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새만금 비점오염원 관리지역에서의 목표설정 및 달성도 평가방법론 연구
A Study on Development of Management Targets and Evaluation of Target Achievement for Non-point Source Pollution Management in Saemangeum Watershed 원문보기

대한환경공학회지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Engineers, v.37 no.8, 2015년, pp.480 - 491  

김은정 (국립환경과학원 유역총량연구과) ,  박배경 (국립환경과학원 유역총량연구과) ,  김용석 (국립환경과학원 유역총량연구과) ,  류덕희 (국립환경과학원 유역총량연구과) ,  정광욱 ((사)한국수계환경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비점오염물질 배출 및 유역 특성과 달성 가능성을 고려한 비점관리지역 관리목표 설정 및 목표달성도 평가에 부하지속곡선유역모델을 이용하는 방법을 제시하였으며, 최근 비점오염관리지역으로 선정된 새만금 유역에 대하여 적용하였다. 비점오염원 배출특성을 고려하여 유량지속곡선의 5~40% 범위를 관리유량 구간으로 설정하였으며, 부하지속곡선 방법을 이용하여 TP를 관리항목으로 선정하였다. 2009년~2012년에 대하여 보정된 HSPF 모델과 부하지속곡선을 이용하여 우선관리유역별 저감 시나리오에 따라 관리목표를 설정하였다. 전주A20에 LID적용, 도로청소, CSOs 및 미처리배제수 처리 50%를 가정하고, 만경C03, 동진A14, 고부A14에 비료 30% 감소, 축산계 배출부하량 50% 감소를 가정한 경우 만경대교, 동진대교, 전주천 말단, 군포교의 목표수질은 각각 TP 0.38, 0.18, 0.64, 0.16 mg/L로 산정 되었다. 현재 유달부하량이 일정비율(10%)로 줄어드는 상황을 가정한 관리목표는 만경대교, 동진대교, 전주천 말단, 군포교에서 각각 TP 0.35, 0.17, 0.60, 0.15 mg/L로 산정되었다. 본 연구 결과는 향후 비점오염관리지역에 대한 관리대책, 시행계획 수립 및 이행평가시 기초자료로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methods using LDC (Load Duration Curve) and watershed model were suggested to develope management targets and evaluate target achievement for non-point source pollution management considering watershed and runoff characteristics and possibility for achievement of target. These method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7~11) 국내에서도 수질오염총량제 시행 이후 단위유역 말단에서 약 8일 간격으로 수질과 유량이 동시에 측정된 자료가 축적됨으로 인해 부하지속곡선을 이용한 여러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으나, 주로 총량단위유역 수질현황 분석 시에 유량특성을 반영하여 해석하거나 총량목표수질 달성도 평가 방법론 제시 또는 목표수질 초과원인을 제시하는 등 수질오염총량제를 지원하기 위한 연구에 한정되고 있다.7,12~17) LDC 방법을 이용하면 유량 구간에 따른 수질이나 부하량 분석이 가능하므로 본 연구에서는 비점에 의한 영향을 받는 유량 구간을 한정한 목표설정 및 달성도 평가방안에 LDC 방법을 적용하고자 한다
  • 관리항목이 수질항목 농도 또는 부하량인 경우 관리목표 설정을 위해서는 앞서 설명한 과정을 통해 현재 농도 또는 부하량을 기준으로 저감 효과를 분석한 후 달성가능한 수준의 목표를 제시한다. 관리목표 달성도 평가방법은 관리 항목의 종류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본 연구에서는 관리 항목이 수질항목인 경우에 대해서 부하지속곡선을 이용한 관리목표 설정 및 달성도 평가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은 2.
  • 관리항목이 수질항목 농도 또는 부하량인 경우 관리목표 설정을 위해서는 앞서 설명한 과정을 통해 현재 농도 또는 부하량을 기준으로 저감 효과를 분석한 후 달성가능한 수준의 목표를 제시한다. 관리목표 달성도 평가방법은 관리 항목의 종류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본 연구에서는 관리 항목이 수질항목인 경우에 대해서 부하지속곡선을 이용한 관리목표 설정 및 달성도 평가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 9). 목표지점은 관리효과 평가의 효율성과 모니터링 가능성을 고려하여 선정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관리항목 및 관리목표 설정과 목표달성도 평가를 위하여 부하지속곡선을 이용한 방법론을 제안하였다. 부하지속곡선(LDC)이란 유량지속곡선(Flow Duration Curve, FDC)을 이루는 각 유량값에 기준이 되는 수질농도를 곱하여 산정된 각각의 부하량을 해당 유량값의 초과백분율에 따라 도시한 것으로, 분석지점에서 수질이 기준을 만족하는 경우의 부하량을 유량누적빈도에 따라 나타낸 것이다.
  • 본 연구에서는 비점오염 관리지역에 대해 과학적인 관리 방안을 마련하기 위한 기초로 부하지속곡선과 유역모델을 이용한 관리목표 설정 및 목표 달성도 평가 방안을 제안하였다.
  • 관리목적 및 항목을 결정하는 것은 해당지역 전문가나 이해당사자의 역할이 중요하며, 관리항목의 적합성을 판단하기 위해서는 모니터링 자료를 이용한 분석이 수반되어야 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수질항목을 관리항목으로 하는 경우 목표지점에서의 기준 부하지속곡선과 관측부하량을 비교하여 관리항목을 선정하는 방안을 제안하고자 하며 방법은 2.3절에 제시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유역 및 비점오염물질의 배출 특성과 달성가능성을 고려한 과학적인 관리목표 설정과 목표달성도 평가를 하는데 있어서 부하지속곡선과 유역모델을 이용하는 방법론을 제시하고, 최근 비점오염관리지역으로 지정된 새만금 유역에 대하여 시범적으로 적용해 보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 제시되는 방법론은 기존 비점관리지역의 관리목표 설정에 대한 평가에 이용될 수 있을 것이다.

