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응급실 방문 자살기도자들의 기도 원인, 방법, 정신과적 진단에 대한 다기관 분석
Attempted Suicides in South Korea : A Multi-Center Analysis of Causes, Methods, and Psychiatric Diagnoses of Suicidal Attempters in 2013 원문보기

생물정신의학 = Korean journal of biological psychiatry, v.22 no.4, 2015년, pp.187 - 194  

김혜영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정신건강의학교실) ,  김보라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정신건강의학교실) ,  강승걸 (가천대학교 의과대학 길병원 정신건강의학교실) ,  김문두 (제주대학교 의과대학 정신건강의학교실) ,  김민혁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원주세브란스기독병원 정신건강의학교실) ,  김수인 (이화여자대학교 의과대학 정신건강의학교실) ,  김재민 (전남대학교 의과대학 정신건강의학교실) ,  문은수 (부산대학교 의과대학 정신건강의학교실) ,  안준호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울산대학교병원 정신건강의학교실) ,  이경욱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의정부성모병원 정신건강의학교실) ,  이상혁 (차의과학대학교 분당차병원 정신건강의학교실) ,  이승재 (경북대학교 의과대학 정신건강의학교실) ,  정성훈 (을지대학교 의과대학 을지대학교병원 정신건강의학교실) ,  정영철 (전북대학교 의과대학 정신건강의학교실) ,  정희연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정신건강의학교실) ,  주가원 (충북대학교 의과대학 정신) ,  차보석 하태현 안용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To examine direct causes of attempted suicides, methods adopted to commit suicide, and psychiatric diagnoses among suicide attempters in South Korea. Methods A total of 1359 suicide attempters who had visited emergency department of 17 medical centers due to suicide attempt from May 2013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지역별로 인구 비례하여 전국 17개 병원을 선정하고, 이들 병원의 응급실을 방문한 자살기도자를 대상으로 자살기도의 원인과 주로 선택되는 방법, 이들의 정신과적 진단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자살시도는 여성에서 더 많고, 자살시도로 인해 죽음에까지 이르는 경우는 남성이 더 많은 이유는? 5배 많았는데, 일반적으로 자살시도는 여성에서 더 많고, 자살시도로 인해 죽음에까지 이르는 경우는 남성이 더 많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18)19) 이러한 현상에 대해 가능한 설명 중 하나는 남성이 여성보다 더 치명적인 자살기도 방법을 사용하기 때문이라는 것이다.19) 본 연구에서도 여성에서는 치명성이 낮은 자살방법으로 분류되는20) 약물 음독과 날카로운 물질을 이용한 자상의 비율이 높게 나타난 반면, 남성에서는 치명성이 높은21) 농약 음독과 가스 음독이 여성에서보다 높은 비중을 차지하였다.
Pirkola 등의 조사에 따르면 음독 자살은 어떤 환자에게 더 많이 발생하였는가? Pirkola 등24)의 조사에 따르면 음독 자살은 여성, 또는 과거 정신과 치료력이 있으면서 동시에 자살기도력이 있는 환자에서 더 많이 발생하였다. 본 연구에서도 여성과 기존 정신과적 병력이 있는 자에서 음독 자살이 두드러지게 높게 나타났으며, 자살기도의 과거력이 있는 자에서는 날카로운 물질에 의한 자상이 특징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자살을 이해하는 데 가장 큰 장애물은 무엇인가? 자살을 이해하는 데 있어서 가장 큰 장애물은 자살 당사자와의 면담이 불가능하다는 것인데,4) 이를 극복하기 위한 방법 중 하나로 자살자들의 심리부검을 통한 연구들이 이루어져 왔다. 국내에서도 다수의 연구가 있었지만5-7) 전체 자살 사망자의 수와 비교하였을 때 심리부검 사례 건수는 매우 적은 수에 불과하여 대표성의 문제가 있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World Health Organization. Preventing suicide: a global imperative. Geneva: World Health Organization;2014. 

  2. Bennett AT, Collins KA. Suicide: a ten-year retrospective study. J Forensic Sci 2000;45:1256-1258. 

  3. Hughes DH. Can the clinician predict suicide? Psychiatr Serv 1995;46:449-451. 

  4. Cavanagh JT, Carson AJ, Sharpe M, Lawrie SM. Psychological autopsy studies of suicide: a systematic review. Psychol Med 2003;33:395-405. 

