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19세기 초 서양 남성상의 고증제작 연구
A Study of the Historical Reconstruction of the Western Man's Coat in the Early of the 19th Century 원문보기

服飾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v.65 no.1, 2015년, pp.136 - 149  

류경화 (인하대학교 대학원 의류학과) ,  김양희 (인하대학교 의류디자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research aimed to study the making of western men's coats in the early 19th century. First of all, the study figured out the concepts and forms of western men's tops in the early 19th century by collecting and categorizing pictures including engravings, paintings and pattern books, and literatu...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논문은 19세기 초 서양남성 겉상의의 대표유형 테일코트의 고증제작을 목적으로 하여 고증자료 분석과 고증제작 단계로 진행되었으며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 종합하면, 19세기 초 서양 남성 겉상의 일상복은 영어 명칭으로 테일코트와 프록코트 두 가지가 대표유형이라고 할 수 있으며, 프랑스어 명칭으로는 이 두 가지 모두를 아비 혹은 프락이라고 명명하였다고 할 수 있겠다. 본 연구에서는 19세기 초 서양 남성겉상의 일상복의 두 가지 대표유형 테일코트와 프록코트에 주목하고, 먼저 그림자료의 고찰을 통해 그 형태특징을 파악하고자 한다.
  • 이에 본 논문은 19세기 초 서양 남성상의 1벌의 고증제작과 그 과정 및 방법에 대한 연구를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주제와 관련한 국내외의 선행연구를 살펴본 바에 의하면, 주로 서양복식의 고증패턴에 대한 연구결과3)는 많았으나, 고증제작 관련 연구4)는 매우 드물었다.

가설 설정

  • 근대 남성복은 대중과 대량생산을 키워드로 하는 현대 남성복을 지향하며 자기도 모르게 합리적인 시민복을 고안하고 있었다.2) 근대 초기 남성복은 이러한 당시의 의복제작기술을 반영하고 있으며, 구성적 측면의 분석을 통해 그 상태를 가늠해 볼 수 있을 것이다. 특히 고증제작을 통한 복식의 구성 연구는 확실하고 세밀한 형태는 물론 제작기술을 파악할 수 있게 하는 장점이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산업혁명 당시 기술의 특징은 무엇이었는가? 산업혁명 당시 기술의 가장 큰 특징 중 하나는 표준형 설정, 생산 규범, 작업지침서 등의 체계화, 통일화, 보편화를 통한 합리성이 추구되었다는 사실이며1), 이는 다가오는 현대의 대량생산 사회를 태동하게 한 밑거름이었다. 또 구체제이후 부르주아 계층의확대와 프랑스 혁명은 서유럽의 시민중심 사회가 되도록 가속화하였다.
서양 19세기 초는 패션에 있어서 어떤 시기이었는가? 19세기 초 착용되었던 서양 남성상의에 대한종류를 알아보기 위해 현 서양복식사 관련 교재7)를살펴본 결과, 아비(habit), 코트(coat), 테일코트(tailcoat), 프락(frac), 프록코트(frock coat), 데갸제(dégagé), 르뎅고뜨(redingote), 망또(manteau), 꺄릭(carrick), 그레이트 코트(great coat) 등 각 유형에 대한 저마다의 설명이 엇갈리고 있어 그 개념 파악이 매우 어려운 실정이다. 특히 당시는 패션의 주도국이 프랑스에서 영국으로 옮겨지는 시점이기 때문에 주로 영어와 불어가 혼용되고 있어 유형을 분리하여 이해하기란 더욱 힘들다.
19세기 초 서양 남성 겉상의 일상복의 대표유형은 무엇이 있는가? 종합하면, 19세기 초 서양 남성 겉상의 일상복은영어 명칭으로 테일코트와 프록코트 두 가지가 대표유형이라고 할 수 있으며, 프랑스어 명칭으로는 이두 가지 모두를 아비 혹은 프락이라고 명명하였다고할 수 있겠다. 본 연구에서는 19세기 초 서양 남성겉상의 일상복의 두 가지 대표유형 테일코트와 프록코트에 주목하고, 먼저 그림자료의 고찰을 통해 그 형태특징을 파악하고자 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9)

  1. Ellul, Jacques (1964), 기술의 역사, 박광덕 역, 서울:한울, p. 60-75. 

  2. Perrot, Phillppe (1981), 부르주아 사회와 패션, 이재한 역, 서울: 현실문화연구, pp. 88-97. 

  3. 김양희 (2006), 17-18세기 서양 남자바지 패턴변화, 복식, 56(7), pp. 68-84. 

  4. 김양희 (2009), 17세기말-18세기말 프랑스 남자 쥐스또 꼬르 유형변화와 패턴제작 연구, 복식, 59(8), pp.68-84. 

