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아동 보호자의 열성경련에 대한 지식, 염려 및 관리
Caregivers' Knowledge, Concerns and Management of Pediatric Febrile Convulsions 원문보기

CHNR :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v.20 no.3, 2014년, pp.149 - 158  

곽애리 (조선대학교 병원) ,  김진선 (조선대학교 의과대학 간호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목적 열성경련 아동 보호자를 대상으로 열성경련에 대한 지식, 염려 및 관리 실태를 조사하고, 대상자 특성에 따른 지식, 염려 및 관리 점수의 차이를 파악하고, 이들 변수간의 관련성을 파악하기 위한 목적으로 실시한 조사연구이다. 방법 본 연구 대상자는 아동의 열성경련을 경험한 일 지역의 아동 보호자 133명이었으며, 자료수집은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자기기입식 또는 면담을 통해 이루어졌다. 수집된 자료는 기술통계, t-검정, 일원분산분석, 피어슨 상관분석을 통해 분석하였다. 결과 열성경련에 대한 아동 보호자들의 지식수준은 낮았으며(정답률 48.5%), 잘못된 편견으로 인한 열성경련에 대한 염려수준은 높았고(3.44점), 열성경련의 발생 시 적절한 관리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고 있었다(정답률 64.4%). 대상자의 특성에 따른 열성경련에 대한 지식과 염려 점수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아동과의 관계가 어머니인 경우보다 친인척이나 기타였던 경우 그리고 대상자가 기혼자였던 경우보다 이혼, 사별 및 기타였던 경우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지식점수는 낮았으며 염려점수는 높았다. 또한 이전에 열성경련을 경험하지 않았던 아동 보호자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지식점수가 낮았다. 또한 지식 점수와 염려 점수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가 있었고, 지식 점수와 대처 점수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결론 따라서 아동 보호자들을 대상으로 아동의 열성경련에 대한 지식 및 관리 수준을 높이고, 열성경련에 대한 잘못된 편견으로 인한 불필요한 염려 수준을 낮추어 주기 위한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적용 및 평가가 요구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caregivers' knowledge, concerns, and management of children with febrile convulsions (FC). Methods: A descriptive correlation study was conducted with 133 caregivers whose children had been diagnosed with a FC. 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w...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아동 보호자의 열성경련에 대한 지식, 염려 및 관리 실태를 조사하고, 이들 변수 간의 상관관계를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 연구이다.
  • 본 연구는 아동의 열성경련을 경험한 보호자를 대상으로 열성경련에 대한 지식, 염려 및 관리 실태를 조사하고 이들 변수간의 관련성을 조사하였다. 연구결과, 아동 보호자들의 열성경련에 대한 지식 점수는 낮았고, 염려 점수는 높았으며, 적절한 관리가 이루어지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 본 연구는 열성경련을 실제로 경험한 아동 보호자들을 대상으로 그들의 열성경련에 대한 지식, 염려 및 관리 실태를 조사하고, 지식, 염려 및 관리 간의 상관관계를 파악하여 추후 우리나라 실정에 맞는 아동 보호자를 위한 열성경련 관리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시도되었다.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대상자의 특성 및 열성경련에 대한 지식, 염려 및 관리 점수를 파악한다.
  • 열성경련 아동 보호자를 대상으로 열성경련에 대한 지식, 염려 및 관리 실태를 조사하고, 대상자 특성에 따른 지식, 염려 및 관리 점수의 차이를 파악하고, 이들 변수간의 관련성을 파악하기 위한 목적으로 실시한 조사연구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의료인들이 열성경련에 걸린 아이의 부모에게 열성경련에 대한 올바른 정보를 제공해야 하는 이유는? 국외에서 실시한 선행연구에 따르면 부모들은 열성경련에 대해 잘 알지 못하며, 열성경련의 예후와 관리방법 등에 대해 편견과 열성경련에 대한 정보 부족 등으로 불안해하고 당황해하는 것으로 보고하고 있다(Kanemura et al., 2013; Kolahi & Tahmoorezadeh, 2009).
열성경련은 무엇인가? 열성경련은 만 6개월에서 5세 사이의 아동에서 발생하는 경련 중 가장 흔한 유형으로, 5세 이전 아동의 2-5%가 적어도 1회 이상의 열성경련을 경험한다(American Academy of Pediatrics [AAP], 2008; Jones & Jacobsen, 2007; Østergaard, 2009). 또한 첫 번째 열성경련을 경험한 아동의 약 1/3에서 재발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Lux, 2010).
열성경련의 특징은? 열성경련의 대부분은 별 문제 없이 저절로 회복되며, 합병증의 위험이 거의 없는 예후가 좋은 양성 장애임에도 불구하고(Jones & Jacobsen, 2007; Lux, 2010), 열성경련을 경험하게 되는 대부분의 부모들은 자녀의 의식 상실과 몸이 굳고 사지 경련 등의 증상을 목격하게 되면 무척 당황하게 되고 뇌손상, 간질로의 이행, 생명의 위협 등에 대한 막연한 두려움으로 불안감과 공포감을 가지게 된다(Fetveit, 2008; Ju et al., 2011; Kanemura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American Academy of Pediatrics, Steering Committee on Quality Improvement and Management. (2008). Febrile seizures: Clinical practice guideline for the long-term management of the child with simple febrile seizures. Pediatrics, 121, 1281-1286. http://dx.doi.org/10.1542/ peds.2008-0939 