  5. Korean Association for Suicide Prevention. A research on the construction of psychological autopsy for suicide victims and case management for suicide attempters. Sejong: Ministry of Health & Welfare;2009. 

  6. Gyeonggi Provincial Center for Suicide Prevention. 2013 Gyeonggi Province psychological autopsy report. Suwon: Gyeonggi Provincial Center for Suicide Prevention;2014. 

  7. Incheon Metropolitan Suicide Prevention Center. A report on the psychological autopsy in Incheon. Incheon: Incheon Metropolitan Suicide Prevention Center;2014. 

  8. Na KS, Paik JW, Yun MK, Kim HS. Psychological Autopsy: Review and Considerations for Future Directions in Korea. J Korean Neuropsychiatr Assoc 2015;54:40-48. 

  9. Nordstrom P, Asberg M, Aberg-Wistedt A, Nordin C. Attempted suicide predicts suicide risk in mood disorders. Acta Psychiatr Scand 1995;92:345-350. 

  10. Beautrais AL. Subsequent mortality in medically serious suicide attempts: a 5 year follow-up. Aust N Z J Psychiatry 2003;37:595-599. 

  11. Beautrais AL. Suicides and serious suicide attempts: two populations or one? Psychol Med 2001;31:837-845. 

  12. Weissman MM. The epidemiology of suicide attempts, 1960 to 1971. Arch Gen Psychiatry 1974;30:737-746. 

  13. Kim SY, Song HS, Kim KD, Lee KK. A Study of Patients with Suicidal Attempt. J Korean Soc Emerg Med 1999;10:560-567. 

  14. Park JH, Wi DH. Clinical Analysis of the Suicidal Attempters Visiting Emergency Center. J Korean Soc Emerg Med 1999;10:568-578. 

  15. Choi DC, Kim HY, Kim CH, Park SH, Kim SH, Cho YR, et al.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the suicide attempters visiting emergency room. Korean J Psychopathol 2000;9:36-49. 

  16. Hur JW, Choi KY, Lee BH, Shim SH, Yang JC, Kim YK. The Psychosocial Factors Affecting Suicide Attempt. J Korean Neuropsychiatr Assoc 2007;46:129-135. 

  17. Lim M, Kim SW, Nam YY, Moon E, Yu J, Lee S, et al. Reasons for desiring death: examining causative factors of suicide attempters treated in emergency rooms in Korea. J Affect Disord 2014;168:349-356. 

  18. Hawton K. Sex and suicide. Gender differences in suicidal behaviour. Br J Psychiatry 2000;177:484-485. 

  19. Mo?cicki EK. Gender differences in completed and attempted suicides. Ann Epidemiol 1994;4:152-158. 

  20. Elnour AA, Harrison J. Lethality of suicide methods. Inj Prev 2008;14:39-45. 

  21. Florentine JB, Crane C. Suicide prevention by limiting access to methods: a review of theory and practice. Soc Sci Med 2010;70:1626-1632. 

  22. Li X, Phillips MR, Cohen A. Indepth interviews with 244 female suicide attempters and their associates in northern China: understanding the process and causes of the attempt. Crisis 2012;33:66-72. 

  23. Chen YY, Wu KC, Yousuf S, Yip PS. Suicide in Asia: opportunities and challenges. Epidemiol Rev 2012;34:129-144. 

  24. Pirkola S, Isometsa E, Lonnqvist J. Do means matter?: Differences in characteristics of Finnish suicide completers using different methods. J Nerv Ment Dis 2003;191:745-750. 

  25. Suominen KH, Isometsa ET, Henriksson MM, Ostamo AI, Lonnqvist JK. Inadequate treatment for major depression both before and after attempted suicide. Am J Psychiatry 1998;155:1778-1780. 

  26. Bertolote JM, Fleischmann A. Suicide and psychiatric diagnosis: a worldwide perspective. World Psychiatry 2002;1:181-185. 

  27. Marttunen MJ, Aro HM, Henriksson MM, Lonnqvist JK. Mental disorders in adolescent suicide. DSM-III-R axes I and II diagnoses in suicides among 13- to 19-year-olds in Finland. Arch Gen Psychiatry 1991;48:834-839.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