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GFRP 근 보강 콘크리트 교량 바닥판의 설계지배인자
Governing Design Factors of GFRP-Reinforced Concrete Bridge Deck 원문보기

한국안전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afety, v.30 no.6, 2015년, pp.70 - 77  

조정래 (한국건설기술연구원) ,  박영환 (한국건설기술연구원) ,  박성용 (한국건설기술연구원) ,  조근희 (한국건설기술연구원) ,  김성태 (한국건설기술연구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the governing design factors of GFRP-reinforced concrete bridge deck are analyzed for typical bridges in Korea. The adopted bridge deck is a cast-in-situ concrete bridge deck for the prestressed concrete girder bridge with dimensions of 240 mm thickness and 2.75 m span length from ce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 GFRP 근의 적용이 늘어나는 주 원인이 겨울철의 과도한 제설제 사용, 해양 환경 등 부식 환경에 노출된 구조물의 철근을 무부식 재료인 GFRP 근으로 대체하기 위해서이다. GFRP 근 관련 설계기준으로 미국의 ACI 440 위원회에서 2006년 ACI 440.
  • GFRP 근 직경, GFRP 근 배치 간격, 피복 두께 등을 설계변수로 설정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기존 철근 콘크리트 바닥판과 비교되는 GFRP 근 보강 콘크리트 교량 바닥판의 설계 지배인자를 분석하고, 현실적으로 적용 가능한 GFRP 근 직경 및 배근 간격을 찾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국내의 전형적으로 적용되는 교량 바닥판 형식을 대상으로 GFRP 근으로 보강된 콘크리트 교량 바닥판의 설계지배인자를 분석하였다. 분석에 사용된 교량 바닥판은 거더 중심 간격 2.
  • 본 연구에서는 국내의 전형적인 교량 바닥판 형식인 프리스트레스트 거더 교량의 현장타설바닥판을 대상으로 설계지배인자를 분석하였다. 극한 강도 한계 상태의 휨강도가 설계를 지배하는 철근 콘크리트 바닥판과 달리 GFRP 근 보강 콘크리트 바닥판은 GFRP 근의 낮은 강성으로 인해 사용성, 특히 최대균열폭이 설계를 지배함을 확인하였다.

가설 설정

  • 6은 피복 두께 50 mm를 제외하고 동일한 조건의 철근 콘크리트 바닥판에 대한 설계모멘트 및 최대 균열폭에 대한 설계결과를 배근 간격에 따라 도시한 것이다. 도로교설계기준15)에 따라 설계하였으며 설계 등급 D를 가정하였고 한계균열폭은 0.3 mm를 적용하였다. 따라서 극한모멘트(Mu)는 GFRP 근 보강 콘크리트 바닥판과 동일하나 한계균열폭이 0.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FRP 복합재료 보강재 개발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건설기술 개발연구의 한계점은? 국내에서 GFRP 근에 대한 최초의 종합적인 연구는 한국건설기술연구원이 산업기술연구회의 지원으로 수행한 “FRP 복합재료 보강재 개발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건설기술 개발(2003-2008)”이다1). 이 연구를 통해 우수한 역학성능을 갖는 KICT Bar가 개발되었으나, 국내의 관련 시험 규격 및 설계 기준 미비로 본격적인 실용화가 이루어지지는 않았다. 최근에는 한국건설기술연구원의 주요사업의 일환으로 수행중인 “FRP 재료를 활용한 인프라구조물 구조성능기술 개발 (2013-2017)” 과제의 세세부과제인 “FRP Hybrid Bar를 활용한 해양항만 구조물 수명향상 기술 개발” 과제에서 하이브리드 GFRP 근의 개발이 추진되고 있으며, 국토교통과학기술진흥원이 발주한 “ICT 기반 교량 수명 연장을 위한 부분교체 및 저탄소 소재 활용 기술 개발” 연구단 과제의 세세부과제 “콘크리트 부재 장수명화를 위한 FRP 보강근 실용화 기술 개발(2013-2017)”을 통해 국내 GFRP 근의 시험규격 및 구조설계기준을 정비하고, 이를 토대로 국내 여건에 적합한 GFRP 근 실용화를 위해 연구 중이다.
GFRP 근의 적용이 늘어나는 주 원인은? 건설 분야에 FRP 복합재료가 도입된 것은 1950년대 이며, GFRP 근이 건설 분야에 도입된 것은 1970년대 후반으로, 초창기 Marshall-Vega 사가 미국의 GFRP 근 시장을 이끌었으며 이후 북미 지역을 중심으로 ASLAN, IsoRod(이후 V-Rod로 변경) 등 다양한 GFRP 근 제조사가 등장하게 된다1). GFRP 근의 적용이 늘어나는 주 원인이 겨울철의 과도한 제설제 사용, 해양 환경 등 부식 환경에 노출된 구조물의 철근을 무부식 재료인 GFRP 근으로 대체하기 위해서이다. GFRP 근 관련 설계기준으로 미국의 ACI 440 위원회에서 2006년 ACI 440.
AASHTO란? AASHTO에서는 LRFD 설계법에 근거한 기준4)(이하 AASHTO)을 제시한 바 있다. AASHTO는 ACI 440.1R-062)에 기초하고 있으며 교량 바닥판 및 난간에 한정적으로 적용가능한 기준이다. 캐나다에서는 2006년 Canadian Highway Bridge Design Code(이하 CHBDC)5), 2007년 ISIS Design Manual6) 등이 제시되었으며 최근 기준은 CSA-S806-127)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5)