  5. 박은희, 정흥숙 (2000), 입체재단법에 의한 Art Nouveau 의상 Silhouette의 Pattern 연구, 복식, 50(1), pp.5-22. 

  6. 최미경 (2003), 엠파이어 스타일 시대(1789-1820)의 스펜서재킷 구성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7. Arnould, J. (1964), Patterns of fashion. Englishwomen's dresses and their construction c.1660-1860, New York: Drama book publishers. 

  8. Arnoult, J. (1985), Patterns of Fashion. The cut and construction of clothes for men and women c1560-1620, London: Macmillan London Limited. 

  9. Mikhaila N. & Malcolm-Davies J. (2006), The Tudor taillor. Reconstructing sixteenth-century dress, London: Batsford. 

  10. Salen, J. (2008), Corsets, Hostorical patterns and techniques, UK: Batsford. 

  11. Thursfield S. (2001), The medieval Tailor's assistant. making common garments 1200-1500, UK: Ruth Bean Publishers. 

  12. Waugh, N. (1964), The cut of men's clothes, 1600-1900, London: Faber and Faber Limited. 

  13. Waugh, N. (1968), The cut of women's clothes 1600-1930, London : Faber and Faber Limited. 

  14. 김양희, 나영주, 김현주 (2011), 18세기 프랑스 꼬르 아발렌느(corps baleine) 고증제작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35(8), pp.991-1005. 

  15. Vernet, H. (1810-1818), Costumes et modes d'autrefois. Incroyable et merveilleuses, Paris: Edition Rombaldi. 

  16. Barde, F.-A. (1834), Traite encyclopedique de l'art du tailleur, Paris: l'auteur. 

  17. 정흥숙 (1981), 서양복식문화사(제 1 개정판), 서울:교문사, p. 294. 

  18. 김민자 외 (2010), 서양패션 멀티콘텐츠, 서울: 교문사, pp. 296-300. 

  19. 고애란 (2010), 서양의 복식문화와 역사, 서울: 교문사, pp. 268. 

  20. 신상옥 (1998), 서양복식사, 서울: 수학사, pp. 253-255. 

  21. Boucher, F. (1965), Histoire du costume en Occident de l'Antiquite a nos jours, Paris: Flammarion, pp. 346-351. 

  22. Leloir, M. (1951), Dictionnaire du costume, Paris: Librairie Grund, p. 182. 

  23. Rey, A. (1987), Le Petit Robert, Paris: Dictionnaire le Robert, p. 906. 

  24. Vandael, M. (1833), Manuel theorique et pratique du tailleur, Paris: Roret, p. 135. 

  25. 자료검색일 2014. 7. 28, http://dictionary.cambridge.org/dictionary/british/tailcoat?q+tailcoat 

  26. Vernet, H. (1810-1818), Costumes et modes d'autrefois. Incroyable et merveilleuses, Paris: Edition Rombaldi., pl. 3. 

  27. Chenoune, F. (1993), Des modes et des hommes. Deux siecles d'elegance masculine, Paris: Flammarion, p. 13. 

  28. Barde, F.-A. (1834), Traite encyclopedique de l'art du tailleur, Paris: l'auteur., pl. 26. 

  29. Compaing, M. (1828), L'art du tailleur, ou Application de la geometrie a la coupe de l'habillement, Paris: Dondey-Dupre pere et fils. 

  30. Compaing, M. (1828), L'art du tailleur, ou Application de la geometrie a la coupe de l'habillement, Paris: Dondey-Dupre pere et fils., pl. 27. 

  31. Vandael, M. (1833), Manuel theorique et pratique du tailleur, Paris: Roret, pl. 5. 

  32. Waugh, N. (1968), The cut of women's clothes 1600-1930, London : Faber and Faber Limited., p. 124. 

  33. Compaing, M. (1828), L'art du tailleur, ou Application de la geometrie a la coupe de l'habillement, Paris: Dondey-Dupre pere et fils., p. 56. 

  34. Vandael, M. (1833), Manuel theorique et pratique du tailleur, Paris: Roret, pl. 4. 

  35. Vandael, M. (1833), Manuel theorique et pratique du tailleur, Paris: Roret, p. 71-72. 

  36. 남윤자, 이형숙 (1996), 남성복 연구, 서울: 교학연구사, p. 54. 

  37. 남윤자, 이형숙 (1996), 남성복 연구, 서울: 교학연구사, p. 156-164. 

  38. Ladeveze, F. (1874), Cours de coupe du tailleur de Paris, Paris: bureau du Musee des tailleurs illustre, pl. 1. 

  39. Roche, D. (1981), Le peuple de Paris, Paris: Edition Aubier-Montaigne, pp. 165-201.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