가설 설정

  • LID 적용을 위해 기존 불투수면의 20%가 투수면으로 변환된다고 가정하였으며 도로청소는 유역 내 교통지역의 15%가 청소되며 문헌33)에서 제시된 포장도로 청소의 TP 저감효율을 참고하여 도로노면에 축적된 양의 70%가 저감된다고 가정하였다. CSOs 및 미처리 배제수 처리는 전주천에서 산정된 미처리배제수를 CSOs 및 미처리배제수로 가정하여 모델에 적용하였고 시나리오별로 10%, 30%, 50%, 100%를 가정하였다. 만경 C03, 동진 A14, 고부 A14의 경우 시나리오1~시나리오4 모두 녹비작물 및 양분관리를 통해 사용비료의 30% 감소를 가정하였고, 축산계 비점관리를 통해 축산계 배출부하량이 시나리오1, 2, 3, 4에 대하여 각각 10%, 30%, 50% 저감된다고 가정하였다.
  • 전주A20의 경우 시나리오1~시나리오4 모두 LID 및 도로청소 적용을 공통적으로 고려하였고, CSOs 및 미처리 배제수 처리는 시나리오1, 2, 3, 4에 대하여 각각 10%, 30%, 50%, 100%를 적용하였다. LID 적용을 위해 기존 불투수면의 20%가 투수면으로 변환된다고 가정하였으며 도로청소는 유역 내 교통지역의 15%가 청소되며 문헌33)에서 제시된 포장도로 청소의 TP 저감효율을 참고하여 도로노면에 축적된 양의 70%가 저감된다고 가정하였다. CSOs 및 미처리 배제수 처리는 전주천에서 산정된 미처리배제수를 CSOs 및 미처리배제수로 가정하여 모델에 적용하였고 시나리오별로 10%, 30%, 50%, 100%를 가정하였다.
  • 그러나 관리지역 내 다른 소유역에 대한 저감방안은 아직 검토되지 않았으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저감 시나리오 적용은 현재 어려우며 장래 점오염원 변화를 고려하기도 어려운 상황이다. 따라서 관리유량 구간의 현재 유달부하량이 일정비율(10%)로 줄어드는 상황을 가정하여 관리목표를 설정하였으며 그 결과는 Table 3에 함께 제시하였다. 분석 결과 만경대교, 동진대교, 전주천 말단, 군포교의 관리목표수질은 각각 TP 0.
  • CSOs 및 미처리 배제수 처리는 전주천에서 산정된 미처리배제수를 CSOs 및 미처리배제수로 가정하여 모델에 적용하였고 시나리오별로 10%, 30%, 50%, 100%를 가정하였다. 만경 C03, 동진 A14, 고부 A14의 경우 시나리오1~시나리오4 모두 녹비작물 및 양분관리를 통해 사용비료의 30% 감소를 가정하였고, 축산계 비점관리를 통해 축산계 배출부하량이 시나리오1, 2, 3, 4에 대하여 각각 10%, 30%, 50% 저감된다고 가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현재 설정된 비점오염원 관리지역에 대한 관리목표의 한계점은 무엇인가? 4% 이하로 낮추거나 2009년도 대비 배출량을 250 톤/년 저감하는 것으로 설정되어 있다.2) 그러나 이들 관리목표는 과학적 근거가 부족한 상태에서 연평균 개념의 수질기준으로 설정됨으로써 강우 시 주로 발생하는 비점오염원에 의한 수질변화 특성을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 또한 달성가능성, 지역현황 등이 고려되지 않은 획일화된 기준을 적용하여 임하호와 소양호의 경우 관리대책 지정 시부터 지속적으로 관리목표를 달성하는 결과를 초래하였다. 