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장애아동 어머니의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Factors Affecting Depression in Mother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원문보기

CHNR :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v.21 no.1, 2015년, pp.46 - 54  

조인숙 (광주여자대학교 간호학과) ,  류현숙 (대진대학교 간호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목적 본 연구는 장애아동 어머니의 우울, 양육스트레스자아존중감의 관련성을 파악하고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방법 본 연구는 2012년 9월부터 10월까지 8주 동안 K시의 언어치료실을 내원하는 장애아동의 어머니를 10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 참여의 자발성 및 비밀보장 등을 설명하고 협조를 구한 후, 연구 참여에 동의한 부모에게 구조화된 도구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기술통계, t-test, ANOV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와 다중회귀분석을 이용하였다. 결과 우울은 자아존중감과 유의한 부적 상관관계(r=-.580, p = <.001)가 있었으며, 우울과 양육스트레스는 정적 상관관계(r=.406, p = <.001)가 있었다. 장애아동 어머니의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자아존중감(${\beta}$=-.365), 양육스트레스(${\beta}$=.297), 가족의 수입(${\beta}$=-.205)이 장애아동 어머니의 우울을 유의하게 설명하는 예측 변인으로 확인되었다(F=16.170, p <.001). 즉 장애아동 어머니의 자아존중감이 높을수록, 양육스트레스가 낮을수록, 가족의 수입이 많을수록 우울이 낮았으며 이들 변수들로 총 38.7%의 설명력을 나타냈다 결론 장애아동의 어머니의 자아존중감이 높을수록, 양육스트레스가 낮을수록, 우울 정도는 낮아지므로 장애아동의 효율적인 돌봄을 제공하기 위해서는 장애아동의 어머니에게 자아존중감을 높이고 양육스트레스를 감소시켜 우울을 향상시킬 수 있는 간호중재가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factors affecting depression in mother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and to identify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depression, parenting-stress and self-esteem. Methods: The participants were 100 mother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lving 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본 연구는 장애아동 어머니의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고 통제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여 장애아동과 그 가족들의 삶의 질을 높이는 방안을 강구하고자 한다. 또한 장애아동의 어머니를 대상으로 우울, 양육스트레스와 자아존중감의 관계와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여, 어머니의 우울을 해소시킬 수 있는 간호중재에 필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장애아동 부모의 자아존중감, 양육스트레스와 우울의 관련성을 파악하고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는 장애아동 어머니를 대상으로 우울을 향상시키는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하여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확인하고자 시도되었다. 우울과 자아존중감은 장애아동 어머니의 우울은 어머니 자신의 정신건강을 저해함은 물론 아동의 양육과 치료에도 지장을 초래하게 되므로(Hong & Kim, 2003) 전문가의 관심과 지원이 반드시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장애아동 어머니의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고 통제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여 장애아동과 그 가족들의 삶의 질을 높이는 방안을 강구하고자 한다. 또한 장애아동의 어머니를 대상으로 우울,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장애아동 가족이 겪는 갈등을 해소하지 못할 경우 발생하는 것은? 그들이 겪는 내적 갈등으로는 자녀의 장래에 대한 불확실성, 내재된 슬픔, 자아존중감의 저하 등이 있고 (Lim & Lee, 2010), 외적 갈등에는 신체적 부담, 전문가와의 의사소통의 어려움, 직장과 양육을 병행함으로 인한 시간부족, 경제적 부담 등이 있으며, 장애아동 가족의 심리적 반응으로는 죄의식, 양가감정, 절망, 분노, 수치심, 슬픔 등의 일상적인 감정 경험이 있다 (Han, 2004). 그러나 이러한 감정들을 해소하지 못할 때 가족 긴장과 갈등이 만성화되고 극단적이 되어 때에 따라 가족이 해체될 위험에 처하기도 한다(Han, 2004). 대부분의 장애아동 어머니는 시간이 흐름에 따라 심리적으로 적응해 가며 자녀의 교육과 자활에 필요한 도움과 보조를 하고 장애를 수용하려는 의지를 갖는다(Lee, 2002).
장애아동 어머니의 심리적 반응은 무엇인가? 장애아동 어머니의 심리적 반응은 죄의식, 양가감정, 절망, 분노, 수치심, 슬픔 등이다(Han, 2004). 정도 차이는 있지만 과반수의 장애아동 어머니가 우울의 증세가 있으며(Han, 2004), 장애아동의 미래에 대한 불확실성으로 인해 장애아동 어머니가 우울을 경험할 가능성이 높다는 것은 분명한 사실이다(Hong & Kim, 2003).
장애아동이 갖는 복합적인 문제는 무엇인가? 8%에 해당하는 약 10만명으로 조사되었다(Employment Development Institude [EDI], 2011). 장애아동은 장애 자체뿐만 아니라 그로 인한 일상생활 능력의 저하, 학습능력 및 사회생활 적응 기술의 저하로 인하여 광범위하고 복합적인 문제를 가진다(Ayyangar, 200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Abidin, R. R. (1990). Parenting stress index short form. Charlottesville. Virginia, VA: Pediatric Psychology Press. 

  2. Ayyangar, R. (2002). Health maintenance and management in childhood disability. Physical Medicine Rehabilitation Clinics of North America, 13, 793-821. 

