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흉부 X-선 검사에서 복부비만에 따른 입사표면선량과 영상 왜곡도 평가
Assessment of Entrance Surface Dose and Image Distortion in Accordance with Abdominal Obesity in the Chest Radiography 원문보기

한국방사선학회 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Radiology, v.9 no.7, 2015년, pp.473 - 478  

김부순 (대구보건대학교 방사선과) ,  박정규 (대구보건대학교 방사선과) ,  권순무 (대구보건대학교 방사선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사회 인구학적 특성을 보정 하였을 때 대사 증후군의 예측에 가장 높은 연관이 남녀 모두에서 비만-복부 비만군이라고 보고되고 있으며, 의료기기의 발전과 더불어 방사선에 대한 피폭선량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에 흉부 X선 검사에서 복부의 비만정도를 가정하여 흉부팬텀에서 앞쪽방향(forward)으로 각도를 부여한 후 기준영상과 비교하여 입사표면선량과 영상의 왜곡 정도를 평가하였다. 흉부팬텀의 각도가 앞쪽방향으로 $5^{\circ}$ 증가할 때 마다 폐의 가로직경은 1.22%, 세로직경은 0.44% 증가하였다. 심장직경은 앞쪽방향으로 $5^{\circ}$ 증가할 때 마다 1.01% 증가, CTR은 0.27% 감소가 관찰되었다. 그 중 폐의 가로직경이 가장 큰 증가, 폐의 세로직경이 가장 작은 증가를 보였고 CTR은 작은 감소를 보였다. 그러나 팬텀에 입사하는 표면선량 측정의 경우, 흉부팬텀의 각도가 앞쪽방향으로 $5^{\circ}$ 증가할 때 마다 6.12%의 비교적 큰 증가를 보였다. 임상에서 흉부 X-선 후전방향촬영을 시행하는 경우, 복부비만 등으로 인해 흉부의 각도가 기울어짐에 따라 영상의 왜곡뿐만 아니라 환자에게 노출되는 선량이 증가되고 재촬영으로 추가적인 방사선 피폭이 발생될 수 있으므로 올바른 위치잡이에 주의를 기울여 환자의 방사선피폭 감소에 노력을 해야 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bdominal obesity is one of the most influential index to predict of insulin resistance syndrome/metabolic syndrome in social demographic characteristics. It is matter of fact that radiation dose are increasing with development of medical treatment and device. In this study, we estimated distortion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인체팬텀을 이용하여 최근 증가하고 있는 복부비만의 정도를 가정하여 인체에 각도변화를 부여한 후 흉부영상을 획득하고 각도변화에 따른 입사표면선량의 변화와 영상의 왜곡정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흉부 X-선 후전방향촬영에서 최근 증가하고 있는 복부비만을 가정하여 흉부에 각도를 부여하고 획득한 영상과 기준영상을 비교하여 영상의 왜곡과 입사표면선량의 변화를 알아보았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X-선 영상의 형성과 평가과정은 어떠한 순서로 이루어지는가? 일반적으로 X-선 영상의 형성과 평가과정은 피사체정보, X선 정보, 농도분포, 투과광 강도, 시각, 인식, 사진평가의 순서로 이루어지고 있다. 피사체 정보는 피사체 특징의 파악과 오리엔테이션, 위치 잡이 등이 관여가 된다[6],[7].
흉부 X -선 영상의 장점은? 흉부 X -선 영상은 적절한 source to image-receptor distance (SI D)의 사용으로 가로막과 겹쳐지는 기도의 음영과 심장 후연의 좋은 시각성을 제공하여 임상 영상으로 사용하기에 적합한 높은 해상도를 제공한다[2],[3]. 또한 다른 부위의 사진들보다도 해부, 병리학적으로 많은 진단적 정보를 포함 하고 있으며, 방사선 투과성이 매우 낮은 종격동 및 골성 흉곽조직이 함께 위치해 있어 X-선으로 검사될 수 있는 가장 복잡한 부위중 하나이다[4]. 흉부 X-선 촬영이 이러한 중요한 위치에 있음에도 불구하고 통상적 검사(routine study)의 한 단계로서의 일반성 때문에 촬영과정이 신중이 다루어지지 않았던 일면이 있는 것이 사실이며, 가장 우수한 X-선 영상은 정확한 판독을 통해 치료에 이어지게 하는 것이 양질의 의료라 하겠다[5].
피사체 정보에는 무엇이 관여가 되는가? 일반적으로 X-선 영상의 형성과 평가과정은 피사체정보, X선 정보, 농도분포, 투과광 강도, 시각, 인식, 사진평가의 순서로 이루어지고 있다. 피사체 정보는 피사체 특징의 파악과 오리엔테이션, 위치 잡이 등이 관여가 된다[6],[7]. 흉부 X-선 촬영의 경우, 심장확대를 방지하고 폐와 심장의 겹침을 최소화하고 선예한 영상을 획득하기 위해 원거리 촬영과 흉부-영상수용체(image r eceptor, IR) 간의 거리 최소화를 권고하고 있다[8],[9].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D. Hart, D.G. Jones, B.F. Wall, "Coefficients for estimating effective dose from pediatric x-ray examinations", NRPB, 1996. 

