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수도권 미래 도시성장이 오존농도 변화에 미치는 영향 연구
Study on the Effects of Future Urban Growth on Surface Ozone Concentrations in the Seoul Metropolitan Region 원문보기

Journal of environmental science international = 한국환경과학회지, v.24 no.1, 2015년, pp.31 - 46  

석현배 (부산대학교 지구환경시스템학부) ,  정주희 (부산대학교 대기환경과학과) ,  강윤희 (부산대학교 환경연구원) ,  김현수 (부산대학교 대기환경과학과) ,  김유근 (부산대학교 대기환경과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the regional climate (WRF) and air quality (CMAQ) models were used to simulate the effects of future urban growth on surface ozone concentrations in the Seoul metropolitan region (SMR). These analyses were performed based on changes in ozone concentrations during ozone seasons (May-Ju...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고농도 오존 현상이 지속적으로 나타나고 있고, 미래에도 지속적인 도시성장이 예상되는 수도권 지역을 중심으로 수도권 미래 도시성장이 오존농도 변화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 지역규모 대기질모델에 도시성장에 의한 기후와 배출량 변화를 함께 고려하여 모델링을 수행하였고, 수도권 지역의 미래 오존농도 변화에 대한 도시성장과 기후변화 효과를 정량적으로 분석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수도권 지역을 대상으로 미래 도시성장이 2050년 오존 농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고, RCP 기후변화 시나리오의 영향과 비교하였다. 2012년 11.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본 연구에서 사용한 기상모델인 WRF란 무엇인가? 1)을 사용하였다. 기상 입력자료를 생산하기 위하여 사용된 WRF모델은 완전 압축성 비정수계 방적식, 비정역학 모형으로 Arakawa-C 격자계이며, 연직 격자는 높이와 지형에 근거하여 새로 추가된 Eulerian 질량 좌표계이다 (Skamarock 등, 2008). 미래 기후자료를 생산하기 위해 사용된 WRF모델의 초기/경계조건은 IPCC 5차 평가보고서에서 제시한 RCP(Representative Concentration Pathways) 6.
미래 대기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중 기후와 배출량 변화에 모두 영향을 주는 요인은 무엇인가? 미래 대기질에 영향을 미치는 여러 요인 중에서도 도시성장은 기후와 배출량 변화에 모두 영향을 주는 중요한 요소이다(Gu 등, 2011; Wang 등, 2013; Sadorsky, 2014). 도시성장에 의한 토지피복 변화는 지역규모 혹은 도시규모의 기후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로서 수치모델에서 각 토지피복 상태에 따라 반사도, 수분량, 거칠기 길이 등의 물리적 성질이 다르게 적용되어 그 영향과 중요성에 관한 많은 연구들이 수행되었다(Lam 등, 2006; Cheng과 Byun, 2008; Jeong과 Kim, 2009; Kang 등, 2010).
전국 오존주의보 발령횟수 중 수도권이 차지하는 비중은 얼마인가? 특히, 수도권은 선진국 주요 대도시에 비해 악화된 대기환경현상을 개선하기 위해 2005년 ‘수도권 대기환경개선 기본계획’을 수립하고, ‘수도권 대기환경개선 특별대책’을 추진해 오고 있다 (Kim과 Choi, 2011). 수도권은 비수도권에 비해서 대기 오염이 심각한 수준으로, 전국 오존주의보 발령횟수의 45.5 % 가 수도권에서 발생하고 있다(ME, 2013). 이러한 대기환경 문제는 미래 기온상승과 비례하여 대기 내광화학적 반응을 촉진하여 오존 농도가 증가하는 기후변화 요인과 오염물질 배출량 증가 등에 의해 더욱 악화될 가능성이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4)

  1. Byun, D., Schere, K. L., 2006, Review of the governing equations, computational algorithms, and other components of the Models-3 Community Multiscale Air Quality (CMAQ) modeling system, Applied Mechanics Reviews, 59(2), 51-77. 

  2. Cheng, C. S., Campbell, M., Li, Q., Li, G., Auld, H., Day, N., Yap, D., 2007, A synoptic climatological approach to assess climatic impact on air quality in south-central Canada. Part II: future estimates, Water, Air, and Soil Pollution, 182(1-4), 117-130. 

  3. Cheng F-Y, Byun D. W., 2008, Application of high resolution land use and land cover data for atmospheric modeling in the Houston-Galveston metropolitan area, Part I: meteorological simulation results, Atmos Environ, 42, 7795-7811. 

  4. Civerolo, K., Hogrefe, C., Lynn, B., Rosenthal, J., Ku, J. Y., Solecki, W., Kinney, P., 2007, Estimating the effects of increased urbanization on surface meteorology and ozone concentrations in the New York City metropolitan region, Atmospheric environment, 41(9), 1803-1818. 

  5. Coleman, L., Martin, D., Varghese, S., Jennings, S. G., O'Dowd, C. D., 2013, Assessment of changing meteorology and emissions on air quality using a regional climate model: Impact on ozone, Atmospheric Environment, 69, 198-210. 

  6. Dawson, J. P., Adams, P. J., Pandis, S. N., 2007, Sensitivity of ozone to summertime climate in the eastern USA: A modeling case study, Atmospheric environment, 41(7), 1494-1511. 

  7. Gurjar, B. R., Butler, T. M., Lawrence, M. G., Lelieveld, J., 2008, Evaluation of emissions and air quality in megacities, Atmospheric Environment, 42(7), 1593-1606. 

