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대전 갑천의 수질변화 경향 및 주요 수질 영향 인자 분석
Analysis on Trends and Major Impact Factors of Water Quality Dynamics in the Gab-Cheon River, Daejeon, Korea 원문보기

대한환경공학회지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Engineers, v.37 no.9, 2015년, pp.517 - 525  

이가영 (충남대학교 환경공학과) ,  서동일 (충남대학교 환경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대전 3대 하천의 1992년 1월부터 2014년 12월까지 수질변화 추이를 분석하고, 대전하수처리장의 방류수가 갑천의 수질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2014년 대전의 갑천3 지점의 BOD, COD, TN, TP 연평균 농도는 각각 1.53, 3.36, 2.16, 0.03 mg/L로서 우리나라 하천수질기준으로 Ib 급수의 수준을 나타내나, 하수처리장 방류수가 유입된 이후 금강으로 유입되기 직전 지점인 갑천A 지점에서는 각각 3.43, 11.51, 8.62, 0.12 mg/L 수준으로써 COD는 매우 나쁜 수준인 VI 급수의 수준에해당하며 BOD와 TP는 III 급수의 수준을 나타낸다. 대전하수처리장이 가동을 시작한 1994년 이전의 수질에 비하여 고도처리 시설이 완공된 2013년 이후의 수질을 비교하였을 경우, 전체적으로 수질이 개선되었으나, 갑천 최상류 봉곡교 지점 및 최하류 지점의 TN농도는 각각 2배 및 3배가량 증가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갑천 최하류의 수질에 기여하는 오염부하량 분포를 산정한 결과 대전의 하수처리장 방류수가 TN, TP, BOD와 COD 총부하량의 각각 76%, 63%, 35% 및 46%를 차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금강의 수질을 개선하기 위한 갑천의 수질관리는 TN 및 TP 등 영양염류는 하수처리장의 방류수를 추가 개선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판단되며, BOD 및 COD를 포함하는 유기물은 하수처리장 방류수의 오염부하와 함께 위 부하량의 각각 54% 및 47%를 차지하는 각종 소하천 및 우수거등 비점오염원에서 유입되는 부하량을 함께 관리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고 분석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nalyzes water quality change trends in three major rivers in Daejeon and effect of discharge from Daejeon Wastewater Treatment Plant between 1992 and 2014. As of 2014, COD concentration in the Gab-cheon-A station is in level VI for Korea river water quality standard while BOD and TP are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갑천을 대상으로 환경부 수질측정망자료를 이용하여 지점 및 시기별 수질변화특성과 대전하수처리장의 방류수가 갑천의 수질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런 결과는 갑천의 실질적인 수질관리를 위한 유역 및 하수처리장의 향후 개선안 또는 대안 수립에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대전의 1993년도 인구는 몇 명이었는가? go.kr)에 의하면 인구는 1993년도에 118만 명 수준에서 2003년에는 143만 명으로 증가하였고 2013년의 인구는 151만 명 정도로서 서울, 부산, 대구, 인천 및 광주에 이어 우리나라에서 6번째의 규모를 나타내고 있다. 대한민국의 인구는 1993년 4천 4백만 명에서 2013년 5천만 명 정도로 꾸준히 증가하며 대전과 광주는 전국적인 인구변화 추이와 유사한 경향을 보이고 있다.
대전의 3대 하천 중 하나인 유등천의 특징은 무엇인가? 70 km이다. 유등천은 갑천의 제 1지류로, 유역면적은 289.14 km2이며 유로 연장은 44.40 km로 갑천면적의 약 43.7%를 차지하고 있으며 대전천은 갑천의 제 2지류로 대전광역시의 동부 중심을 관류하며, 유역면적은 89.31 km2 , 유로 연장은 26.
하천수질이 영향을 받는 요인은 무엇인가? 인구 밀도는 2,851인/km2으로서 서울(16,402인/km2) 및 부산(4,450인/km2)과는 다소 차이가 있으며 대구(2,790인/km2), 인천(2,715인/km2) 및 광주(3,021인/km2) 등과 유사한 수준이다. 하천수질은 유역의 지형, 인구활동, 기상특성 및 환경관리 시설의 설치 및 가동 여부 등에 의하여 크게 영향을 받으며 대체적으로 하류로 내려 갈수록 인위적인 활동에 의한 부작용으로 오염부하량이 축적되면서 수질이 악화되는 경향을 보인다. 또한 하천의 부영양화 및 수질특성은 일반적으로 계절적인 강우분포특성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우리나라의 경우 여름철 강우 집중도에 따른 유량변동 특성이 수질 측정값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결과가 다수 보고된 바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Jones, J. R., McEachern, I. P. and Seo, D., "Empirical evidence of monsoon influences on Asian Lakes," Aquat. Ecosyst. Health & Manage., 12(2), 129-137(2009). 