  2. Betz, M. G., & Grunfeld, A. F. (2006). 'Fever phobia' in the emergency department: A survey of children's caregivers. European Journal of Emergency Medicine, 13(3), 129-133. http://dx.doi.org/10.1097/01.mej. 0000194401.15335.c7 

  3. Choi, E. Y., Chang, G. T., & Kim, J. H. (2004). Cognition of mothers for febrile convulsion. Journal of Korean Oriental Pediatrics, 18(2), 209-223. 

  4. Cohee, L. M., Crocetti, M. T., Serwint, J. R., Sabath, B., & Kapoor, S. (2009). Ethnic differences in parental perceptions and management of childhood fever. Clinical Pediatrics, 49(3), 221-227. http://dx.doi.org/ 10.1177/0009922809336209 

  5. Fetveit, A. (2008). Assessment of febrile seizures in children. European Journal of Pediatrics, 167(1), 17-27. http://dx.doi.org/10.1007/s00431- 007-0577-x 

  6. Gunawan, W., & Soetjiningsih, K. K. (2008). Knowledge, attitude, and practices of parents with children of first time and recurrent febrile seizures. Pediatrica Indonesiana, 48(4), 193-198. 

  7. Huang, M. C., Liu, C. C., Chi, Y. C., Huang C. C., & Thomas, K. (2001). Parental concerns for the child with febrile convulsion: Long-term effects of educational interventions. Acta Neurologica Scandinavica, 103, 288-293. http://dx.doi.org/10.1034/j.1600-0404.2001.103005288.x 

  8. Huang, M. C., Liu, C. C., Huang C. C., & Thomas, K. (2002). Parental responses to first and recurrent febrile convulsions. Acta Neurologica Scandinavica, 105, 293-299. http://dx.doi.org/10.1034/j.1600-0404. 2002.1o200.x 

  9. Huang, M. C., Huang C. C., & Thomas, K. (2006). Febrile convulsions: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questionnaire to measure parental knowledge, attitudes, concerns and practices. Journal of the Formosan Medical Association, 105(1), 38-48. http://dx.doi.org/10.1016/S0929-6646(09)60107-8 

  10. Jeon, H. J., Kim, S. S., Bae, H. A., & Yoo, I. Y. (2008). Utilization status of emergency medical service for children.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14(1), 5-13. 

  11. Jones, T., & Jacobsen, S. J. (2007). Childhood febrile seizures: Overview and implications. International Journal of Medical Sciences, 4(2), 110-114. http://dx.doi.org/10.7150/ijms.4.110 

  12. Ju, H. O., McElmurry, B. J., Park, C. G., McCreary, L., Kim, M., & Kim, E. J. (2011). Anxiety and uncertainty in Korean mothers of children with febrile convulsion: Cross-sectional survey. Journal of Clinical Nursing, 9(10), 1490-1497. http://dx.doi.org/10.1111/j.1365-2702.2010.03496.x 

  13. Kanemura, H., Sano, F., Mizorogi, S., Tando, T., Sugita, K., & Aihara, M. (2013). Parental thoughts and actions regarding their child's first febrile seizure. Pediatrics International, 55, 315-319. http://dx.doi.org/10. 1111/ped.12058 

  14. Karwowska, A., Nijssen-Jordan, C., Johnson, D., & Davies, H. D. (2002). Parental and health care provider understanding of childhood fever: A Canadian perspective. Canadian Journal of Emergency Medical Care, 4, 394-400. 

