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TiO2 나노입자 광촉매 반응에 의한 비스페놀 A의 분해 제거 및 독성 저감
Photocatalytic Degradation and Detoxification of Bisphenol A Using TiO2 Nanoparticles 원문보기

Ecology and resilient infrastructure, v.2 no.4, 2015년, pp.330 - 336  

조아영 (고려대학교 환경생태공학부) ,  정진호 (고려대학교 환경생태공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논문은 수용액에서 $TiO_2$ 나노입자 (Degussa P25) 광촉매 반응에 의한 비스페놀 A (BPA)의 분해 제거를 연구하였다. 3시간의 광촉매 반응 (자외선 파장 = 365 nm, 자외선 강도 = $3mW\;cm^{-2}$, $TiO_2$ 농도 = $2.0g\;L^{-1}$)에 의하여 98%의 BPA ($1.0{\times}10^{-5}M$)와 89%의 총유기탄소가 제거되었다. 그리고 광분해, 가수분해와 흡착반응에 의한 BPA의 분해 제거는 각각 2%, 5%와 13%로 나타났다. 광촉매 반응에 의한 BPA의 분해 제거는 수산화 라디칼의 소광제인 메탄올의 농도가 증가 할수록 감소하였다. 이것은 BPA와 수산화 라디칼의 반응이 BPA 분해 제거의 주요한 기작이라는 것을 나타낸다. 이 반응의 초기 유사 1차 속도 상수는 $7.94{\times}10^{-4}min^{-1}$로 계산되었으며, BPA 90%를 분해 제거하는 시간은 25분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광촉매 반응에 의한 BPA의 독성 저감을 평가하기 위하여 물벼룩 (Daphnia magna, 생후 24시간 미만)을 이용한 급성독성 시험을 실시하였다. 물벼룩에 대한 BPA의 급성독성 (48시간)은 초기 2.93 TU (독성 단위)였으며, 3시간의 광촉매 반응 후에는 무독성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BPA의 광촉매 반응에서 독성 분해산물이 생성되지 않는 다는 것을 제시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hotocatalytic degradation of bisphenol A (BPA) in aqueous solution was investigated using $TiO_2$ nanoparticles (Degussa P25) in this study. After a 3 hr photocatalytic reaction (${\lambda}=365nm$ and $I=3mW\;cm^{-2}$, $[TiO_2]=2.0g\;L^{-1...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광촉매 반응에 의한 BPA의 제거효율 평가하였으며, 이 반응에서 수산화 라디칼의 역할을 규명하였다. 특히 순수한 광촉매 반응에 의한 BPA 의 분해제거를 평가하기 위하여 광분해 반응, 가수분해 반응, 흡착 반응에 의한 영향도 함께 고려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고급산화공정의 종류는 무엇이 있는가? 2005). 고급산화공정은 자외선/과산화수소 공정, 오존 공정, 펜톤 산화 공정, 방사선 처리 공정, 자외선/광촉매 공정 등이 있는데, 이중에서 광촉매 반응은 친환경적인 방법으로 각광받고 있다. 광촉매 공정은 노닐페놀 (nonylphenol), 에스트라 디올 (estradiol), 비스페놀 A (BPA, bisphenol A) 등의 내분비계 장애물질을 분해 제거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Chiang et al.
고급산화공정 중 광촉매 공정은 무엇을 제거할 수 있는 공정인가? 고급산화공정은 자외선/과산화수소 공정, 오존 공정, 펜톤 산화 공정, 방사선 처리 공정, 자외선/광촉매 공정 등이 있는데, 이중에서 광촉매 반응은 친환경적인 방법으로 각광받고 있다. 광촉매 공정은 노닐페놀 (nonylphenol), 에스트라 디올 (estradiol), 비스페놀 A (BPA, bisphenol A) 등의 내분비계 장애물질을 분해 제거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Chiang et al. 2004, Daskalaki et al.
고급산화공정이란 무엇인가? 고급산화공정 (advanced oxidation process)은 수산화 라디칼 (hydroxyl radical)을 발생시켜 난분해성및 미량 유해물질들을 처리하기 위한 공정으로 현재 까지 활발히 연구되고 있다 (D'Oliveira et al. 1990, Cheng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Bistan, M., Tisler, T. and Pintar, A. 2012. Catalytic and photocatalytic oxidation of aqueous bisphenol A solutions: removal, toxicity and estrogenicity. Industrial & Engineering Chemistry Research 51: 8826-8834 

  2. Brennan, S.J., Brougham, C.A., Roche, J.J. and Fogarty, A.M. 2006. Multi-generational effects of four selected environmental oestrogens on Daphnia magna. Chemosphere 64: 49-55. 

