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박물관의 전시소통매체가 방문객의 만족도와 재방문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Subject: A Study on the Influence of Exhibition Communication Media on a Visitor's Satisfaction and Re-visit 원문보기

대한안전경영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 safety management & science, v.17 no.4, 2015년, pp.321 - 333  

김형준 (서일대학교 시스템경영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empirically analyzed the influence of media on a visitor's satisfaction and re-visit by setting up 5 sorts of exhibition media as text, docent, virtual museum, website and Smartphone App based on practical exchange and communication between a visitor and an exhibition provider. The resea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의 목적은 박물관 전시 소통매체와 관람객의 만족도 및 재방문과의 관계를 고찰하기 위한 것으로 선행연구를 기초로 모형을 도식화하면 [Figure 1]과 같다. 모형의 독립변수는 텍스트, 도슨트, 가상 박물관, 웹사이트, 스마트폰 앱의 5가지 요소로, 그리고 종속변수는 방문객의 만족도와 재방문으로 설정하였다.
  • 이러한 세 가지 결론을 통한 본 연구의 시사점은 박물관 관람객의 만족도와 재방문에 미치는 주된 영향요소를 고찰한 데 있었다. 특히 5가지 요소를 일괄적으로 제시하여 그 영향력의 크기를 상대적으로 비교, 분석함으로써 통합적인 접근을 시도한 점이다.
  • 따라서 텍스트나 도슨트를 포함함은 물론 인터넷 시대의 전시소통 매체인 가상박물관, 웹사이트, 스마트폰 앱이 방문객의 만족도와 재방문에 미치는 영향력을 분석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텍스트, 도슨트, 가상박물관, 웹사이트, 스마트폰 앱의 5가지 요소들 중에서 과연 어떤 매체가 만족도와 재방문에 영향을 미치는가를 실증적으로 고찰하는 데 연구목적이 있다.

가설 설정

  • 가설 1–1 : 텍스트는 관람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
  • 가설 1–2 : 도슨트는 관람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
  • 가설 1–3 : 가상박물관은 관람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
  • 가설 1–4 : 웹사이트는 관람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
  • 가설 1–5 : 스마트폰 앱은 관람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
  • 가설 2–1 : 텍스트는 재방문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
  • 가설 2–2 : 도슨트는 재방문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
  • 가설 2–3 : 가상박물관은 재방문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
  • 가설 2–4 : 웹사이트는 재방문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
  • 가설 2–5 : 스마트폰 앱은 재방문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
  • 가설1 : 박물관의 전시 소통매체는 관람 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
  • 가설1은 ‘박물관의 전시 소통매체는 관람 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를 검증하는 것이다.
  • 가설2 : 박물관의 전시 소통매체는 재방문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
  • 가설3 : 박물관의 전시소통매체는 재방문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
  • 먼저 가설1에 대한 이론적 근거로써, 소통매체인 ‘텍스트’로서의 한계점과1) 도슨트 제도의 활성화 문제점2) 등에서 전시소통매체와 관련만족도 관계성을 기반으로 가설을 설정하였으며, 가설2는 가상박물관의 등장 배경과 이점으로 인한 재방문 효과를3)4) 기반하여 가설을 설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박물관의 전통적인 전시매체는 무엇인가? 박물관의 전통적인 전시매체로써 기존의 아날로그식의 텍스트나 도슨트의 역할을 들 수 있으며, 이들 매체는 관람객의 만족도와 재방문에 적지 않은 영향을 미쳤다. 그런데 최근의 인터넷과 웹기술의 발달로 박물관의 전시 소통매체가 확대되어 방문객의 만족감을 주는 요소로 가상 박물관, 웹사이트, 스마트폰 앱 등의 디지털식이 등장되었는데, 이들은 기존의 텍스트와 도슨트의 역할을 넘어서 다양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텍스트, 도슨트, 가상 박물관, 웹사이트, 스마트폰 앱 전시 매체가 관람객의 만족도 및 재방문에 미치는 영향력을 분석한 결과는 무엇인가? 첫째, 본 연구에서 제시된 5가지 전시매체는 모두 관람객의 만족도와 재방문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둘째, 5가지 전시매체 중 관람객의 만족도와 재방문에 우선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요소는 ‘도슨트’와 ‘웹사이트’ 요소로 나타났다. 따라서 관람객의 만족도와 재방문을 높이기 위해서 ‘도슨트’와 ‘웹사이트’ 요소를 다른 요소보다 우선적으로 고려해야 한다고 판단된다. 셋째, 관람객의 만족도는 재방문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검증됨으로써 관람객 만족도가 클수록 재방문이 높아질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디지털식 전시 소통 매체 중 가상박물관 구축의 한계는 무엇인가? 그리고 디지털 매체의 경우 다양한 매체 중 영상∙음향 매체가 주로 활용되고 있었으나[4][5], 이들 매체와 관람객과의 상호작용성 측면의 효과에 있어서는 큰 효과를 확인할 수 없었다[5]. 특히 가상박물관 구축은 학술성과 대중성을 동시에 충족시키는 심도 있고 유용한 정보제공을 하고 있었지만, ‘정보’ 전시에 치중한 나머지 관람 내용물에 대한 직접적인 경험을 대체하지 못하고 있다[5]. 이와 같이 그동안의 선행연구에서 박물관 관람객들의 만족도를 높이는 데 기여할 수 있는 효과적인 전시 소통매체를 적절히 제공하지 못하고 있었으며[2], 특히 아날로그와 디지털 방식을 통합적으로 접근하여 다양한 전시매체를 동시에 고려하지 못한 채 단편적인 매체 중심의 연구에 치중해 온 실정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Park Young-A, A Study of the Influence of Innovativeness, Enjoyment, and Self-efficacy on the Use Intention of Information Technology in Museum : A focus on a Moderating Effect of Immersion, Association of Business Administration, Korea, Vol.24 No.5, 2011, 2691-2709. 

