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민간경비역량의 강화방안
The Reinforcing plan of private security capabilities 원문보기

융합보안논문지 = Convergence security journal, v.15 no.6 pt.2, 2015년, pp.19 - 28  

박호정 (건양대학교 국방경찰행정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최근 범죄가 증가하고 흉포화되는 현실에서 경찰력만으로 사회의 안전을 유지하는 것은 한계에 다다르게 되었고. 사회의 안전과 질서유지를 위하여 민간경비의 역할확대가 요구되고 있다. 그러나 현행 경비업법과 관련법의 규정은 많은 한계를 가지고 있다. 민간경비의 역할과 기능을 합리적으로 조정하여 사회의 안전을 유지하기 위하여 민간경비역량의 강화가 필요하고 이를 위해서 여러 방안이 요구된다고 할 것이다. 경비업법과 청원경찰법을 통합하고 전체적으로 통일된 민간경비업법을 마련하고 이를 통하여 민간경비원의 구체적 권한 규정을 마련하는 토대가 될 수 있다. 또한 민간경비의 역할을 확대할 수 있도록 경비업법의 관련규정을 보완하여 사회의 요구에 적절히 대처할 수 있도록 경비업법 제7조 제1항 규정이 수정되어야 할 것이다. 민간경비의 공적책임을 강조하고 업무수행을 위한 여건을 마련할 수 있도록 민간경비원의 권한을 경비업법에 명문화하여 민간경비원 권한행사의 근거를 법률에 규정하여야 한다. 이와 관련하여 민간경비원에게 근무구역내에서 제한된 불심검문권을 부여함으로써 민간경비역량을 강화할 수 있다고 본다. 경비업법의 개정을 통하여 민간경비원의 권한강화을 강화하고 절차규정을 명확하게 한다면 부족한 경찰력을 보완함으로써 범죄예방과 치안유지에 많은 도움이 될 수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Recently in the condition of increasing of cruel-hearted crime, it is limited to keep the community safe by only police force and expanding role of private security is required. But current private security law and relation law have many delimitations. So reinforcing of Private security capabilitie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경비업법상 규정하고 있는 민간경비의 범위, 경비업법과 청원경찰법의 이원화, 민간경비원의 법적 권한을 살펴보고, 현재 상황에서 나타날 수밖에 없는 문제점을 검토하고 민간경비원이 범죄에 적극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입법방안을 검토하는데 민간경비의 범위확대, 경비업법과 청원경찰법의 일원화, 경비원의 권한을 강화, 경비업법상 불심검문 규정의 도입 등을 통하여 민간경비의 역량을 강화하고 민간경비원의근무의욕을 고취함으로써 결국 시민의 생명신체와 재산을 보호할 수 있는 경비업법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 [18] 따라서 경비업법의 세분화된 개별 경비업무의 명칭을 모두 열거규정으로 두기보다는 앞으로 시장의 필요성에 의해 확대될 보다 세분화된 경비업무는 시행령인 대통령령에서 필요에 따라 언제든지 첨삭이 가능하도록 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경비업법에 중단위 경비업무 종류를 규정하는 방식만을 취하고 소단위 경비업무 종류는 경비업법 시행령에 규정할 여지를 열어두는 조항을 규정하는 방식도 고려해 볼만 하겠다.[19]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경찰관의 권한은 무엇인가요? 경찰관은 경찰관직무집행법에 근거하여 불심검문, 범죄의 예방과 제지, 위험방지 등의 권한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청원경찰은 청원경찰법에 의하여 국가 기관, 중요시설 등 지정된 경비구역 내에서 경찰관직무집행법에 의한 위험방지 권한을 가지고 있다.
경찰의 힘이 부족하기에 시민들의 이용하는 것은? 사회의 안전과 질서를 유지하고 시민의 신체와 재산을 보호하는 것이 경찰의 기본임무임에도 불구하고 급속도로 변화하는 사회적 환경에 따라서 시민의 요구를 충족시키기에는 경찰의 힘만으로는 달성하기가 어렵다는 문제가 나타나게 된다. 따라서 시민들은 자신들의 신체와 재산을 보호하기 위하여 스스로 비용을 부담하면서 민간경비를 이용하게 되는 것이다. 사적경비인 민간경비는 시민들이 원하는 치안서비스를 직접 신속하게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하기 때문이다.
민간경비원의 한계는 무엇인가요? 그러나 민간경비에 관한 현행 규정은 과거 위급상황에서 소극적인 입장에서 대응하는 방식으로 규정되어 있기 때문에 변화하고 지능화하는 범죄경향과 안전의식 증대추세에 대응하기 어렵다는 문제가 대두되게 된다. 민간경비원은 경찰과 같은 사법권이 없어서 긴급상황에 대처하는데 한계가 있고 시민의 입장에서도 업무처리과정 도중에서 불편하고 불안한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김태진, "시민안전의 확보를 위한 민간경비의 역할확대", 사회과학연구 제23집 제1호, 경성대학교사회과학연구소, pp.149, 2007. 

