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송라(Usnea longissima)추출물로부터 균핵병 병원균(Sclerotinia sclerotiorum)에 대한 항균 활성물질 탐색
Isolation of Antimicrobial Active Substance from Usnea longissima against Sclerotial Rot (Sclerotinia sclerotiorum) 원문보기

韓國有機農業學會誌 = Korean journal of organic agriculture, v.23 no.4, 2015년, pp.887 - 896  

권유빈 (경북대학교 대학원 생태환경시스템학과) ,  최용화 (경북대학교 생태환경대학 생태환경시스템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균핵병의 원인균인 Sclerotinia sclerotiorum에 대해 항균활성을 갖는 친환경 유기농자재를 개발할 목적으로 송라(Usnea longissima)로부터 활성물질을 분리하였다. 송라를 MeOH로 추출하여 용매분획을 하였고, 용매분획 중에서 강한 활성을 나타낸 $CHCl_3$ fraction을 column chromatography로 분리하여 40개의 subfractions을 얻었고 9개의 그룹으로 나누었다. 9개의 subfractions을 bioassay한 결과 G3 subfraction에서 강한 활성을 나타내었다. G3 subfraction을 GC-MS로 분석하여 chromatogram 상의 활성물질로 추정되는 peak의 mass spectrum과 Wiley library를 비교하여 profiling한 결과, Usnic acid가 주요 물질로 검출되었다. 항균활성물질로 추정되는 Usnic acid 화합물의 항균활성을 검정하기 위하여 표준품을 사용하여 생물검정한 결과 이 화합물이 강한 활성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송라로부터 분리한 Usnic acid가 균핵병의 원인균인 Sclerotinia sclerotiorum에 대한 항균 활성물질인 것으로 추정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o develop environment-friendly agricultural products with anti-microbial activity against Sclerotinia sclerotiorum as a pathogen of sclerotium disease, Usnea longissima was extracted by methanol and its extract was fractionated into several solvent fractions. The chloroform fraction, which showed 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송라로부터 Sclerotinia sclerotiorum에 항균활성을 갖는 항균물질을 탐색하여 추후 친환경 농자재 개발에 이용하고자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 본 연구는 균핵병의 원인균인 Sclerotinia sclerotiorum에 대해 항균활성을 갖는 친환경 유기농자재를 개발할 목적으로 송라(Usnea longissima)로부터 활성물질을 분리하였다. 송라를 MeOH로 추출하여 용매분획을 하였고, 용매분획 중에서 강한 활성을 나타낸 CHCl3 fraction을 column chromatography로 분리하여 40개의 subfractions을 얻었고 9개의 그룹으로 나누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균핵병 중 Sclerotinia 속에 의한 병에는 무엇이 있는가? 균핵병 중 Sclerotinia 속에 의한 병은 기주의 감염부위나 환경조건에 따라 솜털썩음병, 흰곰팡이병, 물렁썩음병, 줄기썩음병, 초관썩음병, 꽃썩음병 등으로 나타난다. 기주범위는 매우 넓으며 채소, 화훼류 등 여러 종류의 식물에 큰 병을 일으킨다.
뽕나무는 과거에 주로 어디에 이용되었는가? , 2007). 오디 열매가 자라는 뽕나무는 뽕나무과(Moraceae)의 뽕나무속(Morus)에 속하는 교목성 낙엽수이며 과거 대부분 양잠을 위한 뽕잎 공급 및 일부 한약재로서 이용되었다. 그러나 최근 들어 양잠산업은 침체되고 뽕나무 잎이나 열매인 오디의 다양한 효능이 밝혀짐에 따라 재배 면적이 늘었다(Kim, 2005; Kim et al.
S. sclerotiorum병원균은 우리나라에서는 주로 어디서 발병되는가? 우리나라의 경우 고랭지 채소재배지, 십자화과 채소재배지, 시설재배지에서 주로 발병된다고 보고되어 있다(Cho, 1976; Kim et al., 1999, 2003, 2006; Shin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Abawi, G. S. and Grogan, R. G. 1975. Source of primary inoculum and effects of temperature and moisture on infection of beans by Whetzelinia sclerotiorum. Phytopathology. 65: 300-309. 

  2. Abawi, G. S. and Grogan, R. G. 1979. Epidemiology of disease caused by Sclerotinia species. Phytopathology. 69: 899-904 

  3. Agrios, G. N. 1998. Plant pathology. 4rd ed., Academic Press. p. 635. 

  4. Bardin, S. D. and Huang, H. C. 2001. Research on biology and control of Sclerotinia diseases in Canada. Can. J. Plant Pathol. 23: 88-98. 

  5. Baskar K., Sasikumar S., Muthu C., Kingsley S., and Ignacimuthu S. 2011. Bioefficacy of Aristolochia tagala Cham. against Spodoptera litura Fab. (Lepidoptera: Noctuidae). Saudi Journal of Biological Sciences. 18: 23-27. 

  6. Boland, G. J. and Hall, R. 1994. Index of host plants of Sclerotinia sclerotiorum. Canadian journal of Plant Pathol. 16: 93-108. 

