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용인 일부지역 고등학생의 가공식품 및 만성질환에 대한 인식도
Awareness of Processed Foods and Chronic Disease in High School Students in Yongin Area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44 no.1, 2015년, pp.76 - 84  

구희진 (경기대학교 교육대학원 영양교육) ,  김성영 (경기대학교 교육대학원 영양교육)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용인시에 위치한 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일부 남녀 고등학생 179명을 대상으로 가공식품의 전반적인 인식도에 대한 결과를 분석한 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남학생 83.0%, 여학생 91.8%가 가공식품의 과잉섭취가 만성질환을 유발할 가능성이 있다고 인식하고 있었으며 가장 유해한 가공식품의 종류는 34.1%가 라면이라고 대답하였다. 가장 두려운 만성질환으로 남학생은 암(25.5%)과 비만(25.5%)이라고 응답하였으며, 여학생은 34.1%가 비만이라고 응답하여 고등학생들은 남녀 공통적으로 비만에 대한 두려움을 표시하였다. 유해한 식품첨가물의 종류에 대한 인식도는 합성방부제라는 응답이 58.1%로 가장 많았으며 합성조미료> 인공색소>인공감미료 순의 결과를 보였다. 안전을 위해 가장 필요한 식품첨가물 정보로는 유해성이 54.2%로 가장 높은 결과를 보였다. 영양지식에 대한 분석 결과 심혈관계 질환 유발과 관련된 주요 식품성분들(총 지방, 포화지방, 콜레스테롤, 트랜스 지방 등)에 대한 지식정답률은 57.0%, 비만예방을 위한 식이섬유섭취에 대한 지식정답률은 54.2%의 결과를 보인 반면, 나트륨 이온의 과잉섭취와 고혈압 유발에 대한 지식정답률은 24.6%로 매우 낮은 결과를 보였다. 본 연구 결과 용인 일부지역 고등학생들의 가공식품에 대한 전반적인 인식도는 식품첨가물의 안전성에 대한 막연한 불안감과 더불어 건강하지 못한 식품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이에 반해 만성질환의 발병 및 예방을 위한 기초적인 식품성분들에 대한 지식수준은 매우 낮은 수준의 결과를 보여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가공식품에 대한 건전성 및 안전성에 대한 교육과 더불어 만성질환 예방을 위한 기초적인 영양성분의 교육을 통해 건강한 가공식품의 선택적 구매와 건전한 식습관 형성을 유도시키는 것이 요구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awareness of processed foods and chronic disease in high school students (male 94 and female 85) in the Yongin area. Awareness of chronic disease caused by excessive intake of processed foods was 83.0% and 91.8% in male and female students, and the most harmful proce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용인 일부지역의 고등학생들을 대상으로 만성질환 예방을 위한 올바른 가공식품 선택의 기회를 제공할 목적으로 고등학생들의 전반적인 가공식품에 대한 인식도 및 만성질환을 유발할 수 있는 식품의 구성성분들에 대한 지식 정도를 조사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고등학생들의 만성질환 예방을 위해 필수적인 올바른 가공식품의 구매행동을 유도하는 데 유용한 기초자료가 될 것으로 사료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청소년들이 주로 선호하는 간식의 종류는 무엇인가? 청소년기는 제2의 성장기로서 성장 발달과 성적 성숙을 위해 충분한 영양을 섭취해야 하는 시기로써 질적인 영양소의 충분한 섭취를 위해 균형 잡힌 정규 식사도 중요하지만 이와 더불어 건강한 간식의 선택을 통한 부족한 영양소의 충족도 요구된다. 청소년들이 주로 선호하는 간식의 종류는 과자류, 사탕류, 빵류, 탄산음료 등과 같은 가공식품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11). 가공식품은 식품의 품질 보존, 편의성 제공 및 안전한 공급을 위해 원료식품을 여러 가지 방법을 통해 처리한 것으로써 편리성이라는 큰 장점 때문에 현대인들의 식생활 구성에서 가공식품의 비중은 점점 증가하고 있는 추세에 있다(12-14).
청소년기란 무엇인가? 청소년기는 제2의 성장기로서 성장 발달과 성적 성숙을 위해 충분한 영양을 섭취해야 하는 시기로써 질적인 영양소의 충분한 섭취를 위해 균형 잡힌 정규 식사도 중요하지만 이와 더불어 건강한 간식의 선택을 통한 부족한 영양소의 충족도 요구된다. 청소년들이 주로 선호하는 간식의 종류는 과자류, 사탕류, 빵류, 탄산음료 등과 같은 가공식품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11).
가공식품의 품질의 문제점은 무엇인가? 따라서 가공식품의 품질은 청소년들의 건강뿐만 아니라 전 국민의 식생활의 질을 결정짓는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되었다. 그러나 대부분의 가공식품은 당류 및 지질 함량이 지나치게 높아 과도한 열량의 섭취를 유도할 가능성이 높을 뿐만 아니라 단순당, 콜레스테롤, 나트륨 등의 함량 또한 많아 청소년들의 비만이나 만성퇴행성질환의 조기발생에 대한 위험률을 높이고 있다(5,6,15). 청소년기의 비만은 성인기의 비만 이환율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으며(16), 청소년기의 비만도 성인형 당뇨병의 형태인 제2형 당뇨병 유발과 그 외 고지혈증, 지방간, 심혈관계 질환 등과 같은 만성질환을 유발시키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17,18).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9)

  1. WHO. 2010. Global status report on noncommunicable diseases 2010. World Health Organization, Geneva, Switzerland. p 100-105 (Reprinted Apr 2011). 

