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남북한의 심리적 통일을 위한 심리학적 고찰
A Psychological Consideration for Psychological Unification of North and South Korea 원문보기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3 no.1, 2015년, pp.555 - 562  

김명식 (전주대학교 상담심리학과)

초록

본 연구에서는 남북한의 심리적 통일방안의 중요성과 그 구체적 실현 방법, 남북한 정신건강의 현황과 문제점에 대해 살펴보았다. 지금까지 남북통일에 대해 김대중의 남북연방제와 3단계 통일론 등 여러 주장과 연구들이 제시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남북한의 이질성과 동질성, 북한주민의 심리사회적 특성과 정신건강, 남북한의 심리학적 통일에 대한 기존의 심리학적 방안과 연구, 한국의 정신보건 현황 등을 개관했다. 남북한 통일의 문제는 점진적으로든 갑작스럽든 우리민족에게 필연적으로 다가올 수 밖에 없는 역사의 과정이라 할 수 있다. 남북한 통일에 대한 정치경제적 준비도 중요하지만, 분단 60여년의 심리적 상처와 고통을 치유할 수 있는 심리적 차원의 대비와 연구도 매우 중요하다. 향후 남북한 통일에 대비한 정신보건 정책 마련과 제도개선, 탈원화와 지역사회 통합을 강조하는 세계적인 정신보건 기준이나 OECD 권고에 부응하기 위한 각고의 노력이 필요한 상황이다. 본 연구의 의의와 한계점, 향후 연구방향이 논의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nvestigated the way how psychological unification of south and north korea will be achieved and mental health of korea should be enhanced. Among various political opinions proposed for the unification of korea, Dae Jung Kim's federation of south and north korea with 3-stage unification p...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 주장이외에도 국가연합(1민족, 2국가, 2제도, 2정부; 주로 남한 학자들에 의해 주장됨), 낮은 단계연방제(1민족, 1국가, 2제도, 2정부; 연방국가가 두 지역정부 관할, 주로 북한 학자들에 의해 주장됨) 등이 현재까지 주요한 정치적 통일방안으로 거론되어 왔다[2]. 본 연구에서는 첫째, 남북한의 심리적 통일과 통합을 위해 지금까지 심리학적으로 어떤 대안과 연구들이 있어왔는지 살펴보고, 보다 실제적인 심리적 통일방안에 대해 탐색해 보았다. 둘째, 대한민국의 정신보건 현황을 살펴보고 남북한 통일에 대비한 보다 실제적이고 효율적인 정신보건 정책의 수립과 운영에 대해 논의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김대중의 3단계 통일방안 중 1단계의 핵심은 무엇인가? 여러 정치적 통일방안들 중 많이 알려진 김대중의 3단계 통일방안을 살펴보면, 1단계는 국가연합(공화국 연합)으로서 남북한은 각각 독립된 국가로서 외교·국방·내정권한을 유지하며 남북한 동수의 대표파견으로 연합기구를 구성한다는 내용이 골자이다. 2단계는 연방제로서 연방이 외교·국방을 관리하고 연방제 관련해 남북한 양국은 지역자치정부를 유지 및 운영한다는 것이다.
남북한 사회문화의 이질성이 생기는 원인으로 무엇이 제기되는가? 민경환[4]은 남북한 사회문화의 이질성을 다음과 같이 주장했다. 첫째, 남한은 자본주의 사회의 특성을 갖는 반면, 북한은 사회주의 사회의 특징을 갖는다. 자본주의적 남한사회는 자본주의의 자유경쟁의 정신을 바탕으로 자율성, 개인주의, 경쟁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사회주의적 북한 사회는 통제된 공동작업을 원칙으로 하므로 수동성, 집단주의, 협동적 태도가 강하다는 것이다. 둘째, 남한은 지난 60여년 간 산업사회로 충분히 발전되어 왔지만, 북한은 초기나 중기의 산업사회의 특징을 지니고 있어, 남북한 주민의 생활양식과 사고방식이 다를 수 밖에 없어 많은 갈등의 소지가 있다는 것이다. 셋째, 남한은 개방사회인 반면, 북한은 폐쇄사회이다. 북한의 폐쇄성뿐 아니라 그 통치사상인 주체사상은 남북한 주민의 가치관 및 태도에 있어 심각한 갈등과 혼란을 야기할 것으로 예상했다. 넷째, 남한은 자유주의 사회지만, 북한은 권위주의 사회이다. 북한식의 철저한 권위주의적 통치 형태는 자유와 개인의 권리를 매우 제한하기 쉬워, 역시 남북한 주민간 갈등과 혼란의 소지가 크다는 것이다.
정부가 주도하는 한반도 신뢰프로세스는 무엇을 목표로 하는가? 남북한 경제 공동체나 통일로 가는 길은 아직 멀고 험하기만 한 것 같다. 이번 정부 들어와서 강조하고 있는 한반도 신뢰프로세스는 남북간 신뢰, 국민과의 신뢰, 국제사회의 신뢰를 모두 포괄하는 정책으로서 남북간의 정상화와 지속가능한 평화, 통일인프라 강화, 한반도 평화통일 등을 추진과제로 하고 있다[1]. 하지만 최근 들어와서 이 바람직한 이상적인 목표와 과제들이 여러 가지 이유로 큰 효과를 보지 못하고 있는 것 같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Ministry of Unification, Korea Trust Process, pp. 5-10, 2013. 

