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양극성장애 환자와 대조군에서 뇌파 코히런스의 성별 차이
The Sex-Related Differences of EEG Coherences between Patients with Bipolar Disorder and Controls 원문보기

생물정신의학 = Korean journal of biological psychiatry, v.22 no.4, 2015년, pp.205 - 215  

유현주 (용인정신병원 정신건강의학과) ,  이유상 (용인정신병원 정신건강의학과) ,  안은숙 (용인정신병원 정신건강의학과) ,  정동화 (한국과학기술원 바이오및뇌공학과) ,  김성균 (한국과학기술원 바이오및뇌공학과) ,  정재승 (한국과학기술원 바이오및뇌공학과) ,  곽용태 (효자병원 신경과) ,  이승연 (세종대학교 응용통계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Sex hormones exposure during the prenatal period has an effect on cerebral lateralization. Male brains are thought to be more lateralized than female brains. Bipolar disorder was known to show abnormalities in cerebral laterality whose characteristics could be estimated by electroencephal...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기존 연구의 대조군 데이터 자료를 사용하여 양극성장애와 대조군에서 성별에 따른 뇌파 코히런스 차이를 관찰하였다. 그 결과, 대조군 여성이 대조군 남성보다 반구간 뇌파 코히런스값이 크게 측정되는 여성 우세성이 관찰되었는데, 이는 발생 초기 성호르몬의 노출 차이에 의해 대뇌 편측화가 결정된다는 사전연구와 일치되는 것이다.
  • 본 연구에서는 양극성장애 환자군과 대조군에서의 남녀 차이를 보기에 앞서 양극성장애 남성 환자군과 남성 대조군, 양극성장애 여성 환자군과 여성 대조군으로 나누어 성별에 따른 뇌파 코히런스 차이를 예비적으로 분석하였다.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아 결과에 대해 기술하지 않았지만, 양극성장애 남성 환자군에서는 대조군 남성과 비교하여 반구내 코히런스값의 증가가 관찰되었으며, 양극성장애 여성 환자군에서는 대조군 여성과 비교하여 반구간 코히런스 값의 증가가 관찰되었다.
  • 본 연구에서는 양극성장애 환자군에서 뇌파 코히런스를 측정하여 성별에 따른 대뇌편측화의 특성을 조사하고 이를 통해 양극성장애의 병태생리에서 성차가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는 보이지 않았지만, 대조군 여성에게서 반구간 뇌파 코히런스 우세를 보였으며, 양극성장애 여성 환자에서는 약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 사후검정을 통과하지 못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발견할 수 없었다. 이에 대조군 남성이 대조군 여성에 비해 우측 반구내 코히런스값이 큰 경우의 개수를 가지고 경향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대조군 남성이 대조군 여성에 비해 우측 반구내 코히런스값이 큰 경우는 없으며, 대조군 여성이 대조군 남성에 비해 우측 반구내 코히런스값이 큰 경우는 델타 주파수에서 1개였다.
  • 사후검정을 통과하지 못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발견할 수 없었다. 이에 대조군 남성이 대조군 여성에 비해 좌측 반구내 코히런스값이 큰 경우의 개수를 가지고 경향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대조군 남성이 대조군 여성에 비해 좌측 반구내 코히런스값이 큰 경우는 알파 주파수에서 1개였으며, 남성에 비해 여성이 큰 경우는 나타나지 않았다.
  • 사후검정을 통과하지 못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발견할 수 없었다. 이에 대조군 여성이 대조군 남성에 비해 반구간 코히런스값이 큰 경우의 개수를 가지고 경향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대조군 여성이 대조군 남성에 비해 반구간 코히런스값이 큰 경우는 감마 주파수에서 53개였으며, 남성이 여성에 비해 큰 경우는 베타 주파수에서 3개, 감마 주파수에서 3개였다.
  • 생애초기 성호르몬이 대뇌편측화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보고, 정신병의 발생에 기근과 같은 환경요인이 일정부분 역할을 한다는 주장, 양극성장애 환자에서 대뇌편측화의 이상을 보인다는 기존 연구결과 등을 종합하여 첫째, 대조군에서 성별에 따른 뇌파 코히런스 차이가 남성에서는 반구내에서 우세할 것이고, 둘째, 여성에서는 반구간에서 우세할 것이며, 셋째 양극성장애 환자군에서는 대조군에서 보이는 성별에 따른 뇌파 코히런스 차이가 감쇠될 것으로 가정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성(sex)차가 양극성장애의 뇌 편측화에 미치는 영향을 이해하고자 하였다.