  2. Yach D, Hawkes C, Gould CL, Hofman KJ. 2004. The global burden of chronic diseases: overcoming impediments to prevention and control. JAMA 291: 2616-2622. 

  3. Hung HC, Joshipura KJ, Jiang R, Hu FB, Hunter D, Smith- Warner SA, Colditz GA, Rosner B, Spiegelman D, Willett WC. 2004. Fruit and vegetable intake and risk of major chronic disease. J Natl Cancer Inst 96: 1577-1584. 

  4. Cha BK. 2001. A comparative study of relationships among eating behavior, intake frequency of food group and cardiovascular disease related factors in vegetarians and nonvegetarian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0: 183-192. 

  5. Malik VS, Popkin BM, Bray GA, Despres JP, Willett WC, Hu FB. 2010. Sugar-sweetened beverages and risk of metabolic syndrome and type 2 diabetes: a meta-analysis. Diabetes Care 33: 2477-2483. 

  6. de Koning L, Malik VS, Kellogg MD, Rimm EB, Willett WC, Hu FB. 2012. Sweetened beverage consumption, incident coronary heart disease, and biomarkers of risk in men. Circulation 125: 1735-1741. 

  7. Gao X, Qi L, Qiao N, Choi HK, Curhan G, Tucker KL, Ascherio A. 2007. Intake of added sugar and sugar-sweetened drink and serum uric acid concentration in US men and women. Hypertension 50: 306-312. 

  8. Malik VS, Popkin BM, Bray GA, Despres JP, Hu FB. 2010. Sugar-sweetened beverages, obesity, type 2 diabetes mellitus, and cardiovascular disease risk. Circulation 121: 1356- 1364. 

  9. Gurr MI, Borlak N, Ganatra S. 1989. Dietary fat and plasma lipids. Nutr Res Rev 2: 63-86. 

  10. Oliver MF. 1981. Diet and coronary heart disease. Br Med Bull 37: 49-58. 

  11. Park SS, Kim NY, Han MJ. 2008. Processed food preferences and food and nutrition labeling perceptions of middle school students. Korean J Food Cookery Sci 24: 164-173. 

  12. Martins AP, Levy RB, Claro RM, Moubarac JC, Monteiro CA. 2013. Increased contribution of ultra-processed food products in the Brazilian diet (1987-2009). Rev Saude Publica 47: 656-665. 

  13. Moubarac JC, Batal M, Martins AP, Claro R, Levy R, Cannon G, Monteiro C. 2014. Processed and ultra-processed food products: consumption trends in Canada from 1938 to 2011. Can J Diet Pract Res 75: 15-21. 

  14. Monteiro CAM, Moubarac JC, Cannon G, Ng SW, Popkin B. 2013. Ultra-processed products are becoming dominant in the global food system. Obes Rev 14: 21-28. 

  15. Tavares LF, Fonseca SC, Garcia Rosa ML, Yokoo EM. 2012. Relationship between ultra-processed foods and metabolic syndrome in adolescents from a Brazilian Family Doctor Program. Public Health Nutr 15: 82-87. 

  16. Vanhala M, Vanhala P, Kumpusalo E, Halonen P, Takala J. 1998. Relation between obesity from childhood to adulthood and the metabolic syndrome: population based study. BMJ 317: 319-320. 

  17. Csabi G, Torok K, Jeges S, Molnar D. 2000. Presence of metabolic cardiovascular syndrome in obese children. Eur J Pediatr 159: 91-94. 

  18. Sinha R, Fisch G, Teague B, Tamborlane WV, Banyas B, Allen K, Savoye M, Rieger V, Taksali S, Barbetta G, Sherwin RS, Caprio S. 2002. Prevalence of impaired glucose tolerance among children and adolescents with marked obesity. N Engl J Med 346: 802-810. 

  19. Sung EJ, Shin TS. 2003. The effect of overweight to cardiovascular risk factors among Korean adolescents. J Korean Acad Fam Med 24: 1017-1025. 

  20. Kim HY, Ha TY, Kim YJ. 1995. A survey on nutrition attitude and food habit of nationwide middle school students' mothers. Korean J Nutr 28: 152-161. 

  21. Park BO. 2012. A study on stress, obesity index and dietary habit among middle school students. MS Thesis. Dongkook University, Seoul, Korea. p 4-6. 

  22. Meydani M. 2001. Nutrition interventions in aging and ageassociated disease. Ann N Y Acad Sci 928: 226-235. 

  23. Joung YJ. 2009. A study on perception of nutrition labelling and dietary habit by obesity degree of middle school students in Seosan area. MS Thesis. Dongkook University, Seoul, Korea. p 56-61. 