  2. 이영우, "한국경비업법상의 경비업무 개선방안-직무범위를 중심으로", 한국행정학회 하계학술대회, 한국행정학회, pp.5, 2013. 

  3. 이종환.이민형, "경비업법 제7조 제1항 관리권 범위에 대한 법적 해석", 한국경호경비학회지 제26호, 한국경호경비학회, pp.72-73, 2011. 

  4. 이종환.이민형, "경비업법 제7조 제1항 관리권 범위에 대한 법적 해석", 한국경호경비학회지 제26호, 한국경호경비학회, pp.82 , 2011. 

  5. 최선우, "민간경비원의 권한에 대한 연구", 한국경호경비학회지 제21호, 한국경호경비학회, pp.189, 2009. 

  6. 최선우, "민간경비원의 권한에 대한 연구", 한국경호경비학회지 제21호, 한국경호경비학회, pp.194, 2009. 

  7. 김태진, "시민안전의 확보를 위한 민간경비의 역할확대", 사회과학연구 제23집 제1호, 경성대학교사회과학연구소, pp.156, 2007. 

  8. 박동균.김태민, "안전사회 구축을 위한 경비업법의 개정방안", 한국행정학회 비정기학술발표논문집 제2010권 제3호, 한국행정학회, pp.13, 2010. 

  9. 이종환.이민형, "경비업법 제7조 제1항 관리권 범위 에 대한 법적 해석", 한국경호경비학회지 제26호, 한국경호경비학회,pp.79-80, 2011. 

  10. 공배완, "위급상황의 효율적 대처를 위한 민간경호경비 관련법의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법학연구 제26집, 한국법학회, pp.83, 2007. 

  11. 경찰대학, 경찰행정법, 경찰대학, pp.54, 2003. 

  12. 공배완, "한국 경비업법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에 관한 고찰: 민간경비 자격제도와 교육훈련 제도를 중심으로", 한국 공안행정학회보 Vol.28, 한국공안행정학회, pp.30-31, 2007. 

  13. 이종환.이민형, "경비업법 제7조 제1항 관리권 범위 에 대한 법적 해석", 한국경호경비학회지 제26호, 한국경호경비학회, pp.80, 2011. 

  14. 최석오, 경비업법상 "직무범위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 법학연구 제48집, 한국법학회, pp.111, 2012. 

  15. 박병식, "경비업법의 현안과 해결방안", 한국경호경비학회지 제29호, 한국경호경비학회, pp.94, 2011. 

  16. 김태진, "시민안전의 확보를 위한 민간경비의 역할확대", 사회과학연구 제23집 제1호, 경성대학교사회과학연구소, pp.162, 2007. 

  17. 최석오, "경비업법상 직무범위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 법학연구 제48집, 한국법학회, pp1.113, 2012. 

  18. 박병식, "경비업법의 현안과 해결방안", 한국경호경비학회지 제29호, 한국경호경비학회, pp.97-98, 2011. 

  19. 이상훈, "치안공조와 민간경비산업 육성을 위한 경비업법 진단과 발전방향", 한국공안행정학회보 제53호, 한국공안행정학회, pp.176, 2013. 

  20. 이상훈, "개정 경비업법의 평가와 정책과제", 한국경호경비학회지 제36호, 한국경호경비학회, pp.380-381, 2013. 

  21. 조병인, "지역공동체내 범죄예방시스템 구축방안 연구", 연구총서 12-AA-11, 형사정책연구원, pp.302, 2012. 

  22. 송수복, "경비업법의 개정을 위한 시론: 직무와 관리권한을 중심으로", 청주대학교 박사학위논문, pp.83, 2013. 

  23. 이상훈, "치안공조와 민간경비산업 육성을 위한 경비업법 진단과 발전방향", 한국공안행정학회보 제53호, 한국공안행정학회, pp. 181, 2013. 

  24. 서진석, "민간경비원의 법적 지위에 관한 비교연구", 융합보안 논문지 제14권 제1호, pp.49, 2014. 

  25. 김준성, "민간경비원의 법적 지위와 형사책임의 범위", 한국민간경비학회보 제11권 제1호, 한국민간경비학회, pp.15, 2012. 

  26. 박병갑, "경찰과 민간경비의 범죄예방 협력프로그램 구축화 방안", 한국체육대학교 사회체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52, 200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