가설 설정

  • A : Numbers of male dominant (M > F) right intrahemispheric coherences between control and patients with bipolar disorder groups.
  • Sex-related differences of interhemispheric coherences between controls and patients with bipolar disorder groups. A : Numbers of male dominant interhemispheric coherences between control and patients with bipolar disorder groups. B : Numbers of female dominant interhemispheric coherences between control and patients with bipolar disorder groups.
  • Sex-related differences of left intrahemispheric coherences between control and patients with bipolar disorder groups. A : Numbers of male dominant left intrahemispheric coherences between control and patients with bipolar disorder groups. B : Numbers of female dominant left intrahemispheric coherences between control and patients with bipolar disorder groups.
  • B : Numbers of female dominant (F > M) right intrahemispheric coherences between control and patients with bipolar disorder groups.
  • A : Numbers of male dominant interhemispheric coherences between control and patients with bipolar disorder groups. B : Numbers of female dominant interhemispheric coherences between control and patients with bipolar disorder groups. N : number, BP : patients with bipolar disorder, NC : controls.
  • A : Numbers of male dominant left intrahemispheric coherences between control and patients with bipolar disorder groups. B : Numbers of female dominant left intrahemispheric coherences between control and patients with bipolar disorder groups. N : number, BP : patients with bipolar disorder, NC : controls.
  • 생애초기 성호르몬이 대뇌편측화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보고, 정신병의 발생에 기근과 같은 환경요인이 일정부분 역할을 한다는 주장, 양극성장애 환자에서 대뇌편측화의 이상을 보인다는 기존 연구결과 등을 종합하여 첫째, 대조군에서 성별에 따른 뇌파 코히런스 차이가 남성에서는 반구내에서 우세할 것이고, 둘째, 여성에서는 반구간에서 우세할 것이며, 셋째 양극성장애 환자군에서는 대조군에서 보이는 성별에 따른 뇌파 코히런스 차이가 감쇠될 것으로 가정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성(sex)차가 양극성장애의 뇌 편측화에 미치는 영향을 이해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뇌파란 무엇인가? 뇌파(electroencephalography, 이하 EEG)는 대뇌 피질의 전기적 활동을 측정하여 뇌의 기능을 관찰할 수 있도록 해주는 것으로 1929년 Hans Berger1)가 처음으로 사람을 대상으로 뇌파를 측정한 이후 현재까지 임상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뇌파는 뇌의 기능을 볼 수 있는 다른 측정 도구들과 비교하여 경제적이며, 짧은 검사 시간 및 시간의 흐름에 따른 두뇌 기능의 변화를 측정하여 분석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최초로 뇌파를 측정한 사람은 언제 측정했으며 누구인가? 뇌파(electroencephalography, 이하 EEG)는 대뇌 피질의 전기적 활동을 측정하여 뇌의 기능을 관찰할 수 있도록 해주는 것으로 1929년 Hans Berger1)가 처음으로 사람을 대상으로 뇌파를 측정한 이후 현재까지 임상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뇌파는 뇌의 기능을 볼 수 있는 다른 측정 도구들과 비교하여 경제적이며, 짧은 검사 시간 및 시간의 흐름에 따른 두뇌 기능의 변화를 측정하여 분석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여성이 남성에 비해 반구간 코히런스가 큰 편인데, 이 뇌파의 코히런스는 무엇이며 어떻게 얻어지는가? 뇌의 구조적 혹은 기능적 비대칭성은 발생 당시 남성과 여성에서 동일한 정도로 표현되었다가 성호르몬에 의해 이차적으로 변형이 되어 남성에서는 반구간 비대칭성(interhemispheric asymmetry)이 커지고 여성에서는 감소하는 결과가 발생한다는 연구 결과가 널리 수용되고 있다.2) 뇌파의 코히런스(electroencephalographic coherence)는 대뇌 피질의 서로 다른 곳에서 발생시키는 전기 신호의 상호관계 분석 을 통해 얻을 수 있으며, 다른 두 대뇌 영역 사이의 기능적 연결성을 반영하는 척도로, 여러 연구에 사용되고 있다.3)4) 일반적으로 여성은 남성에 비해 반구간 코히런스(interhemispheric coherence)가 큰 것으로 알려져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8)

  1. Tudor M, Tudor L, Tudor KI. [Hans Berger (1873-1941)--the history of electroencephalography]. Acta Med Croatica 2005;59:307-313. 

  2. Bianki VL, Filippova EB. Sex Differences in Lateralization in the Animal Brain. 1st ed. Amsterdam: Harwood Academic Publishers;2000. p.1-18. 