  24. Jung HY. 2007. A study on use of processed food and recognition of food additives for high school students. MS Thesis. Chonnam National University, Gwangju, Korea. p 58-65. 

  25. Bhupathiraju SN, Tucker KL. 2011. Coronary heart disease prevention: nutrients, foods, and dietary patterns. Clin Chim Acta 412: 1493-1514. 

  26. Malik VS, Popkin BM, Bray GA, Despres JP, Hu FB. 2010. Sugar-sweetened beverages, obesity, type 2 diabetes mellitus, and cardiovascular disease risk. Circulation 121: 1356- 1364. 

  27. Chang NS. 1997. Food/nutrition attitudes, views and practices of adults in Seoul area. Korean J Nutr 30: 360-369. 

  28. Bae YJ, Yeon JY. 2011. Dietary behaviors, processed food preferences and awareness levels of nutrition labels among female university students living in middle region by breakfast eating. J Korean Diet Assoc 17: 387-402. 

  29. Yang JH, Heo YR. 2013. Perception of university students on nutrition information according to food and nutrition labeling systems in family restaurant. J Korean Soc Food Sci Nutr 42: 2068-2075. 

  30. National Academy of Agricultural Science. 2011. Standard Food Composition Table 8th Revision. http://koreanfood. rda.go.kr/fct/Fct_New.aspx (accessed Sep 2014). 

  31. 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2007. Development of food and nutrient database-Food portion/weight database. http://khiss.go.kr/treeManager.do?tasktreeFrm& vw_cdMT_ITITLE&list_id358_D&htxt_code125369 7210828125297129116638260 (accessed Sep 2014). 

  32.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1. Korea Health Statistics 2010: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V-1).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Seoul, Korea. 

  33. So YJ, Kim SN, Lee JH, Park EY, Kim HJ, Kim JS, Kim JW. 2013. A survey on the perceptions of consumer organizations to promote risk communication for food additives. Korean J Food Cookery Sci 29: 105-113. 

  34. Jin DI, Kim JW. 2009. Prospective elementary teachers' perception on food risk in Seoul. Korean J Food Cookery Sci 25: 643-649. 

  35. Han WK, Lee JG. 1991. A study on the consumer recognition of food safety and food additives. Korean J Soc Food Sci 7: 23-34. 

  36. Choe JS, Chun HK, Hwang DY, Nam HJ. 2005. Consumer perceptions of food-related hazards and correlates of degree of concerns about food. J Korean Soc Food Sci Nutr 34: 66-74. 

  37. Chung JY, Shin HW. 2006. The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s and clothing benefits sought according to body cathexis and appearance interest of high school students. J Korean Home Econo Edu Assoc 18: 13-23. 

  38. National Statistical Office. 2009. Deaths and Causes of Death in 2008. National Statistical Office, Daejeon, Korea. p 6-13. 

  39. Havas S, Dickinson B, Wilson M. 2007. The urgent need to reduce sodium consumption. JAMA 298: 1439-1441. 

  40. He FJ, MacGregor GA. 2010. Reducing population salt intake worldwide: from evidence to implementation. Prog Cardiovasc Dis 52: 363-382. 

  41. Capuano E, van der Veer G, Verheijen PJJ, Heenan SP, van der Laak LFJ, Koopmans HBM, van Ruth SM. 2013. Comparison of a sodium-based and a chloride-based approach for the determination of sodium chloride content of processed foods in the Netherlands. J Food Compos Anal 31: 129-136. 

  42. Gearhardt AN, Davis C, Kuschner R, Brownell KD. 2011. The addiction potential of hyperpalatable foods. Curr Drug Abuse Rev 4: 140-145. 

  43. Connell CL, Zoellner JM, Yadrick MK, Chekuri SC, Crook LB, Bogle ML. 2012. Energy density, nutrient adequacy, and cost per serving can provide insight into food choices in the lower Mississippi Delta. J Nutr Educ Behav 44: 148-153 

  44. Drewnowski A, Darmon N. 2005. Food choices and diet costs: An economic analysis. J Nutr 135: 900-904. 

  45. Azadbakht L, Esmaillzadeh A. 2009. Red meat intake is associated with metabolic syndrome and the plasma C-reactive protein concentration in women. J Nutr 139: 335-339. 

  46. Mozaffarian D, Hao T, Rimm EB, Willett WC, Hu FB. 2011. Changes in diet and lifestyle and long-term weight gain in women and men. N Engl J Med 364: 2392-2404. 

  47. de Ruyter JC, Olthof MR, Seidell JC, Katan MB. 2012. A trial of sugar-free or sugar-sweetened beverages and body weight in children. N Engl J Med 367: 1397-1406. 

  48. Schwimmer JB, Burwinkle TM, Varni JW. 2003.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of severly obese children and adolescents. JAMA 289: 1813-1819. 

  49. Williams J, Wake M, Hesketh K, Maher E, Waters E. 2005.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of overweight and obese children. JAMA 293: 70-7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