  1. Korea Institute of Construction Technology, Development of FRP Rebar and its Application Technology, 2008. 

  2. ACI Committee 440, Guide for the Design and Construction of Concrete Reinforced with FRP Bar (ACI 440.1R-06). American Concrete Institute, 2006. 

  3. ACI Committee 440, Guide for the Design and Construction of Structural Concrete Reinforced with Fiber-Reinforced Polymer(FRP) Bars (ACI 440.1R-15), American Concrete Institute, 2015. 

  4. AASHTO, AASHTO LRFD Bridge Design Guide Specifications for GFRP-Reinforced Concrete Bridge Decks and Traffic Railings, 2009. 

  5. Canadian Standards Association, Canadian Highway Bridge Design Code(CSA-S6-06), 2006. 

  6. ISIS Canada, Design Manual Stregthening Reinforced Concrete Structures with Externally-Bonded Fibre Reinforced Polymer, 2007. 

  7. Canadian Standards Association, Design and Construction of Building Structures with Fibre-reinforced Polymers (CSA-S806-12), 2012. 

  8. L. Taerwe and S. Matthys, Fib Model Code for Concrete Structures 2010. Ernst & Sohn, Wiley, 2013. 

  9. D.-W. Seo, B.-S. Han and S.-W. Shin, "Behaviour of One-Way Concrete Slabs Reinforced with Fiber Reinforced Polymer(FRP) Bars", Journal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Vol. 19, No. 6, pp.763-771. 2007. 

  10. B.-S. Choi, "Deflection Behavior of Concrete Members Reinforced with FRP Bar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 12, No. 2, pp.936-943. 2011. 

  11. Y.C. Choi, K.S. Park, H.K. Choi and C.S. Choi, "Behavior of Reinforcement Ratio on Concrete Beams Reinforced with Lap Spliced GFRP Bar", Journal of Korea Institute for Structural Maintenance and Inspection, Vol. 15, No. 1, pp.67-76. 2011. 

  12. J.-S. Sim, H.-S. Oh, M.-K. Ju and J.-H. Lim, "New Suggestion of Effective Moment of Inertia for Beams Reinforced with the Deformed GFRP Rebar", Journal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Vol. 20, No. 2, pp.185-191. 2008. 

  13. S.-S. Ha and D.-U. Choi, "Development Length of GFRP Bars", Journal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Vol. 22, No. 1, pp.131-141. 2010. 

  14. J.-Y. Lee, C. Yi, T.-Y. Kim, J.-S. Park and Y.-H. Park, "Bond Failure Surface of Glass Fiber Reinforced Polymer Bars", Journal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Vol. 20, No. 3, pp.383-391. 2008. 

  15. Korea Road and Transportation Association, Korean Highway Bridge Design Code, 201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