  3. Thatcher RW, Krause PJ, Hrybyk M. Cortico-cortical associations and EEG coherence: a two-compartmental model. Electroencephalogr Clin Neurophysiol 1986;64:123-143. 

  4. Davidson RJ, Schwartz GE, Pugash E, Bromfield E. Sex differences in patterns of EEG asymmetry. Biol Psychol 1976;4:119-138. 

  5. Wada Y, Nanbu Y, Kadoshima R, Jiang ZY, Koshino Y, Hashimoto T. Interhemispheric EEG coherence during photic stimulation: sex differences in normal young adults. Int J Psychophysiol 1996;22:45-51. 

  6. Beaumont JG, Mayes AR, Rugg MD. Asymmetry in EEG alpha coherence and power: effects of task and sex. Electroencephalogr Clin Neurophysiol 1978;45:393-401. 

  7. Langrova J, Kremlacek J, Kuba M, Kubova Z, Szanyi J. Gender impact on electrophysiological activity of the brain. Physiol Res 2012;61 Suppl 2:S119-S127. 

  8. Pollock VE, Schneider LS, Lyness SA. Reliability of topographic quantitative EEG amplitude in healthy late-middle-aged and elderly subjects. Electroencephalogr Clin Neurophysiol 1991;79:20-26. 

  9. Rangaswamy M, Porjesz B, Chorlian DB, Choi K, Jones KA, Wang K, et al. Theta power in the EEG of alcoholics. Alcohol Clin Exp Res 2003;27:607-615. 

  10. Blackhart GC, Minnix JA, Kline JP. Can EEG asymmetry patterns predict future development of anxiety and depression? A preliminary study. Biol Psychol 2006;72:46-50. 

  11. Guven S, Kesebir S, Demirer RM, Bilici M, Erdem M, Celik C, et al. Electroencephalography spectral power density in first-episode mania: a comparative study with subsequent remission period. Arch Neuropsychiatr 2015;52:194-197. 

  12. Sporns O, Tononi G, Edelman GM. Connectivity and complexity: the relationship between neuroanatomy and brain dynamics. Neural Netw 2000;13:909-922. 

  13. Arnold LM. Gender differences in bipolar disorder. Psychiatr Clin North Am 2003;26:595-620. 

  14. Small JG, Milstein V, Malloy FW, Klapper MH, Golay SJ, Medlock CE. Topographic EEG studies of mania. Clin Electroencephalogr 1998;29:59-66. 

  15. Degabriele R, Lagopoulos J. A review of EEG and ERP studies in bipolar disorder. Acta Neuropsychiatrica 2009;21:58-66. 

  16. Ozerdema A, Guntekind B, Atagune MI, Basar E. Brain oscillations in bipolar disorder in search of new biomarkers. Suppl Clin Neurophysiol 2013;62:207-221. 

  17. Crow TJ, Chance SA, Priddle TH, Radua J, James AC. Laterality interacts with sex across the schizophrenia/bipolarity continuum: an interpretation of meta-analyses of structural MRI. Psychiatry Res 2013;210:1232-1244. 

  18. St Clair D, Xu M, Wang P, Yu Y, Fang Y, Zhang F, et al. Rates of adult schizophrenia following prenatal exposure to the Chinese famine of 1959-1961. JAMA 2005;294:557-562. 

  19. Geschwind N, Galaburda AM. Cerebral lateralization. Biological mechanisms, associations, and pathology: III. A hypothesis and a program for research. Arch Neurol 1985;42:634-654. 

  20. Lust JM, Geuze RH, Van de Beek C, Cohen-Kettenis PT, Bouma A, Groothuis TG. Differential effects of prenatal testosterone on lateralization of handedness and language. Neuropsychology 2011;25:581-589. 

  21. Manning JT. Digit ratio : a pointer to fertility, behavior, and health. New Brunswick: Rutgers Univiersity Press;2002. p.24-40. 

  22. Cho HW, Chae JH, Lee YS. The differences of 2nd to 4th digit length ratio between schizophrenia patients and normal controls. J Korean Neuropsychiatr Assoc 2009;48:496-501. 

  23. Manning JT, Bundred PE. The ratio of 2nd to 4th digit length: a new predictor of disease predisposition? Med Hypotheses 2000;54:855-857. 

  24. Jung HM, Lee YS, Kim S, Kim S, Jeong J, Oh JS, et al. Sex-Related Differences of EEG Coherences between Patients with Schizophrenia and Healthy Controls. Korean J Biol Psychiatry 2013;20:166-178. 

  25.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 DSM-IV-TR. 4th ed. text revision. Washington, DC: American Psychiarty Association;2000. p.462-473. 