관리목표 달성도 평가의 경우 3년 평균, 연속 2회 관리목표 유지 시 목표를 달성한다는 총량제 평가방법을 준용하고 있어 비점 오염 관리를 위한 차별화된 평가방법이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비점오염관리지역의 효과적인 관리를 위해서는 비점오염물질 배출 및 해당 유역 특성을 고려한 과학적인 관리목표 설정과 관리목표 달성도 평가방법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환경부에서 "비점오염원관리 종합대책"을 수립한 계기는 무엇인가? 환경부는 점오염원 위주의 관리만으로 공공수역 수질개선에 한계가 있음을 인식하고 관계부처 합동으로 “비점오염원관리 종합대책(2004, 2012)”을 수립하여 비점오염원을 관리하기 시작하였다.1) 또한 종합대책을 근거로 한 “수질 및 수생태 보전을 위한 법률”에 따라 2007년부터 광주광역시, 도암호, 소양호, 임하호, 수원시, 새만금, 골지천의 7개 지역을 비점오염원 관리지역으로 지정하여 관리해오고 있으며 최근 소양호와 임하호는 관리목표를 달성함으로 인해 관리지역에서 해제되었다.
"수질 및 수생태 보전을 위한 법률"에 따라, 비점오염원 관리지역으로 지정한 곳은? 환경부는 점오염원 위주의 관리만으로 공공수역 수질개선에 한계가 있음을 인식하고 관계부처 합동으로 “비점오염원관리 종합대책(2004, 2012)”을 수립하여 비점오염원을 관리하기 시작하였다.1) 또한 종합대책을 근거로 한 “수질 및 수생태 보전을 위한 법률”에 따라 2007년부터 광주광역시, 도암호, 소양호, 임하호, 수원시, 새만금, 골지천의 7개 지역을 비점오염원 관리지역으로 지정하여 관리해오고 있으며 최근 소양호와 임하호는 관리목표를 달성함으로 인해 관리지역에서 해제되었다. 따라서 현재 5개 지역이 관리지역으로 설정되어 있으며, 이 중 새만금, 골지천 유역은 현재 시행계획이 수립 중에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4)

  1. Choi, J. W., Kang, M. J., Ryu, J. C., Kim, D. I., Lim, K. J. and Shin, D. S., "Assessing the Action Plans in the Control Area (Soyang Reservoir) of Non-point Source Pollution," J. Korean Environ. Sci. Soc., 23(5), 839-852(2014). 

