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가열 한우육 및 호주산우육 스테이크에서 심부온도에 따른 glucose, lactate 및 핵산 분해 물질 함량 비교
Comparison of glucose, lactate, and nucleotide degradation products content of cooked Hanwoo and Australian beef steaks by internal temperature 원문보기

농업과학연구 = CNU Journal of agricultural science, v.42 no.4, 2015년, pp.369 - 374  

강선문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축산물이용과) ,  강근호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축산물이용과) ,  성필남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축산물이용과) ,  김영춘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축산물이용과) ,  김진형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축산물이용과) ,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축산물이용과) ,  장선식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한우연구소) ,  조수현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축산물이용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가열 한우육 및 호주산우육 스테이크에서 심부온도에 따른 glucose, lactate 및 핵산 분해 물질 함량을 비교하고자 실시하였다. 시료로 한우육(거세우, 1등급) 및 호주산우육(Bos indicus, 100일 곡류 비육)의 등심(M. longissimus dorsi)과 우둔(M. semimembranosus)를 약 2 cm 두께로 절단하여 각각 세 그룹으로 나누고, $180^{\circ}C$ 오븐에서 심부온도가 각각 50, 70 및 $90^{\circ}C$가 되도록 가열하였다. Glucose 함량은 심부온도에 관계없이 한우육 스테이크가 호주산우육 스테이크에 비해 현저하게 높았다(P<0.05). 이와 반대로 lactate 함량은 한우육 스테이크가 호주산우육 스테이크보다 낮았다(P<0.05). 핵산 분해 물질 중 Hx 함량은 모든 심부온도에서 한우육 스테이크가 호주산우육 스테이크보다 낮았던 반면(P<0.05), GMP, IMP 및 inosine 함량은 한우육 스테이크가 높았다(P<0.05). 심부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쇠고기 스테이크의 glucose 함량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lactate 함량은 일정한 경향을 보이지 않았다. 또한 핵산 분해 물질 함량은 심부온도의 증가에 따라 유의적인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따라서 가열 한우육 스테이크의 단맛 및 감칠맛 관련 풍미 전구물질 함량이 호주산우육 스테이크보다 높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ompare the glucose, lactate, and nucleotide degradation products content of cooked beef steaks from Korean Hanwoo (quality grade: 1) and Australian cattle (Bos indicus, grain-fed for 100 d) by internal temperature. The loins (M. longissimus dorsi) and top rounds (M. sem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하지만 현재까지 심부온도별로 가열처리한 한우육과 호주산 수입우육에서 풍미 전구물질을 비교한 연구는 보고된 바 없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여러 심부온도별로 가열처리한 한우육과 호주산우육 스테이크에서 glucose, lactate 및 IMP 등과 같은 탄수화물 및 핵산 분해 물질 함량을 비교하고자 실시하였다.
  • 본 연구는 가열 한우육 및 호주산우육 스테이크에서 심부온도에 따른 glucose, lactate 및 핵산 분해 물질 함량을 비교하고자 실시하였다. 시료로 한우육(거세우, 1등급) 및 호주산우육(Bos indicus, 100일 곡류 비육)의 등심(M.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쇠고기에 들어있는 전구물질은? 쇠고기는 탄수화물, 리보핵산(ribonucleotide), 단백질, 지방산 및 티아민(thiamine) 등 다양한 풍미 전구물질을 함유하고 있다(Mottram, 1991). 이 성분들은 사후 근육에서 효소 반응을 통해 저분자 물질로 전환된다.
한우육의 대외 경쟁력이 호주산 우육에 비해 낮지만, 국내 소비자가 한우육을 찾는 이유는? 이 때문에 가격 측면에서 한우육의 대외 경쟁력이 호주산 우육에 비해 낮은 실정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대부분의 국내 소비자들은 한우육의 기호도에 절대적인 신뢰를 가지고 있어 수입산우육보다 한우육을 구매하기를 원한다. Hwang 등(2004)은 한우육과 호주산 수입우육(Wagyu)의 관능적 기호도 비교 연구에서 한우육의 풍미 기호도가 호주산 수입우육 보다 높았다고 보고하였다.
전구물질들은 사후 근육에서 어떻게 변하는가? 쇠고기는 탄수화물, 리보핵산(ribonucleotide), 단백질, 지방산 및 티아민(thiamine) 등 다양한 풍미 전구물질을 함유하고 있다(Mottram, 1991). 이 성분들은 사후 근육에서 효소 반응을 통해 저분자 물질로 전환된다. 특히, 핵산의 경우 hypoxanthine (Hx), guanosine 5´-monophosphate(GMP), inosine 5´-monophosphate (IMP) 및 inosine로 분해된다(Koutsidis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Adhikari K, Keene MP, Heymann H, Lorenzen CL. 2004. Optimizing beef chuck flavor and texture through cookery methods. Journal of Food Science 69:174-180. 

