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물환경 관리여건 변화를 고려한 수질오염총량제도의 개선방안 연구
Improvement Measures for 「Total Water Pollution Load Management System」 Considering Changes in Water Environment Management 원문보기

보고서 정보
주관연구기관 한국환경정책ㆍ평가연구원
Korea Environment Institute
연구책임자 김호정
참여연구자 이병국 , 문현주 , 강형식 , 최사라 , 양일주 , 정선희 , 공동수
보고서유형최종보고서
발행국가대한민국
언어 한국어
발행년월2013-10
과제시작연도 2013
주관부처 환경부
Ministry of Environment
등록번호 TRKO201800042249
과제고유번호 1105008025
사업명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DB 구축일자 2019-05-18
키워드 개발사업.수질오염.인식조사.지방자치단체.총량관리.Development Project.Local Government.Pollution Load.Staff Survey.Water Quality.
DOI https://doi.org/10.23000/TRKO201800042249

초록

’02년 4대강 수계법이 제정되면서 수계 구간별로 목표수질을 설정하고 이를 달성하기 위해 유역에서 배출되는 오염물질의 총량을 관리하는 수질오염총량관리제도(이하 총량제)가 도입되었다. 본 연구는 총량제가 시행된 지 10여년이 지난 현 시점에서 총량제의 성과와 과제를 분석하고 물환경 관리여건 변화를 고려한 제도 개선방안을 도출하고자 진행되었다.

금강‧낙동강‧영산강 수계에 대한 1단계 총량제 시행 결과 생화학적산소요구량(BOD)의 배출부하량 감소 및 수질개선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총량제 시행 지역에 대규모로 환경기

Abstract

Following the passage of 「Special Act on the Four Rivers」 in 2002, the 「Total Pollution Load Management System」(TPLMS) was adopted which determines the total maximum load of pollutants that satisfies the water quality standard for each segment of a water system. This study analyzes the achievements

목차 Contents

  • 표지 ... 1
  • 서언 ... 3
  • 국문 요약 ... 5
  • 목차 ... 7
  • 표목차 ... 11
  • 그림목차 ... 13
  • 제1장 서론 ... 17
  • 1. 연구 배경 및 필요성 ... 17
  • 2. 연구 목적 ... 18
  • 3. 연구 내용 및 방법 ... 19
  • 제2장 수질오염총량관리제도 추진 현황 ... 21
  • 1. 제도 추진 체계 ... 21
  • 가. 수질오염총량관리제도 개요 ... 21
  • 나. 수질오염총량관리제도 도입 경과 ... 22
  • 다. 목표수질의 설정 ... 24
  • 라. 제도 시행 절차 ... 26
  • 2. 1단계 수질오염총량관리제도 추진 결과 ... 29
  • 가. 1단계 시행성과 ... 29
  • 나. 수질오염총량제도 성과 및 한계 ... 37
  • 3. 제도 시행 과정에서 제기된 문제점 ... 39
  • 가. 선행연구 검토 ... 39
  • 나. 지방연구원 의견 ... 40
  • 다. 총량제에 대해 제기된 문제점의 구분・정리 ... 42
  • 4. 최근 정책 동향 ... 45
  • 가. 한강수계 총량관리 의무시행 및 3대강수계 3단계 시행 ... 45
  • 나. 관련 정책 동향 ... 45
  • 제3장 수질오염총량관리제도를 둘러싼 물환경 관리여건의 변화 ... 47
  • 1. 제도 도입 전·후 물환경 관리여건 ... 47
  • 가. 제도 도입 전 ... 47
  • 나. 제도 도입 후 ... 51
  • 2. 제도에 대한 이해관계자 인식 조사 ... 57
  • 가. 지자체 담당자 인터뷰 ... 57
  • 나. 지자체 및 산업체 대상 설문조사 ... 63
  • 다. 기존 조사 결과와의 비교 ... 102
  • 3. 향후 제도 추진여건 분석 ... 105
  • 가. 비점오염원 관리의 중요성 증가 ... 105
  • 나. 개발사업 추진 양상의 변화 ... 110
  • 다. 친수활동 등 하천·호소 이용의 증가 ... 115
  • 라. 오염원 관리제도의 강화 ... 116
  • 마. 수계관리기금 운영의 어려움 증가 ... 119
  • 제4장 수질오염총량관리제도의 지속적 발전을 위한 제도 개선방안 ... 123
  • 1. 수질오염총량관리제도 관련 제도의 연계성 확보 ... 123
  • 가. 총량제 관련 계획 및 사업 현황 ... 123
  • 나. 환경부 소관 수질관리 정책의 일관성 확보 ... 125
  • 다. 각종 국토 계획 수립 시 총량제와의 연계성 확보 ... 130
  • 2. 유량 조건이 반영된 비점오염원 산정 및 관리 ... 135
  • 가. 총량제 상의 비점오염원 산정 방법 ... 135
  • 나. 현행 비점오염원 산정 방식의 한계 ... 137
  • 다. 비점오염원 산정・관리 개선 방안 ... 139
  • 3. 총량 계획 시 저영향개발(LID) 및 그린인프라(GI) 적용 확대 ... 142
  • 가. 현행 비점오염원 저감방법 ... 142
  • 나. LID/GI의 개념 및 효과 ... 144
  • 다. 총량제를 통한 LID/GI 적용 활성화 방안 ... 146
  • 라. LID/GI의 총량제 적용 사례 (미국) ... 152
  • 4. 효과적인 삭감방법의 발굴 및 적용 ... 154
  • 가. 효과적인 삭감방법의 발굴 필요성 ... 154
  • 나. 배출권거래제 도입 현황 (미국) ... 154
  • 다. 배출권거래제 도입의 현실적인 한계 ... 156
  • 라. 지자체 간 개발부하량 조정 또는 사업부지 외 대체 삭감 ... 157
  • 5. 광역시·도의 총량관리 역량 향상 ... 160
  • 가. 총량제 시행 과정에 대한 지자체 의견 ... 160
  • 나. 광역시·도의 총량 계획·관리 역량 강화 ... 162
  • 다. 총량제 적용의 유연성 부여 ... 164
  • 제5장 결론 ... 167
  • 참고 문헌 ... 173
  • 부록1. 비점오염원 총량관리 개선방안 ... 181
  • 1. 비점오염원 관리 현황 및 수질 영향 ... 181
  • 가. 비점오염원 발생‧관리 현황 ... 181
  • 나. 비점오염원에 의한 수질 영향 ... 185
  • 2. 총량제에서 비점오염원 관리의 한계 ... 189
  • 가. 계획과 평가의 이원화 ... 189
  • 나. 유황에 따른 수질 변동성의 미반영 ... 192
  • 다. 목표수질 평가 체계의 미비 ... 195
  • 3. 개선 방안 ... 196
  • 가. 전체 유량 조건을 고려한 동적 체계화 ... 196
  • 나. 부하지속곡선(LDC)의 적용 ... 196
  • 4. 결론 ... 199
  • 부록2. 이해관계자 설문조사 ... 201
  • 1. 설문조사 대상 및 응답 지자체 목록 ... 201
  • 가. 총량 담당 부서(설문조사 대상 지자체 - 수계별) ... 201
  • 나. 개발 담당 부서(설문조사 응답 지자체) ... 204
  • 2. 설문조사지 ... 205
  • 가. 총량제 담당 부서 대상 ... 205
  • 나. 지자체 개발관련 부서 대상 ... 211
  • 다. 민간 배출업체 대상 ... 215
  • Abstract ... 219
  • 끝페이지 ... 233

표/그림 (123)

연구자의 다른 보고서 :

참고문헌 (25)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