  2. J. S. Han, The German Experience in the Stage of the Confederation and the Unification Program for the Korean Peninsula, Korean journal of international relations, Vol. 42, No. 2, pp.175-194, 2002. 

  3. C. H. Lee, Unification recovery of South and North korea, Social Science Policy Research, Vol. 15, No. 3, pp.116-125, 1993. 

  4. K. H. Min, Korean Unification Viewed from Psychological Perspective, Psychological Science, Vol. 3, pp.84-99, 1994. 

  5. S. Y. Han, Cultural Attributes of North Korea and Korean Psychological Unificatioin, KPA 2000 Spring Symposium, pp.131-153, 2000. 

  6. H, Choi, J.Y. Kim, The Cmparative Study of Adolescent Personality Formation of South and North Korea, KPA Academy Symposium Presentation of Thesis, 1995. 

  7. WHO, The Global Burden of Disease: 2004 Update. WHO Press, 2008. 

  8. C. H. Lee, The Development of Psychosocial Adaptation Program for North Korean Refugees, Seonggok collection of treatises, Vol. 28, No. 4, pp.739-789, 1997. 

  9. Y. H. Kim. W. T., Jeon, Y. A. Cho, A Study on the Prevalence and the Influencing Factors of the Mental Health Problems Among Recent Migrant North Koreans: A Focus on 2007 Entrants, Unification Policy Research, Vol. 19, No. 2, pp.141-174, 2010. 

  10. H. K. Kim, The relation between defense mechanism and mental health problem of North Korea Female Refugees, The Korean Journal of Woman Psychology, Vol. 15, No. 1, pp. 155-173, 2010. 

  11. W. T. Jeon, Understanding the society and people of North Korea based on North Korea defectors' testimonies, World Cultural Psychiatry Research Review, Vol. 7, No. 1, pp.29-31, 2012. 

  12. J. M. Chae, S. Y. Han, J. H. Yi, M. J. Keum, Orientation of Korean unification psychology through German mental health research, Korean Journal of Psychological and Social Issues, Vol. 13, No. 1, pp. 91-114, 2007. 

  13. K. Rossnagel, J. Muller-Nordhorn, M. Kulig, & S. N. Willich, Regional trends in cerebrovascular mortality in Germany after unification(1990-1999), Cerebrovascular disease, Vol. 16, pp.418-422, 2003. 

  14. M. W. Watts, Aggressive youth cultures and hate crime: Skinheads and xenophobic youth in Germany, American Behavioral Scientist, Vol. 45, No. 4, pp.600-615, 2001. 

  15. C. H. Lee, Introduction to Psychology of Unification, 2000, www//gamja.jungto.org/gf/kor/dae31.htm. 

  16. J.W. Berry and U. Kim, Acculturation and mental health, In P.R. Dasen, J.W. Berry & N. Sarorius (Eds.), Health and Cross-Cultural Psychology: Toward Applications (pp. 207-236). Newbury Park, California: Sage, 1988. 

  17. J.W. Berry, Multicultural policy in Canada: A social psychological analysis, Canadian Journal of Behavioural Science, Vol. 16, pp.353-370, 1984. 

  18. S. S. Oh, Korea to be United and Psychological Reconciliation, Psychological Science, Vol. 10, No. 1, pp.1-17, 2001. 

  19. S. W. Lee, K. H. Shin, Conflicting Ideologies and Social Development of South and North korea, Beyond Barrier of North and South, Seoul: Central publisher aptitude, 1995. 

  20. R. E. Walton and R. B. Mckersie, A behavioral theory of labor relations, New York: McGraw-Hill, 1965. 

  21. S. Y. Kim, The Directions of Social Security Acts after the Reunification of Korea, A Study on the Constitution of the world, Vol. 19, No. 1, pp.117-146, 2013. 

  22. G. D. Kim, Strategy of the Korean Government for the System Integration of the Korean Peninsula, Korean Unification Studies, Vol. 16, No. 1, pp.37-69, 2012. 

  23. Susan O'Connor, Korean Mental Health : OECD Analysis and Recommendation. Korean Mental Health Problems for OECD Perspective,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Inernational Seminar Sourcebook. 2013. 

  24.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Press Releases, Mental Health Act All Reform Summary Announcement(2013. 5. 21), 2013. 

  25. Hospital Newspaper, The Establishment of Mental Health Enhancement prepared for Unification of North and South Korea(2014.1.15.),2014. (http://www.kha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9844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