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모바일 앱을 이용한 당뇨환자관리의 효과: 체계적 문헌고찰과 메타분석
The Effects of Diabetes Management Programs using Mobile App: A Systematic Review and a Meta-Analysis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15 no.1, 2015년, pp.300 - 307  

김희언 (계명대학교 동산의료원) ,  김은자 (계명대학교 동산의료원) ,  김가은 (계명대학교 간호대학)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모바일 앱을 이용한 당뇨 환자 관리관련 선행연구들을 체계적으로 고찰하여 임상적 유용성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근거 중심의 가이드라인 제공 및 향후 연구방향을 제시하고자 시도되었다. 데이터베이스는 Ovid, CINAHL, Cochrane library를 활용하였으며 (app*OR mobile) AND (nurs*OR health* OR medic*) AND (diabet*)을 주요어로 2004년부터 2014년까지의 문헌을 대상으로 검색하였다. 총 375편의 연구 중 3편의 논문이 최종 선정되었고, Scottish Intercollegiate Guidelines Network (SIGN)의 Checklist를 이용해 문헌의 질을 평가하였다. 연구결과 앱을 적용한 당뇨관리는 당화혈색소 감소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효과가 있었다. 추후 연구의 설계유형이나 이를 기반으로 한 효과적인 중재개발 연구를 제안한다. 향후 충분한 표본수를 고려한 무작위 실험연구와 당화혈색소 이외 생리적 지표와 심리적 지표에 대한 연구가 더 많이 시행될 필요가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review was to evaluate the effects of diabetes management program using mobile appllication. A systematic review using the Preferred Reporting Items for Systematic Reviews and Meta-Analyses: the PRISMA Statement was conducted. Studies published between 2004 and 2014 were reviewed...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당뇨관리는 생활습관의 긍정적인 변화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지속적인 의료인의 개입이 필요하며 최근에는 스마트폰 기반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당뇨병 관리 시스템의 개발이 주목을 받고 있다[6]. 그러나 이에 대한 문헌적 근거는 불명확한 상태로 무분별한 앱 개발 및 적용이 수행되고 있어, 현재 시점에서 앱 기반 당뇨환자관리의 최선의 정보제공 및 근거기반의 활성화와 추후 연구방향을 제시하고자 시도되었다. 이는 모두 RCT를 통합한 체계적 문헌고찰 연구로 연구의 결과는 가장 높은 근거의 수준을 가진다고 할 수 있으나 문헌선택, 배제기준에서 컴퓨터기반 프로그램과 같이 다양한 중재과 혼합되어 적용된 경우는 배제되었으므로, 이는 본 연구의 제한점이라 할 수 있으며 추후 복합중재의 효과에 대한 근거도 종합적으로 분석해 볼 필요가 있다.
  • 본 연구는 모바일 앱을 통한 당뇨환자 관리가 임상적 유용성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한 무작위 대조군 실험 연구 결과들에 대한 체계적 문헌고찰 및 메타분석 연구이다.
  • 본 연구는 무작위 대조군 실험연구를 대상으로 모바일 앱을 활용한 당뇨환자 건강관리의 효과를 검증하고자 시도되었다. 분석에 포함된 문헌은 총 3편으로 대상자의 평균 연령은 실험군/대조군 모두 50~60대였으며 중재 방법으로 실험군에게는 모바일 앱을 활용한 당뇨 관리를 실시하였으며 대조군에게는 일반적인 당뇨관리만 적용되었다.
  • 본 연구는 체계적 문헌고찰 및 메타분석을 통해 모바일 앱을 활용한 당뇨환자 관리의 임상적 효과를 검증하여 효율적인 당뇨관리 프로그램 개발 및 활용에 문헌적 근거를 제시하고자 시도되었다.
  • 본 연구의 목적은 모바일 앱을 통한 당뇨환자 관리가 임상적 유용성에 미치는 효과를 평가하는 것이다.
  • 이에 본 연구는 현재 문헌적 근거를 통해 앱을 통한 당뇨병 관리의 임상적인 유용성을 검증하여 임상실무에 실제적인 정보를 주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당뇨병 관리의 실패의 결과는 무엇인가? 9%는 치료를 받고 있지만, 이들 중 당뇨병 관리의 목표수준에 도달하는 비율은 여전히 높지 않다. 당뇨병 관리의 실패는 합병증 발생률을 증가시키고 2차적인 장애의 발생과 사망에 이르게 하는데, 대표적인 합병증인 심뇌혈관 질환은 건강 여명을 줄이는 주된 원인으로 알려져 있다. 당뇨병 및 합병증은 직접적인 의료비용의 증가와 생산성 감소, 당뇨병으로 인한 장애 등을 통해 사회적인 비용의 증가를 초래하며, 미국에서만 2012년 한 해, 당뇨병으로 인한 비용 지출액이 2450억 달러에 달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2].
스마트폰 기반의 당뇨병 관리 시스템의 장점은? 환자들 스스로가 자신의 혈당을 측정하고 그 결과를 해석하여 생활습관의 긍정적인 변화를 초래하기 위해서는 의료인의 개입을 통한 교육 및 지속적인 격려를 통한 피드백이 효과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6], 스마트폰 기반의 당뇨병 관리 시스템을 활용함으로써 환자 스스로가 측정하고 입력한 데이터를 자신의 스마트폰을 통해 자신의 건강상태를 보다 쉽게 파악할 수 있고, 의료진에게 실시간으로 전송하여 적절한 피드백을 제공받을 수 있어, 적극적인 의료진의 개입을 통한 개별적인 환자교육과 관리에 유용하게 활용될 것으로 기대 되고 있다[7]. 그 예로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 이하 앱)등을 이용한 환자의 일상 및 질병관리에 대한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당뇨환자의 자발적인 동기유발 및 자기관리의 실천이 어려운 이유는? 이는 생활습관과 밀접하게 관련 있으며 의학적 관리 못지않게 환자의 자기관리 노력을 통한 습관변화가 중요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3]. 효과적인 질환 관리를 위해서 자기관리 및 당뇨병 교육의 중요성은 알려져 있으나 대부분 기본적인 지식을 전달하는 집단교육 수준에 머물러있다[4]. 따라서 환자의 자발적인 동기유발 및 자기관리의 실천을 기대하기 어렵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5)