  3. Beck, A. T. (1967). Depression: clinical, experimental and theoretical aspects. New York, NY: Harper & Row. 

  4. Employment Development Institute. (2013, April, 4). 2012 Disability Statistics. Retrieved September 3, 2013, from http://stat.mw.go.kr/front/ statData/publicationView.jsp?bbsSeq 12&nttSeq20620&menuId46 

  5. Faul, F., Erdfelder, E., Buchner, A., & Lang, A. G. (2009). Statistical power analyses using G*Power 3.1: tests for correlation and regression analyses. Behavior Research Methods, 41(4), 1149-1160. http://dx.doi.org/10.3758/BRM.41.411149www.law.go.kr/main.html 

  6. Han, S. I. (2004). A study on overcoming the crisis on the parents of the disabled children. Unpublished master's thesis. Hanshin University, Osan. 

  7. Hong, Y. H., & Kim J. Y. (2003). Depression of mother of children with development disorder and spouse support. Yonsei Social Welfare Review, 9, 211-230. 

  8. Hong, Y. W., & Lee, S. H. (2007). Relationships between personality types and stresses in mothers of children with autistic disorder. Journal of Emotional and Behavioral Disorders, 23(4), 77-97. 

  9. Hwang, K. R., Ko, I. Y., & Yong, H. C. (2010). Effects of mother's personal character acceptance toward disability, and stress of parenting a disabled child on the life quality of family with a disabled child. Korean Journal of Physical and Multiple Disabilities, 53(2), 1-22. 

  10. Jegal, K. C. (2001). A study on positive self-concept and stress in mothers of the mentally related children. Unpublished master's thesis. Daegu University, Daegu. 

  11. Kim, I. O., & Lee, W. R. (2011). A study on bringing-up stress and social support of the parent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Journal of Emotional and Behavioral Disorders, 27(1), 101-120. 

  12. Kim, J. J., & Kim, M. O. (2002). A study on the group program development for the enhancement of mental health of the mothers with children with disabilitie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hild Welfare, 27(1), 101-120. 

  13. Kim, S. J. (2011). The impact of spirituality on the parenting burden of mother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Journal of Church Social Work, 16, 7-35. 

  14. Kim, S. S., & Jung, H. J. (2011). A study of effects that economic stress and depression have on child neglect in developmental disability children's mothers: The moder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Journal of Emotional and Behavioral Disorders, 26(3), 257-275. 

  15. Lee, G. S. (2005). Adaptation processes of mothers of children with autism. Korean Home Management Association, 23(5), 39-51. 

  16. Lee, H. J., & Won, H. T. (1995). A study of the reliability and the validity of the paranoia scale. The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14(1), 83-94. 

  17. Lee, H. W. (2002). A study on family support and parenting stress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Journal of Emotional Disturbances & Learning Disabilities, 18(3), 327-349. 

  18. Lee, J. H., Kim, H. Y., & Lee, J. H. (2007). A study on maternal stress in reari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and maternal quality of lif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13(1), 5-12. 

  19. Lee, K. J. (2008). The effects of social support networks and degree of support on parenting stress and depression in mothers of developmental delay children. A structural model of caring behavior of mothers of disabled children. Korean Journal of Family Welfare, 13(1), 43-61. 

  20. Lee, Y. H. (2000). How can parents help children with disability?: Workbook of parent education for parents ability to development and growth. Seoul: Hakmonsa. 

  21. Lee, Y. H., & Song, J. Y. (1991). A study of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BDI, SDS, and MMPI-D scales. The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10(1), 98-113. 

  22. Lim, J. H., & Lee, H. P. (2010). The influence of parenting stress on the parenting and moderating effect analysis of depression in multi-cultural family mothers. Journal of Future Early Childhood Education, 17(2), 49-70. 

  23. Park, A. S. (2013). The impact of stress received by a mother having a child with autism on her psychological well-being. Korean Journal of Family Social Work, 41, 143-165. 

  24. Park, S. O., & Shin, H. K. (2009). The effects of parenting training program on self-esteem, parenting stress and attitude of mothers of children with severe and multiple disabilities. The Korean Journal of Woman Psychology, 14(3), 329-345. 

  25. Rosenberg, M. & Pearlin, L.I. (1978). Social class and self esteem among children and adults. America Journal of Sociology, 84, 53-76. Memo: Check this reference. 

  26. Seo, H. Y., & Lee, S. H. (1994). A study on social support and adaption of mothers with handicapped children. Family and Culture, 6(1), 37-68. 

  27. Seo, W. K., & Kim, D. Y. (2013). The effects of maternal anxiety, parenting attitude and psychological well-being on parenting stress: A comparative study between mothers who have children with and without disability. The Korean Journal of Developmental Psychology, 26(1), 121-136. 

  28. Yoo, M. J., & Sunwoo, H. (2009). The effects of the parents' education integrated program to rearing attitude and rearing stress of the mother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Journal of Emotional & Behavioral Disorders, 25(2), 143-169. 

  29. Yoon, H. Y., & Kim, N. Y. (2002). The stresses depression, and family strength of parents according to the types of disabilities of their children. The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n Developmental Disabilities, 6(2), 59-7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