  2. CEC European Commission, "European Guidelines on quality criteria for diagnostic radiographic images", EUR, 16260, 1996. 

  3. M. Hiros, K. Ito, T. Ishigaki, S. Sakuma, "Considerations for standard chest radiography: the long film-focus distance technique", Nagoya J Med. Sci, Vol. 55, No. 1-4, pp.33-39, 1993. 

  4. H.W. Kang, J.C. Park, H.S. Kang, I.J. Lee, H.S. Sin, J. Heo, "The Evaluation of Chest Radiographic Systems", Journal of Radiological science and technology, Vol. 10, No. 1, pp.31-35, 1987. 

  5. P.K. Cho, "How to improve image Quality for the chest PA and the simple abdomen X-ray examination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radiology, Vol. 7, No. 3, pp.165-173, 2013. 

  6. K.Y. Lee, D.S. Kang, E.Y. Kang. "Thoracic Radiology X-ray", pp.1-22, KOONJA publishing company, 2012. 

  7. Department of Radiology, college of medicine, The CATHOLIC University, Textbook of Radiology, KOONJA publishing company, pp.29-31, 2010. 

  8. KRTA, "Normal scan of the patient dose recommendation amount of radiology guidelines", Radiation Safety Management Series No. 30, 11-1470550-000299-01, 2012. 

  9. S.M. Kwon, C.H. Park, J.K. Park, W.H. Song, J.E. Jung, "The Effect of Source to Image-Receptor Distance(SID) on Radiation Dose for Digital Chest Radiography",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Radiology, Vol. 8, No. 4, pp.203-210, 2014. 

  10. H.R. Kim, Y.H. Kang, N.S. Kwak, E.J. Kang, E.N.J. Kim, "Trends in obe-sity and comprehensive policy strategy to prevent obesity in Korea", Seoul: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2009. 

  11. T. Kono, M. Suma, H. Handa, Y. Hirota, K. Kawamura, "Clinical significance of normal cardiac silhouette in dilated cardiomyopathy", Evaluation based upon echocardi-ography and magnetic resonance imaging Japanese Cir J, No. 56, pp.359-365, 1992. 

  12. C.S. Danzer, "The cardiothoracic ratio. An index of cardiac enlargement", Am J Med. Sci, 157 Cited by Cowan, pp.513-521, 1964. 

  13. C. Schaefer-Prokop, U. Neitzel, H.W. Venema, M. Uffmann, M, Prokop. "Digital chest radiography: an update on modern technology, dose containment and control of image quality", European radiology, Vol. 18, No. 9, pp.1818-1830, 2008. 

  14. HPA(2012), "Doses to Patients from Radiographic and Fluoroscopic X-ray Imaging Procedures in the UK", 2010. 

  15. Nationwide Evaluation of X-ray Trends(NEXT) : http://www.fda.gov/Radiation-EmittingProducts/RadiationSafety/Nati onwideEvaluationofX-rayTrendsNEXT/default.htm 

  16. S.L. Hwang, H.R. Jung, C.H. Lim, "A Study on Radiation Dose for General Radiography Examination at First Medical Institution (Around the Radiology Clinic of National Capital Regi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Radiology, Vol. 5, No. 5, pp.245-253, 2011. 

  17. Department of Radiology, college of medicine, "The CATHOLIC University, Textbook of Radiology", KOONJA publishing company, pp.49, 2010. 

  18. E.N. Obikili, I.J. Okoye, G.E. Anyanwu, "Aortic and heart dimensions of children and adolescents in a Nigerian population", Biomedical Research Vol. 21, No. 2, pp.195-198, 201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