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당뇨병 환자의 자가관리를 위한 모바일 기반의 휴먼코칭 헬스케어서비스의 효과
Effects of Mobile based-Healthcare Service using Human Coaching to the Self-care of Diabetes 원문보기

융합정보논문지 =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v.7 no.4, 2017년, pp.83 - 89  

이미준 (강북삼성병원 헬스케어팀) ,  강희경 (제주한라대학교 간호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간호사가 모바일 기반의 휴먼코칭 헬스케어서비스 제공이 당뇨병 환자의 자가관리 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함이다. 당뇨병 진단을 받은 311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23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모바일 기반의 휴먼코칭 헬스케어서비스 제공에 의한 혈당계 활용도는 남녀의 차이가 있었고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chi}^2=6.059$, p= .048*)가 있었다. 둘째, 모바일 기반의 휴먼코칭 헬스케어서비스 제공에 의한 혈당계와 활동밴드 활용도는 정적 상관관계가 있었고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r=.660, p<.01). 셋째, 모바일 기반의 휴먼코칭 헬스케어서비스 제공에 의한 혈당계 활용률 추이를 확인한 결과 1주차부터 49주차까지 79%에서 41% 이상으로 유지되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 모바일 기반의 휴먼코칭 헬스 서비스가 참여자들에게 자기건강관리 능력을 향상에 접근성이 쉽고 비용 효과적인 것으로 일부 확인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impact of a mobile-based human coaching healthcare service provided for diabetic patients by nurses on their self-management ability. This study collected data from 311 persons who were diagnosed with diabetes from all over the country, and the collected data were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당뇨 진단을 받은 환자를 대상으로 1년간 모바일 기반의 헬스케어서비스의 일환으로 제공된 간호사의 휴먼 코칭이 당뇨 환자의 자가관리 역량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함이다.
  • 본 연구에서는 당뇨 환자를 대상으로 휴먼코칭에 의한 혈당계 및 활동밴드 활용도를 측정하여 모바일 헬스 서비스를 통한 자가관리 능력 향상의 효과를 확인하였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당뇨를 진단받은 환자에게 정보통신기술을 의료산업에 접목·융합한 모바일 헬스케어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당뇨병 환자의 자가관리 역량이 향상될 수 있는지를 확인하고자 한다.
  • 최근 본 연구는 당뇨 진단을 받은 환자를 대상으로 훈련된 간호사의 휴먼 코칭을 중재로 한 모바일 헬스케어서비스가 혈당관리 및 활동량의 유지 등 자가관리 역량에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기 위한 단일군 유사 실험설계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의사, 간호사 등의 의료인들에게도 환자관리에 있어서 새로운 전문성이 요구되고 있는 배경은? 최근 최첨단의 의과학적 발전에 따라 의사, 간호사 등의 의료인들에게도 환자관리에 있어서 새로운 전문성이 요구되고 있다. 이에, 임상 간호사에게도 이전의 전통적 역할을 넘어 경력이나 능력 개발에 대한 새로운 도전 앞에 놓이게 되었다.
다양한 IT기술들을 Telemedicine과 응용하여 의료비 절감을 위한 대안은? 최근 정보기술(Information Technology, IT) 발달에 따라 다양한 IT기술들을 Telemedicine과 응용하려는 많은 시도가 늘고 있으며 의료비 절감을 위한 대안으로 모바일 기술을 활용한 만성질환 관리에 대한 연구가 활발해 지고 있다[5,6]. 당뇨병 환자들에게 일상생활에서의 자가관리가 가장 중요한 혈당관리 요인이라고 밝혀진 이후[7-9], 해외에서는 모바일 기반 당뇨병 관리 시스템을 통해 환자의 혈당치에 대한 실시간 피드백을 제공하고 약물요법을 알려주고, 저혈당 및 고혈당 상황의 치료 알고리즘을 제공하여 환자에게 맞춤형 코칭을 제공하고 있으며, 이에 대한 연구 결과 중재군의 HbA1c가 대조군(0.
당뇨병이 사회, 경제적 수준의 향상과 더불어 그 발생이 증가하는 것으로 알려진 대표적인 성인병 중의 하나인 이유는? 3%로 조사되었다[1]. 또한, 세계당뇨병연맹(International Diabetes Federation, IDF)은 2013년을 기준으로 전 세계 성인인구의 약 3억 8천만 명(8.3%)이 당뇨병으로 진단을 받았으며 향후 25년 내에는 약 5억 9천만 명으로 증가할 것이라고 예상하였다[2,3]. 따라서 당뇨병은 사회, 경제적 수준의 향상과 더불어 그 발생이 증가하는 것으로 알려진 대표적인 성인병 중의 하나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6)

