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기 산사태 위험도 구축을 위한 지형요소의 활용
Application of Geomorphological Features for Establishing the Preliminary Landslide Hazard 원문보기

한국지형공간정보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geospatial information science, v.23 no.3, 2015년, pp.23 - 29  

차아름 (국립재난안전연구원, 한양대학교 건설환경공학과) ,  김태훈 (국립재난안전연구원) ,  강석구 (한양대학교 건설환경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토석류를 포함하는 산사태 재해는 빠른 이동속도로 인한 대응 및 대피가 어려운 특성으로 인해 발생 초기에 그 위험성을 파악, 예방대책을 수립하는 것이 무엇보다 필요하다 할 수 있다. 하지만 현재까지 다양한 방법들이 초기 산사태 재해의 발생 및 위험도를 파악하기 위해 활용되었으나, 분석과정과 입력변수의 복잡함, 그리고 이로 인한 모델의 단순화로 인해 산정된 산사태 위험도의 정확성에는 많은 의문이 제기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산사태 재해예방을 목적으로 실제 지형의 특성을 파악, 이를 초기 산사태 위험도 평가에 적용하는 방안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지형특성 분석을 위해 방향성 벡터통계적 방법을 이용한 벡터분산(vector dispersion)과 평면도(planarity) 기법을 이용, 지형특성과 산사태 위험도간의 상관관계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분석결과는 제안한 두 방법 모두 초기 산사태 위험도 분석에 있어 매우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결국, 지형특성은 산사태 위험도에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보다 객관적인 산사태 위험성 평가를 수행하기 위해서는 개별 모형보다는 다수의 모형을 이용, 각각의 장점을 극대화할 필요가 있다. 이는 결국 산사태의 발생이 단순한 특정 요소만으로 결정되는 것이 아니며, 내 외부적인 요인들간의 상호작용에 의해 유발되는 복합적인 자연현상임을 인지하고 보다 다양한 방법들을 통해 산사태 발생 메커니즘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가 수행되어야 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landslide disasters including debris flow, the rapid speed to downward and difficulty to respond or evacuate from them, it is imperative to identify their potential hazards and prepare the reduction plans. However, the current landslide hazards generated by a variety of...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므로 지표면의 형상정보는 과거 산사태 발생지역을 보여줄 뿐만 아니라 잠재적인 산사태의 발생 위험도를 확인하는데 유용한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산사태로 발생하는 지형요소의 거칠기를 방향성 벡터를 활용해 분석, 이를 통해 산사태 위험도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벡터분산(vector dispersion)과 평면도(planarity) 기법을 산사태의 지형요소 분석에 이용, 이를 통한 초기 산사태 발생 위험도를 평가하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방법은 지형특성이 산사태 위험도에 미치는 영향을 보여주고 있으며, 개별 모형보다는 다수의 모형을 이용, 각각의 장점을 활용하여 보다 현실적인 산사태 위험성 평가를 수행해야 한다는 것을 잘 보여주고 있다.
  • 본 연구에서는 산사태 발생 후 형성되는 지형요소를 확인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방법에 의해 방향성 자료의 통계적 평가를 통해 얻어지는 고유치(eigen value)를 분석하였다. 먼저, 고유치를 활용한 지형요소의 판독은 우선 LiDAR 시스템 등을 통해 취득한 정밀 고도정보를 산사태 발생 전 대축척 수치표고모델(Digital Elevation Model, DEM)로 변환하는 것으로 시작된다.
  • 이에 본 연구는 지형특성 분석을 기반으로 하는 초기 산사태 위험도를 신속하게 평가하는데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벡터 분산(vector dispersion)과 평면도(planarity) 기법을 이용하였으며, 도출된 결과를 2011년 발생한 춘천 ○○ 지역에 적용, 지형특성과 산사태 위험도간의 관계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산사태는 어떤 지형 변화를 일으키는가? 산사태는 산사태 미발생지역과 달리 발생지역을 중심으로 첨단부의 급경사지, 인장균열, 그리고 사태물질과 같은 다양한 형태의 지형정보를 생성한다(Kim et al., 2012).
본 연구는 산사태 위험도를 평가하기 위해 어떤 기법을 이용하였는가? 이에 본 연구는 지형특성 분석을 기반으로 하는 초기 산사태 위험도를 신속하게 평가하는데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벡터 분산(vector dispersion)과 평면도(planarity) 기법을 이용하였으며, 도출된 결과를 2011년 발생한 춘천 ○○ 지역에 적용, 지형특성과 산사태 위험도간의 관계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방향성 벡터를 활용한 지형요소의 분석은 어떤 특징이 있는가? 방향성 벡터를 활용한 지형요소의 분석은 지형을 구성하고 있는 표면의 지형학적 이질성(heterogeneity)의 정도를 정량적으로 평가하는 방법의 하나로(Kim, 2012), 연구대상 지표면의 방향과 그 분포를 평가하여 지표면의 거칠기를 결정한다. Hobson(1972)은 특정 지역의 한 영역(domain)안의 지표면은 다수의 평면으로 구성 되어 있으며 이들은 서로 연결되어 있다고 가정하고, 이러한 평면들의 거칠기 정도를 평면에 수직한 단위벡터의 형태로 나타낼 수 있다고 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4)

