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19세기 프랑스 패턴북에 나타난 남성복식체계 및 유형변화 - 겉상의의 외투류 및 중간겉상의를 중심으로 -
Study on the System and Evolution of Type of Men's Costume on the Pattern Books of France in the 19th Century - Focusing on Overcoat and Top-exterior-and-interior(outside) - 원문보기

服飾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v.66 no.8, 2016년, pp.157 - 172  

김양희 (인하대학교 의류디자인학과) ,  류경화 (인하대학교 대학원 의류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s to present findings of historical design trends of men's fashion, and the characteristics of changes in the types of overcoats and mid jackets shown in French pattern books of the 19th century. The primary data sources for this study comprised one pattern book, each of the17th and 18...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복식유형의 기원을 확정하고 출몰을 도출하는 것은 큰 역사적 오류를 범하게 하기 쉽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시기, 자료, 유형에 있어 범위를 설정하여 그 체계와 유형의 종류를 파악하고 변화를 분석하였으며, 특히 모든 유형의 시기별 세세한 형태변화에 주목하기보다는 유형의 개념 및 출몰에 따른 전반적인 변화 파악에 주력하였다. 본 연구의 문제이자 결과로 도출된 복식체계, 유형의 형태 및 개념, 변화 시기 및 특징 등이 앞으로 일반과 특수, 인과관계, 현상 등의 연구에 단서를 제공할 수 있게 되길 바라며(Grawitz, 1996), 계속해서 지역이나 시기에 따른 다양한 유형의 연구가 진척되어 차후 연구 간의 비교를 통해 더욱 종합적인 서양복식연구의 확대가 이루어지길 기대한다.
  • 본 논문에서는 프랑스국립도서관 소장 17, 18세기의 패턴북 각 1권과 19세기 패턴북 13권을 기초 자료로 하여, 19세기 프랑스 패턴북에 나타난 남성복식체계 및 겉상의의 외투류 및 중간겉상의 유형의 변화 연구를 목적으로 하였으며, 17-19세기 남성복식체계와 유형의 개념 및 형태, 19세기 남성복 겉상의의 외투류 및 중간겉상의의 등장시기, 유형 변화 등이 분석되었다.
  • 유형분석에 앞서 본 연구가 사료로 사용하고 있는 패턴북의 수록내용에 관하여 전반적으로 살펴보았다. 패턴북에는 이미지와 함께 텍스트가 수록되어 있어 의복제작기술에 관한 다양한 내용 및 프로세스에 대한 이해를 도모할 수 있다.
  • 그러나 몇몇 연구의 종합만으로는 19세기 서양 남성복 유형의 종류 및 개념을 정리하기는 어렵기 때문에 시기, 자료, 유형에 있어 제한적 범위 내에서 그 체계를 파악하는 연구가 진행되어야 한다고 사료된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19세기 프랑스 패턴북에 나타난 남성복식체계 및 상의의 유형을 파악하고 그 변화 분석을 목적으로 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패션에 있어서 19세기의 유럽은 어떤 시기를 거치고 있었는가? 18세기말부터 시작하여 19세기의 유럽은 남성패션 주도국의 이전과 사회체제의 전복으로 복식의 변화가 빠르고 매우 다양화된 시기였다. 다시 말하면, 19세기에 영국은 국력이 급속도로 확대되면서 유럽에서 그 영향력이 지배적이었으며, 이는18세기까지 패션을 주도 하던 프랑스가 영국으로 리더역할을 내어주는 결과를 초래하게 하였고, 특히 남성복은 지금까지도 영국이 서양 남성복의 대명사로 불릴 만큼 패션의 주도권을 가지게 하였다(Lipovetsky, 1999).
계급사회에서 시민사회로의 체제변화는 패션에 어떤 변화를 가져왔는가? 다시 말하면, 19세기에 영국은 국력이 급속도로 확대되면서 유럽에서 그 영향력이 지배적이었으며, 이는18세기까지 패션을 주도 하던 프랑스가 영국으로 리더역할을 내어주는 결과를 초래하게 하였고, 특히 남성복은 지금까지도 영국이 서양 남성복의 대명사로 불릴 만큼 패션의 주도권을 가지게 하였다(Lipovetsky, 1999). 또한 프랑스의 정치사상혁명과 영국의 산업혁명으로 인한 왕정중심의 계급사회에서 시민사회로의 체제변화는 부르주아가 패션의 리더가 되는 큰 변화를 낳게 하였을 뿐만 아니라 T.P. O.별 복식착용에 따른 아이템의 다양화와 패션변화의 주기 또한 빨라지게 하였다(Perrot, 2007).
프랑스 패턴북에서 19세기 중반부터 패턴기술의 발전에 대한 항목이 나타난 것은 어떻게 볼 수 있는가? 물론 수집된 패턴북 만으로 패턴기술의 변화와 시기를 단정할 수는 없지만 적어도 19세기 중반이후에 집중되어 있는 것은 사실이다. 이는 일반화된 치수체계로 원형패턴을 제도한후 이를 사용한 유형별 패턴의 제도, 체형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체형별 제도 주의점이나 가봉법 제시, 완성된 패턴의 치수별 그레이딩 등을 통해 패턴제작기술의 일반화를 추구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3)

  1. Barde, F. -A. (1834). Traite encyclopedique de l'art du tailleur. Paris, France: L'auteur. 

  2. Bentayou, P. -Jules. (v. 1885). Methode pratique de coupe par les mesures deposee de P.-Jules Bentayou, tailleur. Orleans, France: Impr. de G. Michau. 