  1.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 Prevention. (2014). 2013 Health Behavior and Chronic Disease Statistics. KCDC. http://cdc.go.kr/CDC/contents/CdcKrContentView.jsp?cid60949&menuIdsHOME001-MNU1130-MNU1639-MNU1749-MNU1761 

  2. International Diabetes Federation. (2013). IDF Diabetes Atlas(6th ed.). Brussels : International Diabetes Federation. 

  3. R. David, L. Guariguata, C. Weil & J. Shaw. (2011). IDF diabetes atlas: global estimates of the prevalence of diabetes for 2011 and 2030. Diabetes Research Clinical Practice, 94(3), 311-321. DOI : 10.1016/j.diabres.2011.10.029 

  4. Health Insurance Review & Assessment Service Healthcare Bigdata Hub. (2011). Health Insurance Statistics Annual Report. Healthcare Bigdata Hub. http://opendata.hira.or.kr/op/opc/selectStcPblcList.do?odPblcTpCd002 

  5. D. Hailey, R. Roine & A. Ohinmaa. (2002). Systematic Review of Evidence for the Benefits of Telemedicine. Journal of Telemedicine and Telecare, 8(1), 1-30. DOI : 10.1258/1357633021937604 

  6. Y. J. Jeon, Y. J. Park & S. J. Kang. (2017). Blood Glucose Measurement and Management System using a Smart Band and an App. KIISE Transaction on Computing Practices, 23(6), 371-378. DOI : 10.5626/KTCP.2017.23.6.371 

  7. M. J. Lee, E. G. Yoo & B. J. Seo. (2014). A Study on Willingness to Pay of Diabetic Patients for Nursing Intervention using Telecommunication. International Journal of Bio-Science and Bio-Technology, 6(4), 1-12. DOI : 10.14257/ijbsbt.2014.6.4.01 

  8. A. N. Goudswaard, R. P. Stolk, N. P. Zuithoff, H. W. de Valk & G. E. Rutten. (2004). Long-term Effects of Self-Management Education for Patients with Type 2 Diabetes Taking Maximal Oral Hypoglycaemic Therapy: A Randomized Trial in Primary Care. Diabetic medicine, 21(5), 491-496. DOI : 10.1111/j.1464-5491.2004.01153.x 

  9. T. R. Wychertey, P. Mohr, M. Noakes, P. M. Clifton & G. D. Brinkworth. (2011). Self-reported facilitators of, and impediments to maintenance of helthy lifestyle behaviors following a supervised research-based lifestyle intervention programme in patients with type 2 diabetes. Diabetic medicine, 29(5), 632-639. DOI : 10.1111/j.1464-5491.2011.03451.x 

  10. C. C. Quinn, S. S. Clough, J. M. Minor, D. Lender, M. C. Okafor & G. B. Ann. (2008). $WellDoc^{TM}$ Mobile Diabetes Management Randomized Controlled Trial: Change in Clinical and Behavioral Outcomes and Patient and Physician Satisfaction. Diabetes Technology & Therapeutics, 10(3), 160-168. DOI : 10.1089/dia.2008.0283 

  11. H. E. Kim & E. J. Kim. (2015). The Effects of Diabetes Management Programs using Mobile App: A Systematic Review and a Meta-Analysis. The Korea Contents Society, 15(1), 300-307. DOI : 10.5392/jkca.2015.15.01.300 

  12. American Diabetes Association. (2006). Standards of Medical Care in Diabetes-2006. Diabetes Care, 29(1), 4-42. 

  13. Y. J. Park, K. E. Seong, S. Y. Jeong & S. J. Kang. (2016). Self-Organizing Wearable Device Platform for Assisting and Reminding Humans in Real Times. Mobile Information Systems, 2016, 1-15. DOI : 10.1155/2016/6048213 

  14. S. Y. Park. (2015). Self Monitoring Blood Glucose Meter: Is Your Glucose Meter Accurate?. Journal of Korean Diabetes, 16(1), 38-42. DOI : 10.4093/jkd.2015.16.1.38 

  15. 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 (2015). Obese Condition Analysis and Management Measures. NHIS. http://www.nhis.or.kr/bbs7/boards/B0069/15707 

  16. P. Krebs & D. T. Duncan. (2015). Health App Use Among US Mobile Phone Owners: A National Survey. New York : JMIR mHealth and uHealth. DOI : 10.2196/mhealth.492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