  2. Lee Min-A, Kim Won-Taik Kim, Service Design for Interactive Communication Efficacy between Museums and Visitors: Focused on Smart-phone Application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Design Science, Vol.26 No.4, 2013, 156-178. 

  3. Park, Ji-Hye, Kim, Byoung-Sun, A Study on the Differences in Visitor Experience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Exhibition Media : Focusing on the Comparative Analysis of Museums in Andong, South Korea, Journal of Communication Science, Vol.13 No.1, 2013, 219-261. 

  4. Choi Jun-Hyuck, A Study on Characteristic of Exhibition Display and Type of Digital Media in Theme's Museum Exhibition Space of Busan.Kyungsangnam-do Area, Journal of Digital Design, Vol.28 No.-, 2010, 21-219. 

  5. Oh Il-Seon, Digital Media Application in Museum, The Korea Contents Society, Vol.10 No.9, 2010, 213-217. 

  6. Son Hee-Joo, Choi Jin-Won Choi, A Study on the Virtual Reality-based Museums: Exhibition Characteristics and Possibilities of Utilization, The HCI Society of Korea, Vol. 2009 No.2, 2009, 862-867. 

  7. Kim Hyo Seon, Kim Kyung Hoon, A Study on methods for Activation of Docent Program at Domestic Science Museums, The Korea Science & Art Forum, Vol.9 No.10, 2011, 1-11. 

  8. Kwon Yoon-Kyung, The Practical Application and Development of Education Program for University Museum Professionals-Focusing on the Docent and Internship Education Program of Ewha Womans University Museum, Korean Antiquity, Vol.67 No.-, 2008, 95-110. 

  9. Rhee Chau-Hhee, A Study on the Importance of Museum Doc $\epsilon$ nt - Focused on the Cheongju Early Printing Museum, Museum of BMD, Vol.- No.18, 2010, 307-329. 

  10. Oh Jun-Taek, Geun-Young Jeong, Kim Sung-Ho A Construction of Virtual Museum System for Exhibit Search and Information Provision of Multimedia Method, Sangji University.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Research Institute, Collection of Research Papers, Vol.6 No.2, 2010, 15-19. 

  11. Sim Choon-Bo, Song Kwang-Taek, Chang Jae-Woo,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 Content-Based Multimedia Information Retrieval System for Cyber Museums, Journal of KISS(C), Vol.5 No.1, 1999, 88-98. 

  12. Internet & Security Focus, A Study on the Progress of useful by Gender, age of Smartphone users, 2013, 11, 36. 

  13. Oliver, R. L., Whence consumer Loyalty? Journal of Marketing 3, 1999, 33-44. 

  14. Chung Ik-Joon, A Study on Possible Effects of Flow Experience of Museum Visitors on Their Satisfaction, The Study of Practice Folkloristics, Vol.12, 2008, 331-352. 

  15. Bae Yeong-Dong, A Study on Exploration of the Meaning and History of Tourism the Museum and Cultural Interests, Folklorism, Vol.10, 2000, 37-71. 

  16. Park Young-Ja, A Study on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between perceived Ease of use of Information Technology, Interactivity, enjoyment, Satisfaction and Revisit of Museum Visitors: A focus on National Museum of Korea, Tourism Studies, Vol.35 No.9, 2011, 183-202. 

  17. Lee Hoo-Suk, The Analysis on the Perceived Performance and Satisfaction by the Types of Museum Visitors" Motivations: Case of National Museum Visitors, Tourism Research Journal, Vol.21 No.1, 2007, 5-19. 

  18. Kim Eun-Ju, A Study on the Effect of Motivating Factors on Visitor Satisfaction : Focusing on the National Museum of Modern and Contemporary Art, Korea, Arts Management Study, Vol.6 No.2, 2013, 28-52. 

  19. Yeong-jin Noh, A Multivariate Analysis using Excel & SPSS-Theory and practice-Hyung Seoul Publisher, 2005, p.536. 

  20. Kim Hyo-Seok, Park Hae-chul Park, The Statistics for the Management and Commercial, Hyung Seoul Publisher, 2004, 43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