  15. Kayserili, E., Unalp, A., Apa, H., Asilsoy, S., Hizarcioglu, M., & Gulez, P. (2008). Parental knowledge and practices regarding febrile convulsions in Turkish children. Turkish Journal of Medical Science, 38(4), 343-350. 

  16. Kim, M. J. (2007). A study of the caregiving burden on grandmothers who raise their grandchildren: A phenomenological research. Journal of Korean Academy Nursing, 37, 914-923. 

  17. Kolahi, A. A., & Tahmooreszadeh, S. (2009). First febrile convulsions: In quiry about the knowledge, attitudes and concerns of the patients' mothers. European Journal of Pediatrics, 168, 167-171. http://dx.doi. org/10.1007/s00431-008-0724-z 

  18. Langer, T., Pfeifer, M., Soenmez, A., Tarhan, B., Jeschke, E., & Ostermann, T. (2011). Fearful or functional - a cross sectional survey of the concepts of childhood fever among German and Turkish mothers in Germany. BMC Pediatrics, 11, 41. http://dx.doi.org/10.1186/1471-2431-11-41 

  19. Lux, A. L. (2010). Treatment of febrile seizures: Historical perspective, current opinions, and potential future directions. Brain & Development, 32, 42-50. http://dx.doi.org/10.1016/j.braindev.2009.09.016 

  20. Najimi, A., Dolatabadi, N. K., Esmaeili, A. A., & Sharifirad, G. R. (2013). The effect of educational program on knowledge, attitude and practice of mothers regarding prevention of febrile seizure in children. Journal of Education and Health Promotion, 2, 26. http://www.ncbi.nlm.nih. gov/pmc/articles/PMC3778569/?reportprintable 

  21. Ostergaard, J. R. (2009). Febrile seizures. Acta Pediatrica, 98, 771-773. http://dx.doi.org/10.1111/j.1651-2227.2009.01200.x 

  22. Parmar, R. C., Sahu, D. R., & Bavdekar, S. B. (2001). Knowledge, attitude and practices of parents of children with febrile conversion. Journal of Postgraduate Medicine, 47(1), 19-22. 

  23. Paul, F., Martyn, C. J., Hendry, C., & Adair, P. M. (2007). The quality of written information for parents regarding the management of a febrile convulsion: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Journal of Clinical Nursing, 16(12), 2308-2322. http://dx.doi.org/10.1111/j.1365-2702.2007.02019.x 

  24. Sakai, R., Niijima, S., & Marui, E. (2009). Parental knowledge and perceptions of fever in children and fever management practices: Differences between parents of children with and without a history of febrile seizures. Pediatric Emergency Care, 25(4), 231-237. http://dx.doi.org/10. 1097/PEC.0b013e31819e353a 

  25. Sakai. R., Okumura, A., Marui, E., Niijima, S., & Shimizu, T. (2012). Does fever phobia cross borders? The case of Japan. Japan Pediatric Society, 54, 39-44. http://dx.doi.org/10.1111/j.1442-200X.2011.03449.x 

  26. Song, K. S., & Park, Y. S. (2009). Needs for information and support of parents of children with febrile convulsion. Keimyung Journal of Nursing Science, 13(1), 135-144. 

  27. Statistics Korea. (2013). Women's lives through statistics in 2013: Females and social lives. Retrieved October 8, 2013, from http://kostat.go.kr/ wnsearch/search.jsp 

  28. Taveras, E. M., Durousseau, S., & Flores, G. (2004). Parents' beliefs and practices regarding childhood fever: A study of a multiethnic and socioeconomically diverse sample of parents. Pediatric Emergency Care, 20(9), 579-587. 

  29. Tessler, H., Gorodischer, R., Press, J., & Bilenko, N. (2008). Unrealistic concerns about fever in children: The influence of cultural-ethnic and sociodemographic factors. The Israel Medical Association Journal, 10, 346-349. 

  30. Yilmaz, D., Arhan, E., Yuksel, D., Ozcelik, A., Senbil, N., & Serdaroglu, A. (2008). Attitudes of parents and physicians toward febrile seizures. Clinical Pediatrics, 47(9), 856-860. http://dx.doi.org/10.1177/000992280 8319961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