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저수태 한우 암소 자궁에서 회수된 미생물이 체외수정란 발달율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microorganisms collected from uterus of Hanwoo cattle with low conception rate on the development of IVF-derived embryos 원문보기

농업과학연구 = CNU Journal of agricultural science, v.42 no.4, 2015년, pp.355 - 359  

우제석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  김기현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  조은석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  연성흠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  박연배 (충남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  김민규 (충남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  사수진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cause of infertility is either fertilization failure or early embryonic death. The aetiology may involve a combination of many factors, e.g. genetic factors, abnormalities in the gametes nutritional disorders, inadequate luteal function, and delayed ovulation.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 2005).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한우 암소들 중에 2회 이상 번식에 공여하여도 수태가 되지 않는 개체들의 자궁에서 채취한 미생물들이 체내수정란의 발달 및 수태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체외에서 수정란들과 공배양하여 수정란의 발달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였다.
  • 본 시험은 한우 자궁 내 환경이 수정란 발달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한우를 발정동기화하여 도축하였고, 자궁을 적출하여 자궁 내 미생물을 분리 동정한 결과 Bc, Bt, Sw, Ef들이 조사되었다. 이 분리된 균들이 한우 수정란의 발달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결과 분리 동정된 균수를 원액으로 공배양한 결과에서는 배분할 자체도 발생되지 않는 경우도 있었으며, 미생물 균총수를 104 CFU/ml으로 조정하였을 때에는 Sw, Ef에서 저조한 배반포율을 나타냈다.

가설 설정

  • 본 연구에서 공시하였던 한우는 번식에 공여하여 교배를 수행하였을 때 수태율이 50% 이하로 떨어지는 한우를 공시하였다. 여러 가지 원인이 존재하겠지만 본 연구에서는 수정란 이식시 수란우의 자궁환경이 불량할 경우 수태율이 저하될 수 있다고 가정 하였다. 한우 암소 10두의 자궁을 적출하여 자궁 내 미생물을 조사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수정란 이식은 어떤 특징을 가지는가? 이를 위한 효율적 방안중의 하나로 수정란 이식 기술을 이용하고 있다. 수정란 이식은 우수 유전 형질을 보유하고 있는 암가축으로부터 다수의 수정란을 회수하여 다른 개체에 이식 후 자축을 생산함으로써 우수한 유전 형질을 가진 개체를 효과적으로 증식시킬 수 있고, 형질이 동일한 다수의 자축을 단시간 내에 생산이 가능하므로 가축의 능력 개량에 매우 유용하게 이용할 수 있다(Christensen, 1991). 소 수정란이식의 성공률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수란우의 발정 유무(Nelson and Nelson, 1985), 발정유기 방법(Walton et al.
소의 자궁은 분만 후 어떠한 균들이 존재하게 되는가? 이러한 원인은 다양하지만 그 원인 중의 하나는 자궁 내 미생물의 차이에 있다. 소의 자궁은 분만 후 1 - 2주 동안은 E. coli와 같은 Gram-negative 통성 혐기성 균이 자궁 내에 존재하고 분만 후 2주부터는 Arcanobacterium pyogenes, Bacteroids, Fusobacterium과 같은 Gram- negative 혐기성 균들이 존재하게 된다(Ahlers and Grunert, 1993). 특히 후산정체와 난산은 분만 후 번식 능력에 악영향을 미치고 자궁 감염을 용이하게 한다(Laven and Peters, 1996; Mellado and Reyes, 1994).
국내 한우 사육에서 능력 개량과 번식 효율의 증대를 통한 생산성 향상과 경쟁력 있는 사육 기반조성을 위한 효율적인 방안은 무엇인가? 국내 한우 사육에 있어 능력 개량과 번식 효율의 증대는 생산성 향상과 경쟁력 있는 사육 기반조성을 위하여 해결해야 할 중요한 과제이다. 이를 위한 효율적 방안중의 하나로 수정란 이식 기술을 이용하고 있다. 수정란 이식은 우수 유전 형질을 보유하고 있는 암가축으로부터 다수의 수정란을 회수하여 다른 개체에 이식 후 자축을 생산함으로써 우수한 유전 형질을 가진 개체를 효과적으로 증식시킬 수 있고, 형질이 동일한 다수의 자축을 단시간 내에 생산이 가능하므로 가축의 능력 개량에 매우 유용하게 이용할 수 있다(Christensen, 199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Ahlers D, Grunert E. 1993. Zur Problematik der Behandlung des infizierten Uterus beim Rind im Puerperium. Prakt Tierarzt Sonderh Coll Vet 24:57-62. 