  2. Park, B. K., Kang, M. J., Kim, E. J., Kim, S. J., Kim, Y. S., Rhew, D. H. and Kim, S. H., "Study on Outcome and Upgrade Direction of Designation Policy of Non-point Source Control Areas," in Proceedings of the Joint Spring Conference of Korea Society on Water Environment and Korean Society of Water and Wastewater, pp. 70-71(2014). 

  3. Yoon, S. W. Chung, S. W., Oh, D. G. and Lee, J. W., "Monitoring of nonpoint source pollutants load from mixed forest land," J. Environ. Sci., 22(6), 801-805(2010) 

  4. Hann, C. T., Statistical methods in hydrology. The Iowa State University Press, Iowa. pp. 1-378(1977). 

  5. U. S. EPA, TMDLs Stormwater Permits Handbook (draft), Office of Wetlands, Oceans and Watersheds, U. S. EPA, Washington, DC, pp. 1-193(2008). 

  6. Han, S. H., Shin, H. S. and Kim, S. D., "Applicability of Load Duration Curve to Nakdong River Watershed Management," J. Korean Soc. Water Environ., 23(5), 620-627(2007). 

  7. Hwang, H. S., Park, B. K., Kim, Y. S., Park, K. J., Cheon, S. U. and Lee, S. J., "Research on the Applicability of the Load Duration Curve to Evaluate the Achievement of Target Water Quality in the Unit Watershed for a TMDL," J. Korean Soc. Water Environ, 27(6), 885-896(2011). 

  8. Nebraska, Total Maximum Daily Loads for the Big Blue River Basin (Fecal Coliform and E. coli Bacteria), Nebraska Department of Environmental Quality Planning Unit, Water Quality Division(2004). 

  9. Nevada, Load Duration Curve Methodology for Assessment and TMDL. Development Nevada Division of Environmental Protection(2003). 

  10. Oregon, Bacteria Technical Appendix, Williamette Basin TMDL, Oregon Department of Environmental Quality(2004). 

  11. South California, Total Maximum Daily Load Development for the Upper Broad River Watershed_Fecal Coliform Bacteria, South California Department of Health and Environmental Control(2004). 

  12. Hwang, H. S., Yoon, C. G. and Kim, J. T., "Application Load Duration Curve for Evaluation of Impaired Watershed at TMDL Unit Watershed in Korea," J. Korean Soc. Water Environ, 26(6), 903-909(2010). 

  13. Choi, K. W., Shin, K. Y., Lee, H. J. and Jun, S. H., "Assessment of the Water Quality of Jungnang Stream by Flow Conditions Using Load Duration Curve," J. Environ. Health Sci., 38(5), 438-447(2012). 

  14. Kang, H. W., Ryu, J. C., Shin, M. H., Choi, J. D., Choi, J. W., Shin, D. S. and Lim, K. J., "Application of Web-based Load Duration Curve System to TMDL Watersheds for Evaluation of Water Quality and Pollutant Loads," J. Korean Soc. Water Environ., 27(5), 689-698(2011). 

  15. Park, J. D. and Oh, S. Y., "Methodology for the Identification of Impaired Waters Using LDC for the Manag,ement of Total Maximum Daily Loads," J. Korean Soc. Water Environ., 28(5), 693-703(2012). 

  16. Park, J. H., Kim, K. S., Jung, J. W., Hwang, K. S., Moon, M. J., Ham, S. I. and Lim, B. J., "Water Quality Characteristics Evaluation by Flow Conditions Using Load Duration Curve-in Youngbon A Watershed-," J. Environ. Impact Assess., 22(4), 319-327(2013). 

  17. Yun, S. Y., Ryu, J. N. and Oh, J. I., "Water Quality Management Measures for TMDL Unit Watershed Using Load Duration Curve," J. Korean Soc. Water Wastewater, 27(4), 429-438(2013). 

  18. Lee, J.W., Kwon, H. G., Yi, Y. J., Yoon, J. S., Han, K. Y. and Cheon, S. U., "Quantitative Estimation of Nonpoint Source Load by BASINS/HSPF," J. Korean Environ. Sci. Soc., 21(8), 965-975(2012). 

