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등수학 영재교육 대상자의 원주율 개념에 대한 이해
Elementary mathematically gifted students' understanding of Pi 원문보기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thematical Education. Series E: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v.29 no.1, 2015년, pp.91 - 110  

강향임 (한국교원대학교) ,  최은아 (영등포여자고등학교)

초록

본 연구는 초등수학 영재교육 대상자들이 원주율 개념에 대해서 어떻게 이해하고 있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원주율 계산 방법의 역사 발달 단계를 토대로 세 가지 과제를 개발한 후 6학년 영재교육 대상자 12명을 대상으로 적용하여 그 반응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학생들은 '원주율 = 3.14'라는 사고의 고착화로 인하여 원주율의 개념, 근사성, 무한성을 제대로 이해하지 못하였으며, 원주율과 원주율의 근삿값을 혼동하는 오류를 보였다. 또한 학생들은 원주율을 '(원주) ${\div}$ (지름)'의 대수적인 식으로 이해하려는 성향이 강하였으며, 원주율의 상수성과 무한성을 깊이 있게 이해하고 있는 학생은 극히 적었다. 반면에 과제에 대한 토론 활동은 학생들이 원주율의 근사성에 대한 아이디어를 발견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초등학교에서의 원주율 지도와 관련하여 원주율을 원의 지름을 단위길이로 원의 둘레를 측정하여 얻을 수 있는 값으로 도입할 것과 공학적 도구 등을 이용하여 직관적인 방법을 통해 이해하도록 할 것, 원주율 개념이 가지는 본질적인 의미를 이해할 수 있도록 다양한 상황을 통해 도입할 것을 제안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understanding of pi of elementary gifted students and explore improvement direction of teaching pi.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students understood insufficiently the property of approximation, constancy and infinity of pi from the...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원주율의 상수성과 무한성에 대한 이해가 대부분의 학생들의 경우 낮다는 걸 보여주는 예시는 무엇인가? 셋째, 원주율의 상수성과 무한성을 깊이 있게 이해하고 있는 학생은 극히 적었다. 대부분의 학생들이 크기가 다르더라도 두 원의 원주율은 같다고 답했지만, 왜 그런지에 대한 근거를 제시하지 못했다. 따라서 학생들은 상수성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가 부족하다고 볼 수 있다. 무한성의 이해 문항에서 ‘(원주) ÷ (지름)’의 결과가 ‘나누어 떨어지지 않는다’고 답한 4명의 학생 중에는 ‘무한소수’라는 용어를 사용하는 학생이 있었던 반면에 상수성과 유한소수 개념 사이를 혼동하거나 무한성에 대해서 미흡하게 이해하고 있는 학생들도 있었다.
원주율의 수학적 정의는 무엇인가? 원주율의 역사가 수학사에서 중요한 이유는 보다 정확한 원주율을 계산하려는 지속적인 수학적 활동이 있었기 때문이기도 하지만, 원주율을 계산하는 과정에서 발생한 원주율 π의 다양한 의미와 용례의 발견이 새로운 수학적 지식의 확장으로 연결되었기 때문이다. 원주율의 수학적 정의는 지름에 대한 원주의 비율이지만, 역사적으로 볼 때, 원주율 π는 원주보다는 원의 넓이와 관련되어 연구되어 왔다. π는 반지름이 1인 원의 넓이이고, 원의 반지름을 한 변으로 하는 정사각형의 넓이에 대한 원의 넓이의 비율이기도 하다.
원주율의 역사가 수학사에 중요한 이유는 무엇인가? 원주율의 역사가 수학사에서 중요한 이유는 보다 정확한 원주율을 계산하려는 지속적인 수학적 활동이 있었기 때문이기도 하지만, 원주율을 계산하는 과정에서 발생한 원주율 π의 다양한 의미와 용례의 발견이 새로운 수학적 지식의 확장으로 연결되었기 때문이다. 원주율의 수학적 정의는 지름에 대한 원주의 비율이지만, 역사적으로 볼 때, 원주율 π는 원주보다는 원의 넓이와 관련되어 연구되어 왔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강문봉 (2001). 초등학교에서 ${\pi}$ 3.14 의 사용에 대하여, 과학교육논총, 13, 51-62. (Kang, N. B. (2001). On the using the pi( ${\pi}$ ) in the elementary mathematics, The bulletin of science education, 13, 51-62.) 

  2. 강완 (2001). 원의 넓이 공식에 대한 교수학적 변환 분석, 과학과 수학교육 논문집, 27, 37-68. (Kang, W. (2001). An analysis of didactic transpositions of area of a circle in elementary mathematics textbooks, J . research. sci. & math. edu., 27, 37-68.) 

  3. 교육과학기술부 (2011). 수학 6-1, 서울: 두산동아.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2011). Mathematics 6-1, Doosan Dongah.) 