  8. Gu, C., Hu, L., Zhang, X., Wang, X., Guo, J., 2011, Climate change and urbanization in the Yangtze River Delta, Habitat International, 35(4), 544-552. 

  9. Huryn, S. M., Gough, W. A., 2014, Impact of urbanization on the ozone weekday/weekend effect in Southern Ontario, Canada, Urban Climate, 8, 11-20. 

  10. Huszar, P., Juda-Rezler, K., Halenka, T., Chervenkov, H., Syrakov, D., Kruger, B. C., Belda, M., 2012, Effects of climate change on ozone and particulate matter over Central and Eastern Europe, Climate Research, 50(1), 51-68. 

  11. Jacob, D. J., Winner, D. A., 2009, Effect of climate change on air quality, Atmospheric Environment, 43(1), 51-63. 

  12. Jeong, J. H., Kim, Y. K., 2009, The Application of High-resolution Land Cover and Its Effects on Near-surface Meteorological Fields in Two Different Coastal Areas,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Atmospheric Environment, 25(5), 432-449. 

  13. Jeong, Y. M., Lee, H. W., Lee, S. H., Choe, H. J., J, W. B., 2010, Numerical Study on the Impact of Regional Warming on the Meterological Field and Ozone Concentration over the South-Eastern Part of the Korean Peninsula, Journal of the Environmental Sciences. 19(12), 1431-1445. 

  14. Kang, Y. H., Kim. Y. K., Oh, I. B., Hwang, M. K., Song, S. K., 2010, Modeling the Impacts of Increased Urbanization on Local Meteorology in the Greater Seoul Area, Journal of Environmental Science International, 19(12), 1361-1374. 

  15. Kim, D. Y., 2011, Impact of urbanization on the ozone weekday/weekend effect in Southern Ontario, 2011-34, Gyeonggi Research Institute. Gyeonggi. 

  16. Kim, H. S., Jeong, J. H., Oh, I. B., Kim, Y. K., 2010, Prediction of Future Climate Change Using an Urban Growth Model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Atmospheric Environment, 26(4), 367-379. 

  17. Kim, H. S., Jeong, J. H., Kim, Y. K., 2012, Analysis of Climate Variability under Various Scenarios for Future Urban Growth in Seoul Metropolitan Area (SMA), Korea.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Atmospheric Environment, 28(3), 261-272. 

  18. Kim, S. J., 2007, Effects of Various Conditions for Numerical Analysis on Urban Climat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23(6), 297-304. 

  19. Korea Environment Institute(KEI), 2009, The Impact of Climate Change on Regional Scale Air Quality, Research report(2009-14), Seoul. 

  20. Lam, J. S. L., Lau, A. K. H., Fung, J. C. H., 2006, Application of refined land-use categories for high resolution mesoscale atmospheric modeling, Bound-Layer Meteor, 119, 263-288. 

  21. Lei, H., Wuebbles, D. J., Liang, X. Z., 2012, Projected risk of high ozone episodes in 2050, Atmospheric Environment, 59, 567-577. 

  22. Leung, L. R., & Gustafson, W. I., 2005, Potential regional climate change and implications to US air quality, Geophysical Research Letters, 32(16). 

  23.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NIER)., 2013, Studies on the optimization method for improving the accuracy of air quality modeling,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Contents No. 5567639, Incheon. 

  24. Meleux, F., Solmon, F., Giorgi, F,. 2007, Increase in summer European ozone amounts due to climate change, Atmospheric environment, 41(35), 7577-7587. 

  25. Mickley, L. J., Jacob, D. J., Field, B. D., Rind, D., 2004, Effects of future climate change on regional air pollution episodes in the United States, Geophysical Research Letters, 31(24). 

  26. Ministry of Environment(ME)., 2013, Annual Report of Ambient Air Quality in Korea, 2012. Ministry of Environment, Incheon. 

  27. Sadorsky, P., 2014, The effect of urbanization on CO2 emissions in emerging economies, Energy Economics, 41, 147-153. 

  28. Skamarock, W. C., Klemp, J. B., 2008, A time-split nonhydrostatic atmospheric model for weather research and forecasting applications, Journal of Computational Physics, 227(7), 3465-3485. 

  29. Song, J., Webb, A., Parmenter, B., Allen, D. T., McDonald-Buller, E., 2008, The impacts of urbanization on emissions and air quality: comparison of four visions of Austin, Texas, Environmental science & technology, 42(19), 7294-7300. 

  30. Tagaris, E., Manomaiphiboon, K., Liao, K. J., Leung, L. R., Woo, J. H., He, S., Amar, P., Russell, A.G., 2007, Impacts of global climate change and emissions on regional ozone and fine particulate matter concentrations over the United States, J. Geophys. Res. 112, D14312.1-D14312.11. 

  31. Wang, M., Zhang, X., Yan, X., 2013, Modeling the climatic effects of urbanization in the Beijing Tianjin Hebei metropolitan area, Theoretical and applied climatology, 113(3-4), 377-385. 

  32. Wu, S., Mickley, L. J., Leibensperger, E. M., Jacob, D. J., Rind, D., Streets, D. G., 2008, Effects of 2000-2050 global change on ozone air quality in the United States, Journal of Geophysical Research: Atmospheres (1984-2012), 113(D6). 

  33. Yamaji, K., Ohara, T., Uno, I., Kurokawa, J. I., Pochanart, P., Akimoto, H., 2008, Future prediction of surface ozone over east Asia using Models 3 Community Multiscale Air Quality Modeling System and Regional Emission Inventory in Asia, Journal of Geophysical Research: Atmospheres (1984-2012), 113(D8).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