  3. Caspers, N. 1998. No estrogenic effects of bisphenol A in Daphnia magna Straus. Bulletin of Environmental Contamination and Toxicology 61: 143-148. 

  4. Chen, Y., Yang, S., Wang, K. and Lou, L. 2005. Role of primary active species and $TiO_2$ surface characteristic in UV-illuminated photodegradation of acid orange 7. Journal of Photochemistry and Photobiology A: Chemistry 172: 47-54. 

  5. Cheng, S., Tsai, S.-J and Lee, Y.-F. 1995. Photocatalytic decomposition of phenol over titanium oxide of various structures. Catalysis Today 26: 87-96. 

  6. Chiang, K., Lim, T.M., Tsen, L. and Lee, C.C. 2004. Photocatalytic degradation and mineralization of bisphenol A by $TiO_2$ and platinized $TiO_2$ . Applied Catalysis A: General 261: 225-237. 

  7. Daskalaki, V.M., Frontistis, Z., Mantzavinos, D. and Katsaounis, A. 2011. Solar light-induced degradation of bisphenol A with $TiO_2$ immobilized on Ti. Catalysis Today 161: 110-114. 

  8. D'Oliveira, J.C., Al-Sayyed, G. and Pichat, P. 1990. Photodegradation of 2- and 3-chlorophenol in titanium dioxide aqueous suspensions. Environmental Science & Technology 24: 990-996. 

  9. Fujishima, A., Rao, T.N. and Tryk, D.A. 2000. Titanium dioxide photocatalysis. Journal of Photochemistry and Photobiology C: Photochemistry Reviews 1: 1-21. 

  10. Ishibashi, K., Fujishima, A., Watanabe, T. and Hashimoto, K. 2000. Quantum yields of active oxidative species formed on $TiO_2$ photocatalyst. Journal of Photochemistry and Photobiology A: Chemistry 134: 139-142. 

  11. ISO. 2012. Water Quality - Determination of the Inhibition of the Mobility of Daphnia magna Straus (Cladocera, Crustacea) - Acute Toxicity Test. ISO 6341:2012, 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ization, Geneva, Switzerland. 

  12. Ji, Y., Zhou, L., Ferronato, C., Yang, X., Salvador, A., Zeng, C. and Chovelon, J.M. 2013. Photocatalytic degradation of atenolol in aqueous titanium dioxide suspensions: kinetics, intermediates and degradation pathways. Journal of Photochemistry and Photobiology A: Chemistry 254: 35-44. 

  13. Jia, C., Wang, Y., Zhang, C., Qin, Q., Kong, S. and Yao, S.K. 2012. Photocatalytic degradation of bisphenol A in aqueous suspensions of titanium dioxide. Environmental Engineering Science 29: 630-637. 

  14. Jo, J.E. 2004. Photocatalytic-photooxidation of Aquatic Bisphenol A Solution using $TiO_2$ Film Coated on Loess Ball. M.Sc. Thesis, Chosun University, Gwangju, Korea. (in Korean) 

  15. Linsebigler, A.L., Lu, G. and Yates Jr., J.T. 1995. Photocatalysis on $TiO_2$ surfaces: principles, mechanisms, and selected results. Chemical Reviews 95: 735-758. 

  16. Matthews, R.W. 1986. Photo-oxidation of organic material in aqueous suspensions of titanium dioxide. Water Research 20: 569-578. 

  17. OECD. 2004. Daphnia sp. Acute Immobilisation Test. Guideline for Testing of Chemicals No. 202. Paris, France. 

  18. Tao, H., Hao, S., Chang, F., Wang, L., Zhang, Y. and Cai, X. 2011. Photodegradation of bisphenol A by titana nanoparticles in mesoporous MCM-41. Water, Air, & Soil Pollution 214: 491-498. 

  19. Thomas, J. 1965. Rates of reaction of the hydroxyl radical. Transactions of the Faraday Society 61: 702-707. 

  20. Wang, R., Ren, D., Xia, S., Zhang, Y. and Zhao, J. 2009. Photocatalytic degradation of bisphenol A (BPA) using immobilized $TiO_2$ and UV illumination in a horizontal circulating bed photocatalytic reactor (HCBPR). Journal of Hazardous Materials 169: 926-932. 

  21. Weber, C.I. 1991. Methods for Measuring the Acute Toxicity of Effluents and Receiving Waters to Freshwater and Marine Organisms. Environmental Monitoring Systems Laboratory, Office of Research and Development, US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EPA/821/R-02/012, Washington DC, USA 

  22. Yeo, M.K. and Kang, M. 2006. Photodecomposition of bisphenol A on nanometer-sized $TiO_2$ thin film and the associated biological toxicity to zebrafish (Danio rerio) during and after photocatalysis. Water Research 40: 1906-191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