  1. National Emergency Management Agency, 2012, 2012 Annual disaster report, National Emergency Management Agency, pp. 1226-1242. 

  2. Cha, A. R., Kim, T. H. and Jung, M. S., 2013, Preliminary risk assessment for landslides using directional vectors, Proc. of KGS Fall National Conference, pp. 1041-1046. 

  3. Cha, A. R., 2014, A comparative study on the identification of landslide hazard using geo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Journal of Korean Geo-Environmental Society, Vol. 15, No. 6, pp. 67-73. 

  4. Hobson, R. D., 1972, Surface roughness in topography: quantitative approach, Spatial Analysis in Geomorphology, Methuen & Co Ltd., London, Great Britain, pp. 221-245. 

  5. Kasai, M., Ikeda, M., Asahina, T. and Fujisawa, K., 2009, LiDAR-derived DEM evaluation of deep-seated landslides in a steep and rocky region of Japan, Geomorphology, Vol. 113, No. 1-2, pp. 57-69. 

  6. Kim, T. H., Cruden, D. M. and Martin, C. D., 2012, Identification of geomorphological features of landslides using airborne laser altimetry, Proc. of 11th International Symposium on Landslides and 2nd North American Symposium on Landslides, Banff, Alberta, Canada, pp. 567-573. 

  7. Mark, D. M., 1974, On the interpretation of till fabrics, Geology, Vol. 2, No. 2, pp. 101-104. 

  8. McKean, J. and Roering, J., 2004, Objective landslide detection and surface morphology mapping using high-resolution airborne laser altimetry, Geomorphology, Vol. 57, pp. 331-351. 

  9. National Disaster Management Institute, 2011, Establishment of collapse warning & evacuation criteria for steep slopes, Developments of the GIS based steep slope collapse determination system (I), Primary Research Report, NDMI-PR-2011-14-01, p. 154. 

  10. VanDine, D. F., 1996, Debris flow control structures for forest engineering, Research Branch, B.C. Ministry of Forests, Victoria, B.C., Working Paper No. 8, pp. 4-6. 

  11. Varnes, D. J. and International Association of Engineering Geology(IAEG) Commission on Landslides and other Mass Movement on Slopes, 1984, Landslide hazard zonation: a review of principles and practices, UNESCO, Paris, pp. 11-15. 

  12. Watson, G. S., 1966, Statistics of orientation data, Journal of Geology, Vol. 74, No. 5, pp. 786-797. 

  13. Woodcock, N. H., 1977, Specification of fabric shapes using an eigenvalue method, Geological Society of America Bulletin, Vol. 88 No. 9, pp. 1231-1236. 

  14. Woodcock, N. H. and Naylor, M. A., 1983, Randomness testing in 3-dimensional orientation data, Journal of Structural Geology, Vol. 5, No. 5, pp. 539-548.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