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보건의료전문가 출신 국회의원이 보건의료정책 형성에 미친 영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Ex-Health Professional National Assembly Members' Influences on Health Care Policy Making in the National Assembly 원문보기

Health policy and management = 보건행정학회지, v.25 no.4, 2015년, pp.307 - 322  

류창욱 (가천대학교 대학원 보건학과) ,  이재희 (가천대학교 대학원 보건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most democratic countries, influential professional interest groups often become a part of the iron triangle in the policy making process. One of the typical methods by which professional interest groups participate in policy making process may be by having interest group members in the national ...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보건의료정책은 어떻게 결정되는가? 2015년 말 현재 보건복지부 소관 정책을 규정하는 총 85개 법률 중 27개의 보건의료정책 관련 법률과 37개의 보건산업 관련 법률에 근거하여 주로 운영되고 있는 국내 보건의료정책 역시 예외가 아니다. 즉 보건의료정책의 경우 역시 국회의 보건 관련 법률제정 및 개정과정에 참여하는 국회의원들과 이들의 의사결정과정에 영향을 미치는 보건의료계 전문분야 간의 다양하고 첨예한 이해관계 및 구조에 의해 결정된다고 볼 수 있다.
보건의료분야 전문직단체들의 설립목적은? 보건의료분야 전문직단체들은 정관에서 그 설립목적을 ‘회원들의 권익을 위해 설립되었다’라고 명시하고 있는 바1) 일찍이 각 단체 소속회원들인 의사, 약사, 한의사, 치과의사, 간호사, 병원들의 이익 증대를 위한 활동을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정치세력화를 도모해 왔다. 대한의사협회는 1970년대부터 의정회를 출범시켜 정치세력화를 지향해 왔으며, 비슷한 시기에 대한병원협회가 병원정책연구회를 조직하여 운영하였고, 이어 대한치과의사협회, 대한간호협회, 대한한의사회, 대한약사회가 잇달아 직역의 이익을 위한 대외 활동을 위해 별도의 조직을 만들어 회원 권익 증대를 위한 대국회 및 대정부 활동과 회원들의 국회 및 지방의회 진출 지원해 왔다.
국회의원을 배출한 직역 중 약사출신 국회의원은 몇 명인가? 이 중 가장 많은 국회의원을 배출한 직역은 의사로, 의사 출신 국회의원은 제헌 국회 이후 제18대 국회까지 97명의 의원을 배출하였다. 다음은 약사 출신으로 국회의원 33명을 배출하였고 치과의사 출신은 12명을, 간호사 출신은 5명을, 그리고 한의사 출신은 2명의 국회의원을 배출하여 모두 1백 47명의 보건의료분야 전문직 출신 국회의원이 배출되었다. 보건의료 전문직 출신 국회의원 중 지역구와 비례대표를 포함하여 연인원 10여 명이 직역의 이익을 위해 활동 하던 보건의료단체장 출신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0)

  1. Jung JK. Theories of policy sciences. Seoul: Demeung Press; 1997. 

  2. Kim HW. Social background of members of the National Assembly in Korea and its composition. Bulletin of the National Assembly in Korea. Seoul: National Assembly Secretariat;1996. 

  3. Soek IS, Lee IH, Kwon KB, Choi HK. A study on the innovation of the legislation process in the National Assembly of Korea. Seoul: The House Steering Committee in Korea; 2006. 

  4. Oh MK. Policy activities of ex-physician members of the National Assembly in the area of health care with focus on the bills of the standing committees. Seoul: Department of Health Care Management in Medical School of Seoul National University; 2009. 

  5. Choi HK. Comparing policy lobbying of three major medical professions in Korea. J Policy Stud 2006;15(3):35-72. 

  6. Kim KS. A study of social background of national assemblymen in Korea: focus on the 13-14th National Assembly. Seoul: Kyunghee University; 1994. 

  7. Yu CS. A study on the social characteristics of the national assemblymen in Korea. SeoulL: Yonsei University; 1994. 

  8. Mun HC. A study on the professionalism of the standing committee in Korean National Assembly: with a focus on the Health and Social Affairs Committee. Seoul: Seoul National University; 1989. 