  1. 질병관리본부, 국민건강영양조사 제5기 보고서, 2011. 

  2. American Diabetes Association, "Economic costs of diabetes in the US in 2012," Diabetes Care, Vol.36, No.4, pp.1033-1046, 2013. 

  3. A. J. Sinclair, "Diabetes education key principles of individual of group participation," Medicographia, Vol.35, pp.35-39, 2013. 

  4. 현경선, 김광미, 장숙희, "맞춤형 당뇨교육이 인슐린 요법을 하는 제2형 당뇨환자의 혈당조절과 자가간호에 미치는 효과", 대한간호학회지, 제39권, 제5호, pp.720-730, 2009. 

  5. H. Thirumurthy and R. T. Lester, "M-health for health behaviour change in resource-limited settings: applications to HIV care and beyond," Bull World Health Organ, Vol.90, No.5, pp.390-392, 2012. 

  6. 심강희, 황문숙, "자가혈당 측정결과기반 당뇨교육프로그램이 제2형 당뇨병환자의 혈당조절에 미치는 효과", 제19권, 제2호, pp.127-136, 2013. 

  7. J. Tran, R. Tran, and J. R. White, "Smartphone-based glucose monitors and applications in the management of diabetes: An overview of 10 salient "apps" and a novel smartphone-connected blood glucose monitor," Clinical Diabetes, Vol.30, No.4, pp.173-178, 2012. 

  8. G. E. Kim and S. K. Baik, "Overview and recent trends of systematic reviews and meta-analyses in hepatology," Clin Mol Hepatol, Vol.20, No.2, pp.137-150, 2014. 

  9. D. Moher, A. Liberati, J. Tetzlaff, D. G. Altman, and the PRISMA Group, "Preferred reporting items for systematic reviews and meta-analyses: the PRISMA statement," Ann Intern Med, Vol.151, No.4, pp.264-269, 2009. 

  10. J. Higgins and S. Green, Cochrane handbook for systematic reviews of interventions version 5. 1.0. The Cochrane Collaboration. Retreived March 30, 2011, from http://www.cochrane-handbook.org 

  11. A. L. Orsama, J. Lahteenmaki, K. Harno, M. Kulju, E. Wintergerst, H. Schachner, P. Stenger, J. Leppanen, H. Kaijanranta, V. Salaspuro, and W. A. Fisher, "Active Assistance Technology Reduces Glycosylated Hemoglobin and Weight in Individuals With Type 2 Diabetes: Results of a Theory-Based Randomized Trial," Diabetes Techonology & Therapeutics, Vol.15, No.8, pp.662-669, 2013. 

  12. Z. Faridi, L. Liberti, K. Shuval, V. Northrup, A. Ali, and D. L. Katz, "Evaluating the impact of mobile telephone technology on type 2 diabetic patients' self-management: the NICHE pilot study," Journal of Evaluation in Clinical Practice, Vol.14, No.3, pp.465-469, 2008. 

  13. M. Maislos and D. Weisman, "Multidisciplinary approach to patients with poorly controlled type 2 diabetes mellitus: a prospective, randomized study," Acta Diabetologica, Vol.41, No.2, pp.44-48, 2004. 

  14. R. E. Izquierdo, P. E. Knudson, S. Meyer, J. Kearns, R. Ploutz-Snyder, and R. S. Weinstock, "A comparison of diabetes education administered through telemedicine versus in person," Diabetes Care, Vol.26, No.4, pp.1002-1007, 2003. 

  15. S. Bench, T. Day, and A. Metcalfe, "Randomised controlled trials: An introduction for nurse researchers," Nurse Researcher, Vol.20, No.2, pp.38-44, 201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