  3. Boucher, F. (1965). Histoire du costume en Occident de l'Antiquite a nos jours. Paris, France: Flammarion. 

  4. Boully, B. (1671). Le tailleur sincere. Paris, France: BNF. 

  5. Chevallier, C. (1856-1860). Le Progres du tailleur, ou l'art d'apprendre a couper seul, le systeme de mesurage de C. Chevallier. Paris, France: Impr. de A. Lacour. 

  6. Compaing, M. (1828). L'art du tailleur, ou Application de la geometrie a la coupe de l'habillement. Paris, France: Dondey-Dupre pere et fils. 

  7. Dartmann, G. -H. (1837). Manuel du tailleur. Paris, France: Hautecoeur. 

  8. Despax, J. (1871). Le livre tailleur, enseignant la coupe des vetements en quinze minutes avec demonstrations et en une heure sans maitre. Paris, France: Les Principaux Libraires. 

  9. Despax, J. (1873). Une merveille de l'art. Extrait du "Livre-tailleur enseignant la coupe des vetements en quinze minutes avec demonstrations et en une heure sans maitre". Paris, France: Principaux Libraires. 

  10. Duflos-Priot, M. Th. (1988). Sytsteme descriptif du costume traditionnel francais. Typologie du vetement et du couvre-chef. Matieres, morphologie, decor. Aspects culturels. Paris, France: Editions e la Reunion des Musee Nationaux. 

  11. Entwistle, J. (2013). The Fashioned body (K. H. Choi Trans.). Seoul, Republic of Korea: Hansung University Press. (Original work published 2000) 

  12. Garnot, B. (1991). Societe, cultures et genres de vie dans la France moderne XVIe-XVIIIe siecle. Paris, France: Hachette. 

  13. Grasault, F. A. (1769). L'art du tailleur. Paris, France: BNF. 

  14. Grawitz, M. (1996). Methodes des sciences sociales. Paris, France: Dalloz. 

  15. Jung, H. S. (2014). A history of fashion. Paju, Republic of Korea: Gyomoon. 

  16. Koh, A. R. (2008). A Fashion culture and history. Paju, Republic of Korea: Gyomoon. 

  17. Kidwell, C. B. (1979). Cutting a fashionable fit: dressmakers' drafting systems in the United States. Washington, USA: Smithsonian Institution Press. 

  18. Kim, M. J., Choi, H. S., Kim, Y. H., Ha, J. S. & Choi, S. H. (2010). Western fashion multi-contents. Paju, Republic of Korea: Gyomoon. 

  19. Kim, S. Y. & Nam, Y. J. (2002). A comparison on the form in women's hanbok between the later Chosun dynasty and modern times: applying Delong's dividing system for apparel body construct.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52(5), 61-77. 

  20. Kim, Y. H. (2012). A study on 17th and 18th century common people's costumes in Franc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36(9), 901-915. 

  21. Kim, Y. H. & Jung, S. H. (2007). Study on French man's clothing design and construction of the early 17th century. The Korean Society of Fashion Design, 7(2), 103-118. 

  22. La Bye, H. -C. (1869). Nouvelle theorie de la coupe. Paris, France: BNF. 

  23. Ladeveze, F. (1874). Cours de coupe du tailleur de Paris, ou l'art d'apprendre a couper et confectionner les habits d'apres le systeme actuel de mesurage. Paris, France: Bureau du "Musee des tailleurs illustre". 

  24. Lavigne,. (1843). Methode du tailleur, ou Traite complet de coupe mis a la portee de tous les praticiens. Paris, France: L'auteur. 

  25. Leclaire,. (1855). L'Art du tailleur, ou Theorie explicative et pratique de tout ce qui concerne les vetements civil et militaire. Paris, France: L'auteur. 

  26. Leloir, M. (1951). Dictionnaire de costume de l'Antiquite a 1914. Paris, France: Librairie Grund. 

  27. Lipovetsky, G. (1999). L'empire de l'ephemere (D. J. Lee Trans.). Seoul, Republic of Korea: Moonye Publishing. (Original work published 1991) 

  28. Peitsch, J. (2013). On different types of women's dresses in France in the Louis XI period. Fashion Theory, 17(4), 397-416. 

  29. Perrot, Ph. (2007). Les dessus et les dessous de la bourgeoisie (J. H. Lee Trans.). Seoul, Republic of Korea: Sibylle books literary agency. (Original work published 1981) 

  30. Ryu, K. H., & Kim, Y. H. (2015). A Study of the Historical Reconstruction of the Western Man's Coat in the Early of the 19th Century.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65(1), 136-149. 

  31. Shin, S. O. (2016). A history of fashion. Seoul, Republic of Korea: Soohak. 

  32. Thirifocq (1881). Le nouveau livre du tailleur. Traite complet de la coupe des vetements d'homme. Paris, France: F. Malteste. 

  33. Vandael, M. (1833). Manuel theorique et pratique du tailleur, ou Traite complet et simplifie de cet art, contenant la maniere de tracer, couper et confectionner les vetemens. Paris, France: Roret.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