  7. Cho, C. T. 1976. Present Status and Problems for the Control of Vegetable Diseases in the Vinyl house. Korean J. Plant Protection. 154: 215-222 

  8. Hall, B. H., R. L. McMahon, and T. J. Wicks. 2002. First report of Sclerotinia sclerotiorumon grape (Vitis vinifera) in South Australia. Australasian Plant Pathol. 31: 417-418. 

  9. Hong, S. K., W. G. Kim, G. B. Sung, S. H. Nam, and J. S. Kim. 2007. Aspects of Popcorn Disease Occurrence on Mulberry Fruits in Korea. Res. Plant Dis. 13(3): 131-136 

  10. Hwang, J. Y., C. K. Shim, K. Y. Ryu, D. H. Choi, and H. J. Jee. 2006. Selection of Brevibacillus brevis B23 and Bacillus stearothermophilus B42 as biological control agents against sclerotinia rot of lettuce. Res. Plant Dis. 12: 254-259. (In Korean) 

  11. Kang, J. Y., D. H. Kim, D. G. Lee, I. S. Kim, M. G. Jeon, J. D. Lee, I. H. Kim, and Sanghyun Lee. 2013. Screening of Antifungal Activities of Medicinal Plants for the Control of Turfgrass Fungal Disease. Weed Turf. Sci. 2(1): 70-75. 

  12. Kim, E. O., Y. J. Lee, H. H. Leem, I. H. Seo, M. H. Yu, D. H. Kang, and S. W. Choi. 2010. Comparison of nutritional and functional constituents, and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mulberrys from seven different Morus alba L. cultivars. J. Kor. Soc. Food Sci. Nutr. 39(10): 1467-1475. 

  13. Kim, H. B. 2005. Anti-oxidative capacity analysis of water-soluble substances according to varieties and maturity stages in mulberry leaves and fruits. Kor. J. Seric. Sci. 47(2): 62-67. 

  14. Kim, H. W., K. Y. Lee, J. W. Baek, H. J. Kim, J. Y. Park, J. W. Lee, S. J. Jung, and B. J. Moon. 2004.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antagonistic bacterium active against Sclerotinia sclerotiorum causing sclerotinia rot on crisphead lettuce. Res. Plant Dis. 12: 254-259. (In Korean) 

  15. Kim, K. C. 1976. The effect of ray on sclerotia formation of sclerotium disease. Korean J. Plant Protect. 15: 223-243. (In Korean) 

  16. Kim, W. G., W. D. Cho, and H. J. Jee. 1999. Occurrence of Sclerotinia rot on cucurbitaceous vegetable crops in greenhouses. Korean J. Mycol. 27: 198-205 

  17. Kim, W. G. and W. D. Cho. 2003. Occurrence of Sclerotinia rot in cruciferous crops caused by Sclerotinia spp. Plant Pathol. J. 19: 69-74 

  18. Kim, W. G., S. K. Hong, and S. Y. Lee. 2006. Occurrence of Sclerotinia rot in four leguminous crops caused by Sclerotinia sclerotiorum. Plant Pathol. J. 22: 16-20 

  19. Kora, C., M. R. McDonald, and G. J. Boland. 2003. Sclerotinia rot of carrot: An example of phenological adaptation and bicyclic development by Sclerotinia sclerotiorum. plant Dis. 87: 456-470. 

  20. The Korean Society of Plant Pathology. 2004. List of Plant Diseases in Korea. p. 779. 

  21. Kramer, P., U. Wincierz, G. Gruber, J. Tschakert, W. Voelter, and H. Mayer. 1995. Rational approach to fraction,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polysaccharides from the lichen Cetraria islandica. Drug Research. 45: 72-731 

  22. Latorre, B. A. and M. J. Guerrero, 2001. First report of shoot blight of grapevine caused by Sclerotinia sclerotiorum in Chile. Plant Dis. 85: 1122. 

  23. Purdy, L. H. 1979. Sclerotinia sclerotiorum: History, diseases and symptomatology, host range, geographic distribution, and impact. Phytopathology 69: 875-880. 

  24.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RDA). 2010. Culivation techniques of Mulberry. pp. 6-7, 62. 

  25. Schwartz, H. F. and J. R. Steadman. 1978. Factors affecting sclerotium populations of, and apothecium production by Sclerotinia sclerotiorum. phytopathology 68: 383-388. 

  26. Shin, D. B. and J. T. Lee. 1987. Ecological studies on lettuce drop disease occurring under controlled cultivation conditions in drained paddy fields. Korean J. Plant Pathol. 3: 252-260 

  27. Subbarao, K. V. 1998. Progress toward integrated management of lettuce drop. Plant Dis. 82: 1068-1078. 

  28. Thirugnanasampandan R., G. Mahendran and V. Narmatha Bai. Antioxidant properties of some medicinal Aristolochiaceae species. African Journal of Biotechnology. 7(4): 357-361. 

  29. Whipps, J. M., S. P. Budge, S. McClement, and D. A. C. Pink. 2002. A glasshouse cropping method for screening lettuce lines for resistance to Sclerotinia sclerotiorum. Eur. J. Plant Pathol. 108: 373-378.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