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전기자동차용 급속충전기 기술과 개발 동향 원문보기

전력전자학회지 = The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Power Electronics, v.20 no.6, 2015년, pp.47 - 53  

정도양 (피앤이시스템즈)

초록이 없습니다.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충전인프라 구성도를 그림 3에 나타내었다. 원고에서는 전기자동차 충전인프라의 중요한 구성 요소 중에 하나인 급속충전기의 기술과 개발현황에 대하여 기술하고자 한다.
  • 본 원고에서는 전기자동차용 급속충전기 기술과 개발 동향에 대하여 기술하였다. 각국의 전기자동차 보급촉진 정책의 영향으로 전기자동차의 판매가 가파르게 증가되고 있으며 이와 같은 배경 하에 전기자동차 충전인프라 구축을 위한 사업이 폭넓게 확대되고 있다.
  • 세계적으로 전기자동차의 시장이 가파르게 성장함에 따라 충전인프라의 구축도 빠르게 진행되고 있으며 다양한 형태의 기술이 개발되어 실증사업이 진행되고 있다. 원고에서는 전기자동차용 급속충전기의 다양한 기술과 개발 동향 전반에 대해 폭넓게 기술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전기자동차가 100만대 보급될 경우를 가정하면 전기자동차에 저장되어 전력계통으로 재판매할 수 있는 전기에너지는 2GWh 수준으로 국내의 원자력발전소 2기가 발전하는 전력량에 해당한다. 즉, 전기자동차가 심야의 남는 전력을 이용하여 충전을 수행하고 이를 전력계통의 피크부하가 걸리는 시간대에 방전을 수행하여 회생을 하여 활용한다면 원자력발전소 2가를 짓지 않아도 된다는 결론에 도달하게 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6)

  1. Prakornchai Phonrattanasak., "Developmentof fast charging station for thailand," International Journal of Innovation, Management and Technology, Vol. 3, No. 6, pp. 668-674. Dec. 2012. 

  2. H. Hoimoja, M. Vasiladiotis, and A. Rufer, "Power interfaces and storage selection for a ultrafast EV charging station," 2012 Power Electronics, Machines and Drives Conference, 27-29, Mar. 2012. 

  3. Lawrence Berkeley National Laboratory. "V2G-Sim," Accessed, Oct. 31, 2014. 

  4. Beauregard. G, "Lessens learned on the EV project and DC fast charging," Navigant Research Webinar on Fast DC Charging for Electric Vehicles, Apr. 2013. 

  5. S. Bai, Y. Du and S. Lukie,"Optimal design of an EV/PHEV charging station with DC bus and storage system." 2010 IEEE Energy Conversion Conference and Exposition, pp. 1178-1184. 2010. 

  6. D. Aggeler, F. Canales et al. "Ultra-fast DC-charge infrastructures for EV-mobility and future smart grids," 2010 Innovative Smart Grid Technologies Conference Europe, 11-13, Oct. 1 2010.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