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CAD/CAM system을 이용한 하악 임플란트 피개의치 수복증례
The implant overdenture on the edentulous mandible using CAD/CAM system: A case report 원문보기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Th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rosthodontics, v.53 no.1, 2015년, pp.66 - 73  

이시은 (부산대학교 치과대학 치과보철학교실) ,  이소현 (부산대학교 치과대학 치과보철학교실) ,  전영찬 (부산대학교 치과대학 치과보철학교실) ,  정창모 (부산대학교 치과대학 치과보철학교실) ,  윤미정 (부산대학교 치과대학 치과보철학교실) ,  허중보 (부산대학교 치과대학 치과보철학교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완전, 혹은 부분 무치악 환자의 가철성 보철물 수복치료에서 치아 상실에 따른 치조골 감소와 별형은 의치 사용에 어려움을 준다. 이런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 임플란트를 이용하여 가철성 보철물에 지지, 유지, 및 안정을 제공할 수 있다. 임플란트를 이용한 피개의치에 사용되는 어태치먼트는 여러 종류가 있는데, 환자의 여러 조건을 고려하여 어태치먼트를 선택해야 한다. 그 중 milled bar의 경우 임플란트 간 거리가 좁아서 기성 bar를 사용할 수 없는 경우, 또는 기성 bar보다 상부 구조물의 확고한 안정성과 지지를 얻고자 할 때 선택 된다. Milled bar는 cross arch stabilization을 이룰 수 있고, 저작 시 의치의 움직임이 없어 환자에게 편안함을 제공하지만, 숙련된 기공과정을 요한다. 그러나 최근 CAD/CAM의 발전을 통해 milled bar의 제작이 간결해지고 적합성을 증진시킬 수 있었다. 본 증례는 8개의 임플란트가 식립된 하악 완전 무치악의 알츠하이머 환자로 milled bar와 magnet을 이용한 피개의치를 제작하였다. 전신병력이 양호해진 기간 동안 빠른 치료종결이 필요했기 때문에, 통법의 기공 작업을 CAD를 통해 시뮬레이션하여 복잡한 기공과정을 좀더 단순하게 하였고 이로써 치료 기간을 줄일 수 있었다. 이상과 같이 milled bar를 이용한 임플란트 지지 피개의치를 제작하는 과정 중 CAD/CAM system을 적절히 사용하여 심미적, 기능적으로 만족할 만한 결과를 얻었기에 보고하고자 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lveolar bone loss and deformation can be a risk factor in removable prosthetic restoration treatment for partially or fully edentulous patients. The use of implants to solve this problem could improve the support, retention and stability of removable restoration. Attachments used in implant overde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이번 증례에서는 이러한 전통적 과정의 일부를 디지털 방식으로 시도해 보았고, bar와 금속구조물 제작 시 기존 티타늄이나 금이 아닌 cobalt chrome sintered metal을 이용하였다. 본 증례에서는 CAD/CAM을 이용한 milled bar를 제작하고 magnet을 사용하여 유지를 보강함으로써 만족스러운 임플란트 피개의치를 제작하였기에 이를 보고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6 Bar type의 단점은 무엇인가? 6 Bar type의 경우, 임플란트간의 부목(splinting) 효과를 가질 수 있으며, 안정성이 우수하다. 하지만 기공과정이 어렵고, 더 많은 악간 공간이 요구되며, 고비용이라는 단점이 있다. 임플란트 피개의치에 쓰이는 milled bar는 임플란트 거리가 좁아서 기성 bar를 사용 할 수 없는 경우, 또는 기성 bar 보다 상부구조물의 확고한 안정성과 지지를 얻고자 할 때 선택 될 수 있다.
임플란트 피개의치의 어태치먼트 선택 시 임플란트를 어떻게 나눌 수 있는가? 임플란트 피개의치의 어태치먼트 선택 시 임플란트를 연결 여부에따라Solitary type과 bar type으로 나눌 수 있다. 6 Bar type의 경우, 임플란트간의 부목(splinting) 효과를 가질 수 있으며, 안정성이 우수하다.
6 Bar type의 장점은 무엇인가? 임플란트 피개의치의 어태치먼트 선택 시 임플란트를 연결 여부에따라Solitary type과 bar type으로 나눌 수 있다. 6 Bar type의 경우, 임플란트간의 부목(splinting) 효과를 가질 수 있으며, 안정성이 우수하다. 하지만 기공과정이 어렵고, 더 많은 악간 공간이 요구되며, 고비용이라는 단점이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Kim SW. Implant overdenture. Seoul: MyoungMun Publishing Co. 2007. 