  19. Lee, Y. W., Song, K. D., Lee, J. C., Yoon, K. S., Rhew, D. H., Lee, S. W. and Lee, S. H., "Development of a Method for Estimating Non-Point Pollutant Delivery Load of Each Reference Flow with Combination of BASINS/HSPF," J. Korean Soc. Environ. Eng., 32(2), 175-184(2010). 

  20. Yoon, C. G., Shin, A. H., Jung, K. W. and Jang, J. H., "A Study on BASINS/WinHSPF for Evaluation of Non-point Source Reduction Efficiency in the Upstream of Nam-Han River Watershed," J. Korean Soc. Water Environ, 23(6), 951-960(2007). 

  21. Jung, C. G., Joh, H. K., Park, J. Y. and Kim, S. J., "Runoff Characteristics Comparison of Nonpoint Source Pollution for Two Adjacent Stream Watersheds using SWAT Model," J. Korean Soc. Agri. Eng., 54(3), 91-101(2012). 

  22. Hwang, B. H., Kim, D. I., Yoon, Y. S. and Han, K. Y. "Non-point Source Quantification Analysis Using SWAT in Nakdong River Watershed," J. Korea Water Resour. Assoc., 43(4), 367-381(2010). 

  23. Jo, J. H. and Jo, N. H. "Estimation of Nonpoint Pollutant Loads in the Hwanggujichoen Basin using SWMM," J. Environ. Impact Assess., 12(5), 349-358(2003). 

  24. Shin, H. S., Son, J. H., Jang, J. K., Shon, T. S., Kang, D. K. and Cho, D. J., "The NPS Analysis and CSO Management Based on SWMM for Oncheon Basin," J. Korean Soc. Water Environ, 25(2), 268-280(2009). 

  25. Jung, J. Y., Shin, Y. R., Choi, J. H., Choi, I. K., Yoon, C. G. and Son, Y. K., "Characteristics of Pollutant Loads in Saemangeum Watershed Using HSPF," 18(2), 54-65(2011). 

  26. Kim, B. G., Kim, I. S., Lee, G. J. and Kim, M. S., "Experimental study on the community participation for non-point source management in Saemangeum," in Proceeding of the annual meeting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Local Government Studies, pp. 117-130(2013). 

  27. Jang, N. J., Kim, B. G., Im, S. H. and Kim, T. G., "A Study on Evaluation of Target Region for the Agricultural Non-point Sources Management," J. Korean Soc. Environ. Eng., 34(1), 23-31(2012). 

  28. Jung, W. H., Yi, S. J., Kim, G. H. and Jeong, S. M. "Watershed Selection for Diffuse Pollution Management Based on Flow Regime Alteration and Water Quality Variation Analysis," J. Korean Soc. Water Environ., 27(2), 228-234(2011). 

  29. U. S. EPA, An Approach for Using Load Duration Curves in the Development of TMDLs, EPA 841-B-07-006, Office of Wetlands, Oceans and Watersheds, U. S. EPA, Washington, DC, pp. 1-68(2007). 

  30. U. S. EPA, Handbook for Developing Watershed Plans to Restore and Protect Our Waters, EPA 841-B-08-002, U. S. EPA, Washington, DC, pp. 1-400(2008). 

  31. Kim, E. J., Park, B. K., Shin, D. S., Kim, Y. S. and Rhew, D. H., "The Study on Methods for Setting of Water Quality Goal and Estimation of Allocation Loads on TMDL System Using a Dynamic Water Quality Model," J. Korean Soc. Environ. Eng., 36(9), 329-640(2014). 

  32. NIER, Management measures of non-point source pollutants in Saemangeum watershed,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pp. 1-304(2014). 

  33. Federal Highway Association, Storm Water Best Management Practices in an Ultra-Urban Setting : selection and monitoring, pp. 1-287(2000). 

  34. Government of Western Austrailia, Water quality monitoring program design-A guidance to the development of surface water quality monitoring programs, Government of Western Austrailia, pp. 1-30(2009).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