자 한다. 이를 바탕으로, 향후 이용자에게 질의응답 서비스를 제공함에 있어서 여러 유형의 질의응답 서비스를 융합하여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연구의 토대를 마련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질의응답시스템의 급격한 기술의 발전은 어떤 환경을 제공하는가? 한편, 최근 질의응답시스템의 급격한 기술의 발전은 이용자들이 자연어의 형태로 시스템에 질의하고 그에 대한 답변을 시스템을 통해 신속하게 제공받을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할 수 있게 되었다.
질문 분류란 무엇인가? 질문 분류는 질의응답과정에서 질문자의 정보요구를 이해하고 주어진 질문에 대해 적합한 답변을 제공하기 위한 중요한 방법 중의 하나이다. 이 연구의 목적은 온라인 및 도서관에서 활용 가능한 질의응답 서비스의 질문 분류체계를 조사해보고, 각 질의응답서비스의 유형별로 어떠한 특징이 있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소셜 레프런스(Social Reference) 사이트를 이용하는 고객들이 증가함에 따라 도서관 이용에 나타나는 문제점은 무엇인가? 이와 같이, 도서관 및 도서관 이용자의 주변환경이 급격하고 다양하게 변화하고 있다. 특히, 온라인 상에서의 이용가능한 질의응답 서비스가 다양하게 존재할 뿐만 아니라, 컴퓨터를 이용한 질의응답 시스템의 기술발전과 서비스의 등장으로 인해 도서관의 주요 서비스 중의 하나인 참고서비스에 있어서 이용자의 수가 급격하게 감소하는 위기에 처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즉, 이용자들은 도서관의 질의응답 서비스가 영향이 미치지 않는 커뮤니티 기반 질의응답(Community-based Q&A, CQA) 사이트와 같은 소셜 레프런스(Social Reference) 사이트를 자주 이용하면서 그곳에서 자신들이 가지고 있는 정보 요구에 대해 질문하고 그에 대한 대답을 온라인 상의 다른 이용자들로부터 구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유재옥. 2000. 대학도서관의 웹기반 전자참고정보 서비스에 관한 연구. 정보관리학회지, 17(4): 171-186.(Yoo, Jae-Ok. 2000. "A Study on Web-Based Electronic Reference Services of Academic Librarie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17(4): 171-186.) 

  2. 이명희. 2009. 교육학분야 전문도서관에서 제공되는 디지털참고정보서비스에 관한 연구. 한국비블리아학회지, 20(4): 51-65.(Lee, Myeong-Hee. 2009. "A Study on Digital Reference Services in an Educational Research Library: Focusing on Types of Questions among Subareas of Education." 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20(4): 51-65.) 

  3. 이병기. 2010. 교육목표분류학에 의한 정보활용과정모형의 재구조화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41(2): 107-126.(Lee, Byeong-Ki. 2010. "Study on the Restructure of Information Literacy Process Based on Taxonomy Educational Objectives."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41(2): 107-126.) 

  4. 장혜란, 이경숙. 2014. 협동 디지털참고서비스의 질문 분석. 정보관리학회지, 31(4): 7-28.(Chang, Hye Rhan and Yi, Kyung Suk. 2014. "Question Analysis of the Collaborative Digital Reference Service at the National Library of Korea."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31(4): 7-28.) 

  5. 하재홍. 2010. 소크라테스식(문답식) 교수법. 이화여자대학교 법학논집, 14(4): 281-307.(Ha, Jai-Hong. 2010. "On Socratic Method." Ehwa Law Journal, 14(4): 281-307.) 

  6. Airasian, P. et al. 2001. A Taxonomy for Learning, Teaching, and Assessing: A Revision of Bloom's Taxonomy of Educational Objectives. London: Pearson. 

  7. Arnold, J. and Kaske, N. 2005. "Evaluating the Quality of a Chat Service." Portal: Libraries and the Academy, 5(2): 177-193. 

  8. Fagan, J. and Desai, C. 2003. "Site Search and Instant Messaging Reference: A Comparative Study." Internet Reference Services Quarterly, 8(1/2): 167-182. 

  9. Gazan, R. 2011. "Social Q&A." Journal of the American Society for Information Science and Technology, 62(12): 2301-2312. 

  10. Harper, F. et al. 2008. "Predictors of Answer Quality in Online Q&A Sites." In Proceedings of the SIGCHI Conference on Human Factors in Computing Systems, 1-10. 

  11. Harper, F. et al. 2010. "Question Types in Social Q&A Sites." First Monday, 15(7): 1. 

  12. Ignatova, K. et al. 2009. "Annotating Question Types in Social Q&A Sites." In Proceedings of the Tagungsband des GSCL Symposiums Sprachtechnologie and eHumanities, 1-6. 

  13. Katz, W. 1987. Introduction to Reference Work. New York: McGraw-Hill. 

  14. Kim, S., Oh, J. and Oh, S. 2007. "Best-Answer Selection Criteria in a Social Q&A Site from the User-Oriented Relevance Perspective." In Proceedings of the American Society for Information Science and Technology, 44(1): 1-15. 

  15. Kwon, N. 2007. "Public Library Patrons' Use of Collaborative Chat Reference Service: The Effectiveness of Question Answering by Question Type."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Research, 29: 70-91. 

  16. Nam, K., Ackerman, M. and Adamic, L. A. 2009. "Questions in, Knowledge in? A Study of Naver's Question Answering Community." In Proceedings of the SIGCHI Conference on Human Factors in Computing Systems, 1-10. 

  17. Patterson, R. 2001. "Live Virtual Reference: More Work and More Opportunity." Reference Services Review, 29(3): 204-209. 

  18. Pomerantz, J. 2005. "A Linguistic Analysis of Question Taxonomies." Journal of the American Society for Information Science & Technology, 56(7): 715-728. 

  19. Rawson, J. et al. 2013. "Virtual Reference at a Global University: An Analysis of Patron and Question Type." Journal of Library & Information Services in Distance Learning, 7(1/2): 93-97. 

  20. Ryan, S. M. 2008. "Reference Transactions Analysis: The Cost-Effectiveness of Staffing a Traditional Academic Reference Desk." Journal of Academic Librarianship, 34(5): 389-399. 

  21. Sears, J. 2001. "Chat Reference Service: An Analysis of One Semester's Data." Issues in Science and Technology Librarianship, 32: 200-206. 

  22. Shachaf, P. 2010. "Social Reference: Toward a Unifying Theory." Library & Information Science Research, 32(1): 66-76. 

  23. Shah, C. and Kitzie, V. 2012. "Social Q&A and Virtual Reference-Comparing Apples and Oranges with the Help of Experts and Users." Journal of the American Society for Information Science and Technology, 63(10): 2020-2036. 

  24. Taylor, R. 1968. "Question-Negotiation and Information Seeking in Libraries." College & Research Libraries, 29(3): 178-194. 

  25. Voorhees, E. and Tice, D. 2000. "Overview of the TREC-9 Question Answering Track." In Proceedings of the Ninth Text Retrieval Conference, 1-9. 

  26. Ward, D. 2011. "Expanding the Reference Vocabulary: A Methodology for Applying Bloom's Taxonomy to Increase Instruction in the Reference Interview." Reference Services Review, 39(1): 167-180. 

  27. Zhang, Y. and Deng, S. 2014. "Social Question and Answer Services Versus Library Virtual Reference: Evaluation and Comparison from the Users' Perspective." Information Research: An International Electronic Journal, 19(4): 1-1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