  4. 신대윤 (2009). 원주율 ${\pi}$ 를 3으로 했을 때 수학학습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춘천교육대학교. (Shin, D. Y. (2009). A study on the influences on mathematics learning when ${\pi}$ is taught as 3, Master's Thesis, Chuncheon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5. 이경화 (1996). 교수학적 변환론의 이해, 대한수학교육학회 논문집, 6(1), 203-213. (Lee, K. H. (1996). Understanding of didactic transposition theory,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Educational Studies of Mathematics, 6(1), 203-213.) 

  6. 정동권 (1998). 교사를 위한 수학사개론, 인천교육대학교(수학문화사 강좌 자체 교재). (Jeong, D. G. (1998). An introduction to the history of mathematics for teachers, Incheon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7. 최영기.홍갑주 (2008). 원주율의 상수성과 아르키메데스의 계산법,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A , 47(1), 1-10. (Choi, Y. G & Hong, G. J. (2008). The nature of pi as a constant and Archimedes calculation method, J . Korea Soc. Math. Ed. Ser. E: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47(1), 1-10.) 

  8. Baravalle, H. (1969). The number ${\pi}$ , In J. K. Baumgart (Eds), Historical topics for the mathematics classroom, Reston, VA: NCTM. 

  9. Beckmann, P. (2002). 파이의 역사 (박영훈 역), 서울: 경문사. (원저 1971년 출판) (Park, Y. H. (2002). The history of pi (translation of the book by Beckmann, Petr., Macmillan, 1971), Kyungmoon Sa.) 

  10. Binongo, J. N. G. (2002). Randomness, statistics, and ${\pi}$ , Mathematics teacher, 95(3), 224-230. 

  11. Boyer, C. B. (1968). A History of mathematics. John Wiley & Sons. 

  12. Burke, M. J., Taggart, D. L. (2002). So that's why 22/7 is used for ${\pi}$ , Mathematics teacher, 95(3), 164-169. 

  13. Cajori, F. (1905). History of mathematics, London: the Macmillan Company. 

  14. Cajori, F. (1917). History of elementary mathematics with hints on methods of teaching. London: the Macmillan Company. 

  15. Corris, G. (1990). Experimental pi, Mathematics in school, 19(1), 18-21. 

  16. Ebert, D. (2006). Using statistical testing to approximate ${\pi}$ , Mathematics teacher, 100(3), 216-219. 

  17. Eves, H. (2005). 수학사 (이우영, 신항균 역), 서율: 경문사. (원저 1953년 출판) (Lee, W. Y. & Shin, H. G. (2005). An Introduction to the History of Mathematics (translation of the book by Eves, Howard. New York: Rinehart & Co. 1953), Kyungmoon Sa.) 

  18. Linn, S. L., Neal, D. K. (2006). Approximating Pi with the golden ratio. Mathematics teacher, 99(7), 472-477. 

  19. NCTM (2000). Principles and standards for school mathematics, Reston, VA: NCTM 

  20. Needham, J. (2000), 중국의 과학과 문명: 수학, 하늘과 땅의 과학, 물리학 (이면우 역), 서울: 까치글방. (원저 1959년 출판) (Lee, M. W. (2000). Science and Civilisation in China: Mathematics and the Science of the Heavens and the Earth (translation of the book by Needham, Joseph. University, 1959), Kachi Publishing.) 

  21. Ofir, R. (1991). Historical happenings in the mathematical classroom, For the learning of mathematics, 11(2), 21-23. 

  22. Santucci, L. C. (2011), Recreating history with Archimedes and Pi, Mathematics teacher, 105(4), 298-303. 

  23. Schepler, H. C. (1950), The Chronology of PI, Mathematics Magazine, 23(4), 216-228. 

  24. Scott, P. (2008), ${\pi}$ The chronicle, Australian Mathematics Teacher, 64(4), 3-5. 

  25. Seitz, D. T. (1986), A geometric figure relating the golden ratio and pi, Mathematics teacher, 79(5), 340-341. 

  26. Singh, U. (2013), Estimation of the value of ${\pi}$ using Monte Carlo method and related study of errors, Mathematics in School, 2013(November) , 21-23. 

  27. Smith, D. E. (1925). History of Mathematics vol. 2 special topics of elementary mathematics, NY: Dover Publications. 

  28. Thomas, C., Bell, A. & Xiao, R. (2014), Finding ${\pi}$ , Mathematics in School, 2014(March), 4-11. 

  29. Velasco, S., Roman, F. L., Gonzalez, A., & White, J. A. (2006). Statistical estimation of some irrational numbers using an extension of Buffon's needle experiment. International Journal of Mathematical Education in Science and Technology, 37(6), 735-740.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