  2. Badwell CE, Pearson AM, Spooner ME. 1965. Post mortem changes in muscle. I. Chemical changes in beef. Journal of Food Science 30:766-772. 

  3. Belk KE, Miller RK, Evans LL, Liu SP, Acuff GR. 1993. Flavor attributes and microbial levels of fresh beef roasts cooked in varying foodservice methodology. Journal of Muscle Foods 4:321-337. 

  4. Calkins CR. 2002. Sensory differences among the beef value cuts. Proceedings of the 55th Annual Reciprocal Meat Conference of the American Meat Science Association, Michigan State University, East Lansing, USA. 

  5. Cho S, Seong P, Kang G, Park BY, Jung S, Kang SM, Kim Y, Kim J, Kim D. 2011. Meat quality and nutritional properties of Hanwoo and imported Australian beef. Korean Journal for Food Science of Animal Resources 31:772-781. 

  6. Glascock RA. 2014. Beef flavor attributes and consumer perception. Master's thesis, Texas A&M University, College Station, USA. 

  7. Gutmann I, Wahlefeld AW. 1974. L-(+)-lactate: Determination with lactate dehydrogenase and NAD. H. U. Bergmeyer (Ed.), Academic Press, Inc., NY, USA, Vol. 3, pp. 1464-1468. 

  8. Hornstein I, Crowe PF. 1960. Meat flavour chemistry: Flavour studies on beef and pork.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od Chemistry 8:494-498. 

  9. Hwang IH, Park BY, Cho SY, Kim JH, Lee JM. 2004. Meat quality of highly marbled imported beef with reference to Hanwoo beef. Korean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46:659-666. 

  10. Kondos AC, Tayor DG. 1987. Effect of electrical stimulation and temperature on biochemical changes in beef muscle. Meat Science 19:207-216. 

  11. Korea Meat Trade Association. 2014. Annual handbook of meat. Korea Meat Trade Association, Gunpo, Republic of Korea. 

  12. Koutsidis G, Elmore JS, Oruna-Concha MJ, Campo MM, Wood JD, Mottram DS. 2008a. Water-soluble precursors of beef flavour: I. Effect of diet and breed. Meat Science 79:124-130. 

  13. Koutsidis G, Elmore JS, Oruna-Concha MJ, Campo MM, Wood JD, Mottram DS. 2008b. Water-soluble precursors of beef flavor. Part II: Effect of post-mortem conditioning. Meat Science 79:270-277. 

  14. Kunst A, Draeger B, Ziegenhorn, J. 1984. Glucose UV-methods with hexokinase and glucose-6-phosphate dehydrogenase. H. U. Bergmeyer (Ed.), Academic Press, Inc., NY, USA, Vol. 6, pp. 163-172. 

  15. MacLeod G. 1994. The flavor of meat and meat roducts. F. Shahidi (Ed.), Blackie, Glasgow, pp. 4-37. 

  16. Miller MF, Kerth CR, Wise JW, Lansdell JL, Stowell JE, Ramsey CB. 1997. Slaughter plant location, USDA quality grade, external fat thickness and aging time effects on sensory characteristics of beef loin strip steak. Journal of Animal Science 75:662-667. 

  17. Mottram D. 1991. Volatile compounds in foods and beverages. H. Maarse (Ed.), Marcel Dekker, Inc., NY, USA, pp. 107-177. 

  18. Park HI, Lee M, Chung MS. 1994. Comparison of flavor characteristics and palatability of beef obtained from various breeds. Korean Journal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26:500-506. 

  19. SPSS. 2011. Statistics version 21.0.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NY, USA. 

  20. Streff BA, Wulf DM, Maddock RJ. 2003. The effect of USDA quality grade, deep marination, and degree-of-doneness on palatability of gas grilled beef steaks from seven different muscles. Proceedings of the 56th Annual Reciprocal Meat Conference of the American Meat Science, University of Missouri, Colombia, USA. 

  21. Tikk M, Tikk K, Torngren MA, Meinert L, Aaslyng MD, Karlsson AH. 2006. Development of inosine monophosphate and its degradation products during aging of pork of different qualities in relation to basic taste and retronasal flavor perception of the meat.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od Chemistry 54:7769-7777. 

  22. Yang SY, Lim SD, Jeon KH, Nam KB, Kwon SA, Park JE. 2007. Comparison of vitamin A, E, and cholesterol contents and the sensory properties of chilled Hanwoo and Australian beef. Korean Journal for Food Science of Animal Resources 27:262-266. 

  23. Ministry of Agriculture, Food and Rural Affairs. 2015. General statistics on agriculture, forest, livestock, fishery, and food. Ministry of Agriculture, Food and Rural Affairs, Sejong, Republic of Korea, pp. 34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