  2. Branemark PI, Adell R, Breine U, Hansson BO, Lindstrom J, Ohlsson A. Intra-osseous anchorage of dental prostheses. I. Experimental studies. Scand J Plast Reconstr Surg 1969;3:81-100. 

  3. DeBoer J. Edentulous implants: overdenture versus fixed. J Prosthet Dent 1993;69:386-90. 

  4. Trakas T, Michalakis K, Kang K, Hirayama H. Attachment systems for implant retained overdentures: a literature review. Implant Dent 2006;15:24-34. 

  5. Sadowsky SJ. The implant-supported prosthesis for the edentulous arch: design considerations. J Prosthet Dent 1997;78:28-33. 

  6. Adell R, Lekholm U, Rockler B, Branemark PI. A 15-year study of osseointegrated implants in the treatment of the edentulous jaw. Int J Oral Surg 1981;10:387-416. 

  7. Zarb GA, Bolender CL, Eckert SE, Fenton AH, Jacob RF, Mericske-Stern R. Prosthodontic treatment for edentulous patients: Complete dentures and implant-supported prostheses. 12th ed. Mosby, 2003. 

  8. Duret F, Preston JD. CAD/CAM imaging in dentistry. Curr Opin Dent 1991;1:150-4. 

  9. Miyazaki T, Hotta Y, Kunii J, Kuriyama S, Tamaki Y. A review of dental CAD/CAM: current status and future perspectives from 20 years of experience. Dent Mater J 2009;28:44-56. 

  10. Mormann WH, Brandestini M, Lutz F, Barbakow F. Chairside computer-aided direct ceramic inlays. Quintessence Int 1989;20:329-39. 

  11. Beuer F, Schweiger J, Edelhoff D. Digital dentistry: an overview of recent developments for CAD/CAM generated restorations. Br Dent J 2008;204:505-11. 

  12. Persson A, Andersson M, Oden A, Sandborgh-Englund G. A threedimensional evaluation of a laser scanner and a touch-probe scanner. J Prosthet Dent 2006;95:194-200. 

  13. Vlaar ST, van der Zel JM. Accuracy of dental digitizers. Int Dent J 2006;56:301-9. 

  14. Rudolph H, Luthardt RG, Walter MH. Computer-aided analysis of the influence of digitizing and surfacing on the accuracy in dental CAD/CAM technology. Comput Biol Med 2007;37:579-87. 

  15. Kim KB, Kim JH, Kim WC, Kim JH. Three-dimensional evaluation of gaps associated with fixed dental prostheses fabricated with new technologies. J Prosthet Dent 2014;112:1432-6. 

  16. Noack F. CoCr-Revolution. Dent Dialog 2012;13:2-5. 

  17. Becker JJ. Permanent magnets. Sci American 1970;233:92-100. 

  18. Strnat KJ. The hard magnetic properties of rare earth-transition metal alloys. IEEE Trans Magn 1972;8:511-6 

  19. Sagawa M, Fujimura S, Yamamoto H, Matsuura Y, Hiraga K. Permanent magnet materials based on the rare earth-iron-boron tetragonal compounds. IEEE Trans Magn 1984;20:1584-9. 

  20. Sagawa M, Fujimura S, Togawa N, Yamamoto H, Matsuura Y. New material for permanent magnets on a base of Nd and Fe. J Appl Phys 1984;55:2083-7. 

  21. Riley MA, Walmsley AD, Harris IR. Magnets in prosthetic dentistry. J Prosthet Dent 2001;86:137-42. 

  22. Ceruti P, Bryant SR, Lee JH, MacEntee MI. Magnet-retained implant- supported overdentures: review and 1-year clinical report. J Can Dent Assoc 2010;76:a52. 

  23. Smith GA, Laird WR, Grant AA. Magnetic retention units for overdentures. J Oral Rehabil 1983;10:481-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