  2. Jeong, C. H. and Moon, B. J., "Hydrochemical and Isotopic Characteristics of Major Streams in the Daejeon," Econ. Environ. Geol., 42(4), 315-333(2009). 

  3. Korea Ministry of Environment, 2013 Sewage Statistics (2014) (www.me.go.kr/home/web/policy_data/read.do?menuId10264&seq6436). 

  4. Ministry of Environment, Water Quality and Aquatic Ecosystem Conservation Act(2015). 

  5. Samann Engineering and Hyundai Engineering, "Report of Geum River Master Plan (The Geum River, Miho-cheon, Gab-cheon, Youdeung-cheon)," Daejeon Regional Construction Management Administration(2011). 

  6. Ministry of Environment Geum River Basin Office, "Water Quality Management Plan of Gab-cheon River Area (2007-20011)," National Archives of Korea Home Page, http://www. archives.go.kr(2007). 

  7. Ministry of Environment Water Environment Information System Home Page, http://water.nier.go.kr(2015). 

  8.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Home Page, http://www.kma.go.kr,(2014). 

  9. Daejeon Metropolitan City Facilities Management Corporation Home Page, www.djsiseol.or.kr(2015). 

  10. Seo, D., "A Necessity of Management of Small Streams for National River Management," Magazine of Water and Future, Korea Water Resour. Assoc., 42(5), 18-22(2009). 

  11. Choi, J. Y., Lee, B. G., Han, D. H., Hwang, D. H., Jang, S. H. and Kang, Y. J., "Final Report for Organic Materials Assessment and Management Policy of Public Waters," Service Report from Korea Environment Institute to Ministry of Environment(2008). 

  12. Lee, J. K., "A study of sewage reduction for total pollution load management of discharging treatment plant," Planning Research Report 2012-12 of Daejeon Development Institute (2012). 

  13. Dongbu Engineering, Daejeon Environmental Technology Development Center, "A Research of Development of Ecological River in Urban Area; Deajeon," Korea Institute of Civil Engineering and Building Technology(2003). 

  14. Dongbu Engineering, "Basic Plan for Gap-cheon River Management," Service Report from Dongbu Engineering to Deajeon Metropolitan City, The Ministry of Construction and Transportation(1993). 

  15. Ministry of Environment, Home Page, www.me.go.kr(2015). 

  16. Seo, D., Yun, J. W. and Lee, J. W., "Comparative analysis of QUAL2E, QUAL2K and CAP steady state water quality modeling results on downstream areas of the Geum River, Korea," J. Korean Soc. Water and Wastewater, 22(1), 121-129(2008). 

  17. Seo, D. I., Seo, M. J., Koo, M. S. and Woo, J. K., "Serial use of hydrodynamic and water quality model of the Geum River using EFDC-Hydro and WASP7.2," J. Korean Soc. Water and Wastewater, 23(1), 15-22(2009). 

  18. Seo, D., Lee, E. H. and Reckhow, K. "Development of the CAP water quality model and its application to the Geum River, Korea," Environ. Eng. Res., 16(3), 121-129(2011). 

  19. Kim, S. M., Kim, K. H., Hong, I. P. and Seo, D., "Estimation of Required Low Flow of the Geum River for Water Quality Management During Dry Seasons," J. Korean Soc. Environ. Eng., 19(11), 1347-1360(1997). 

  20. Geum River Environment Research Center, "1st Year Annual Report of Analysis of Temporal and Spatial Water Quality Dynamics in the Geum River," Environment Basic Survey Project of Commission of the Geum River Water Quality Management(2005). 

  21. Lee, H. S., Hur, J., Jeong, S. A., Hwang, S. J. and Shin, J. K., "Spatial Characterization of Water Pollution in the Urban Stream Watershed (Gap-Cheon River)," J. Korean Soc. Water Qual., 22(5), 943-951(2006). 

  22. Nam, T. K., "Trend Analysis of Water Qualities of the Daejeon 3 Major Streams Based on Mann-Kendall Test," Master Thesis of Hanbat National University Graduate School of Industry(2013). 

  23. Lim, B. H., Mun, K. W., Lee, J. Y. and Lee, J. G., "Integrated Management Plan for Three Major Rivers in Daejeon with Themes," Daejeon Development Institute(2014). 

  24. Dongbu Engineering, Haneal Engineering Group, "A Basic Design of Restoration of Daejeon-cheon and Youdeung-cheon Ecological Restoration," Service report from Dongbu Engineering to Deajeon Metropolitan city(2006). 

  25. Zhou, J. J. and Lim, B. S., "Characteristics of Water Quality Change of Urban River according to Installation of Interceptors and Wastewater Treatment Plant," J. Korean Soc. Environ. Eng., 36(12), 813-820(2014). 

  26. Lee, J. H. and Park, E. K., "Rivers Restoration Strategies of Daejeon Metropolitan City," J. Korea Water Resour. Assoc., 177, 41(4), 49-59(200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