  26. Woods SW. Chlorpromazine equivalent doses for the newer atypical antipsychotics. J Clin Psychiatry 2003;64:663-667. 

  27. Merikangas KR, Jin R, He JP, Kessler RC, Lee S, Sampson NA, et al. Prevalence and correlates of bipolar spectrum disorder in the world mental health survey initiative. Arch Gen Psychiatry 2011;68:241-251. 

  28. Murphy E, McMahon FJ. Pharmacogenetics of antidepressants, mood stabilizers, and antipsychotics in diverse human populations. Discov Med 2013;16:113-122. 

  29. Weissman MM, Wickramaratne P, Greenwald S, Hsu H, Ouellette R, Robins LN, et al. The changing rate of major depression. Crossnational comparisons. Cross-National Collaborative Group. JAMA 1992;268:3098-3105. 

  30. Juli G, Juli MR, Juli L. Involvement of genetic factors in bipolar disorders: current status. Psychiatr Danub 2012;24 Suppl 1:S112-S116. 

  31. Kieseppa T, Partonen T, Haukka J, Kaprio J, Lonnqvist J. High concordance of bipolar I disorder in a nationwide sample of twins. Am J Psychiatry 2004;161:1814-1821. 

  32. Monkul ES, Malhi GS, Soares JC. Anatomical MRI abnormalities in bipolar disorder: do they exist and do they progress? Aust N Z J Psychiatry 2005;39:222-226. 

  33. Strakowski SM, Adler CM, Almeida J, Altshuler LL, Blumberg HP, Chang KD, et al. The functional neuroanatomy of bipolar disorder: a consensus model. Bipolar Disord 2012;14:313-325. 

  34. Ozerdem A, Guntekin B, Tunca Z, Basar E. Brain oscillatory responses in patients with bipolar disorder manic episode before and after valproate treatment. Brain Res 2008;1235:98-108. 

  35. Basar E, Guntekin B, Atagun I, Turp Golbasi B, Tulay E, Ozerdem A. Brain's alpha activity is highly reduced in euthymic bipolar disorder patients. Cogn Neurodyn 2012;6:11-20. 

  36. Ozerdem A, Guntekin B, Saatci E, Tunca Z, Basar E. Disturbance in long distance gamma coherence in bipolar disorder. Prog Neuropsychopharmacol Biol Psychiatry 2010;34:861-865. 

  37. Oda Y, Onitsuka T, Tsuchimoto R, Hirano S, Oribe N, Ueno T, et al. Gamma band neural synchronization deficits for auditory steady state responses in bipolar disorder patients. PLoS One 2012;7:e39955. 

  38. Townsend J, Altshuler LL. Emotion processing and regulation in bipolar disorder: a review. Bipolar Disord 2012;14:326-339. 

  39. Merrin EL, Floyd TC. Negative symptoms and EEG alpha activity in schizophrenic patients. Schizophr Res 1992;8:11-20. 

  40. Andreasen NC. Schizophrenia: the fundamental questions. Brain Res Brain Res Rev 2000;31:106-112. 

  41. Weinberger DR, Berman KF, Suddath R, Torrey EF. Evidence of dysfunction of a prefrontal-limbic network in schizophrenia: a magnetic resonance imaging and regional cerebral blood flow study of discordant monozygotic twins. Am J Psychiatry 1992;149:890-897. 

  42. Wing JK, Agrawal N. Concepts and classification of schizophrenia. In: Hirsch SR, Weinberger DR, editors. Schizophrenia. 2nd ed. Oxford: Blackwell Science;2003. p.3-13. 

  43. Maier W, Zobel A, Wagner M. Schizophrenia and bipolar disorder: differences and overlaps. Curr Opin Psychiatry 2006;19:165-170. 

  44. Moller HJ. Bipolar disorder and schizophrenia: distinct illnesses or a continuum? J Clin Psychiatry 2003;64 Suppl 6:23-27. 

  45. Kim YK, Shin JK, Park CW, Hong KS, Lee SY, Oh HS, et al. The Differences of EEG Coherence between Schizophrenia and Bipolar Disorder. Korean J Biol Psychiatry 2005;12:123-135. 

  46. Kelsoe JR. Arguments for the genetic basis of the bipolar spectrum. J Affect Disord 2003;73:183-197. 

  47. Bandyopadhyaya D, Nizamie SH, Pradhan N, Bandyopadhyaya A. Spontaneous gamma coherence as a possible trait marker of schizophrenia- An explorative study. Asian J Psychiatr 2011;4:172-177. 

  48. Guntekin B, Basar E. Brain oscillations are highly influenced by gender differences. Int J Psychophysiol 2007;65:294-299.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