  9. Lee EH. An introduction to political science. Seoul: Kyohaksa Press; 1985. 

  10. Nam HJ. Study on lawmaking activity determinants of members of the National Assembly: based on the seventeenth National Assembly. Seoul: Yonsei University; 2008. 

  11. Kim KS. An empirical study on the major effect factors of the choice of policy tools: in case of health care policy. Seoul: Seoul National University; 2013. 

  12. Kim SY. A comparative study on the conflict of group interests and the government intervention. Korean Polit Sci Rev 1994;28(1):375-402. 

  13. Han SH. Interest groups and democracy: policy-process in separation of dispensary from medical practice. Seoul: Korea University; 2009. 

  14. Kim JY. Role and influence of medical association on the revision of Health Care Law. Seoul: Seoul National University; 2009. 

  15. Kang TP. A study on the usability of discoursive policy analysis in conflictive situations. Cheonan: Baekseok University; 2008. 

  16. Kim BJ. A study on press report on conflicts between interest groups: centered on the report about herbal medicine dispute. Seoul: ChungAng University; 1994. 

  17. Cho BH. Healthcare reform and medical power. Seoul: Nanam Press; 2003. 

  18. Lee SK. A study on the history and procedure of health legislation in Korea. Seoul: Yonsei University; 2005. 

  19. Jang SG. A study on press report on conflicts between interest groups: centered on the report about herbal medicine dispute. Hwaseong: Changang University; 2000. 

  20. Lee SS. A study on effects of Pharmaceutical Association interest activities on the governmental policy decision. Daegu: Yungnam University; 1993. 

  21. Lee EJ. A study on the role of interest groups in the legislative process of medical policies. Seoul: Yonsei University; 2002. 

  22. Jee WH. A study on the policy making process of the division of prescribing and dispensing between doctors and pharmacists. Suwon: Sungkyunkwan University; 2004. 

  23. Kim EK. A study on the legislation process of the nursing act: focused on the analysis of controversial issues among interest groups and solutions. Seoul: Yonsei University; 2008. 

  24. Korean Medical Association. Korean Medical Association 85th anniversary. Seoul: Korean Medical Association; 1993. 

  25. Korean Medical Association. Korean Medical Association 100th anniversary. Seoul: Korean Medical Association; 2011. 

  26. Korean Dental Association. History of the Korean Dental Association. Seoul: Korean Dental Association; 2010. 

  27. The Association of Korean Medicine. The Association of Korean Medicine 40th anniversary. Seoul: The Association of Korean Medicine; 1989. 

  28. The Association of Korean Medicine. History of the Korean Medicine Association (1898-2011). Seoul: The Association of Korean Medicine; 2012. 

  29. Korean Pharmaceutical Association. History of the Korean Pharmaceutical Association. Seoul: Korean Pharmaceutical Association; 1970. 

  30. Korean Pharmaceutical Association. History of the Korean Pharmaceutical Association (1911-2001). Seoul: Korean Pharmaceutical Association; 2003. 

  31. Korean Nurses Association. Korean Nurses Association 70th anniversary (1923-1933). Seoul: Korean Nurses Association; 1997. 

  32. Ouk SD. Sources of nursing history in Korea (1886-1911). Seoul: Korean Nurses Association; 2011. 

  33. Chu YJ. The role and social status of the proportional representation members of the National Assembly in Korea. Seoul: Evergreen Press; 1997. 

  34. Baily SK. Congress makes a law: the story behind the Employment Act of 1946. New York (NY): Columbia University; 1950. 

  35. Sin OS. A study on the health care in Korea around the Korean War, 1945-1959: laying stress on the period of the Korean War. Seoul: Seoul National University; 1994. 

  36. Yoon IS. The petition. J Korean Med Assoc 1945;2:125-128. 

  37. Ha YC. The role of the state in health policy-making: the case of 1993 Korea herbal pharmacy disputes. J Korea Polit 2005;14(2):33-68. 

  38. Lee JC. Korea's health care policy of the twentieth century. Korean J Med Hist 1999;15(2):137-145. 

  39. Baek HJ. New medical professionalism. J Rheum Dis 2012;19(6):316-325. 

  40. Kim JD. A study on the petition procedure and its improvement trend in the National Assembly of the Republic of Korea. Seoul: National University; 198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