  2. Akhtar M, Singh B. 1979. Livability and fertility rate of spermatozoa in bovine cervical mucus under normal and disease conditions [dairy cattle, India]. Indian Veterinary Journal (India). 

  3. Announ N, Mattei JP, Jaoua S, Fenollar F, Sati H, Chagnaud C, Roudier J, Guis S. 2004. Multifocal discitis caused by Staphylococcus warneri. Joint Bone Spine 71(3):240-242. 

  4. Barigye R, Schaan L, Gibbs PS, Schamber E, Dyer NW. 2007. Diagnostic evidence of Staphylococcus warneri as a possible cause of bovine abortion. Journal of veterinary diagnostic investigation 19(6):694-696. 

  5. Boland M, Crosby T, Gordon I. 1976. Birth of twin calves following a simple transcervical non-surgical egg transfer technique. Veterinary Record 99(14):274-275. 

  6. Broadbent P, Stewart M, Dolman D. 1991. Recipient management and embryo transfer. Theriogenology 35(1):125-139. 

  7. Brock T, Madigan MT, Martinko J, Parker J. 2009. Brock's Biology of Microorganisms. Pearson Benjamin Cummings Press: San Francisco, CA, USA. 

  8. Christensen LG. 1991. Use of embryo transfer in future cattle breeding schemes. Theriogenology 35(1):141-149. 

  9. Donaldson L. 1985. Matching of embryo stages and grades with recipient oestrous synchrony in bovine embryo transfer. The Veterinary Record 117(19):489-491. 

  10. Hussain A, Daniel R. 1992. Phagocytosis by uterine fluid and blood neutrophils and hematological changes in postpartum cows following normal and abnormal parturition. Theriogenology 37(6):1253-1267. 

  11. Jainudeen M, Hafez E. 1993. Reproductive failure in females. Reproduction In Farm Animals 6th ed Lea & Febiger, Philadelphia: 261-286. 

  12. Kim S, Park Y, Park H, Park H, Kim J. 2005. Effect of Embryo Factors on Pregnancy and Abortion Rate after Transfer of In Vitro Produced Korean Native Cattle Embryos. Korean Journal of Embryo Transfer. 20(1):17-24. [in Korean] 

  13. Lafi S, Kaneene J. 1992. Epidemiological and economic study of the repeat breeder syndrome in Michigan dairy cattle. I. Epidemiological modeling. Preventive Veterinary Medicine 14(1):87-98. 

  14. Laven R, Peters A. 1996. Bovine retained placenta: aetiology, pathogenesis and economic loss. The Veterinary Record 139(19):465-471. 

  15. Leighton P, Little J. 1986. Identification of coagulase-negative Staphylococci isolated from urinary tract infections. American journal of clinical pathology 85(1):92-95. 

  16. Mellado M, Reyes C. 1994. Associations between periparturient disorders and reproductive efficiency in Holstein cows in northern Mexico. Preventive Veterinary Medicine 19(3):203-212. 

  17. Nelson LD, Nelson CF. 1985. Effect of estrus detection and corpus luteum development on pregnancy rates in bovine embryo recipients. Theriogenology 23(1):212. 

  18. Ray C. 2004. Sherris medical microbiology. McGraw Hill. 

  19. Semambo D, Eckersall P, Sasser R, Ayliffe T. 1992. Pregnancyspecific protein B and progesterone in monitoring viability of the embryo in early pregnancy in the cow after experimental infection with Actinomyces pyogenes. Theriogenology 37(3):741-748. 

  20. Singh J, Sidhu S, Dhaliwal G, Pangaonkar G, Nanda A, Grewal A. 2000. Effectiveness of lipopolysaccharide as an intrauterine immunomodulator in curing bacterial endometritis in repeat breeding cross-bred cows. Animal reproduction science 59(3):159-166. 

  21. Sreenan J. Methods of consistent supply, recovery and transfer of embryos in cattle; 1983. p 197-212. 

  22. Sreenan J, Diskin M. 1987. Factors affecting pregnancy rate following embryo transfer in the cow. Theriogenology 27(1):99-113. 

  23. Walton J, Martineau N, Stubbings R. 1986. Pregnancy rates in Holstein embryo transfer recipients: effect of treatment with progesterone or clenbuterol and of natural versus induced cycles. Theriogenology 26(6):837-845. 

  24. Wright JM. 1981. Non-surgical embryo transfer in cattle embryorecipient interactions. Theriogenology 15(1):43-56.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