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 일본, 싱가포르, 미국 교과서에 제시된 원주율과 원의 넓이 지도 방안의 비교·분석
A Comparative Analysis of Pi and the Area of a Circle in Mathematics Textbooks of Korea, Japan, Singapore and The US 원문보기

韓國學校數學會論文集 = Journal of the Korean school mathematics society, v.21 no.4, 2018년, pp.445 - 467  

최은아 (우석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한국과 일본, 싱가포르, 미국 수학 교과서에서 원주율의 속성과 원의 넓이 측정의 기본 개념들이 어떻게 다루어지고 있는지를 비교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원주율 개념과 원의 넓이 측정 개념에 대한 이론적 논의를 분석하여 분석틀을 설정하였으며, 이에 따라 각국 교과서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로부터 도출한 교수학적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원주율의 비율 속성의 개념적 이해를 도울 수 있도록 원주율 정의 재고하기, 도입하는 측정 활동을 측도 속성이 부각되도록 재구성하기, 모든 원에서 일정하다는 상수 속성 부각시키기, '원주${\div}$지름=원주율'의 몫 속성을 의도적으로 유예하기, 무한 속성에 따른 근삿값을 상황에 따라 적절하게 선택할 수 있는 활동 제공하기 등을 제안하였다. 또한 원의 넓이 측정차원에서 좀 더 정밀한 원의 넓이 탐구하기, 원의 재배열 도형 구성을 위한 전략 탐구하기, 실무한을 토대로 재배열 도형 표현하기 등을 제안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we analyzed the contents of pi and the area of a circle presented in Korean, Japanese, Singapore, and American mathematics textbooks, and drew implications for the teaching of pi and the area of a circle in school mathematics. We developed a textbook analysis framework by theoretical ...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는 원주율과 원의 넓이가 언제 지도되는가? 현재 학교수학에서의 원주율과 원의 넓이는 초등학교 6학년 1학기에 지도되고 있지만,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6학년 교과서가 적용되는 내년부터는 6학년 2학기로 이동하여 지도될 예정이다. 기존 2009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과 새로운 2015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의 성취기준에는 큰 차이가 없지만(교육과학기술부, 2011; 교육부, 2015), 새로이 추가된 교수ㆍ학습방법 및 유의사항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측정은 무엇인가? 원의 넓이를 잰다는 것은 일종의 측정 활동이므로, 원의 넓이 측정은 다른 평면도형의 길이나 넓이 측정에서의 기본 개념들을 토대로 이해해야 한다. 측정이라는 것은 단위를 설정하고 이 단위를 반복하여 도형을 덮을 수 있는 수치를 부여하는 과정이다. 따라서 평면도형의 넓이를 측정하기 위해 서는 정사각형과 같은 보다 작은 단위로 평면도형을 분할하고 단위 넓이로 영역 전체를 덮음으로써 전체 영역을 단위와 비교하는 것이다(Reynolds & Wheatley, 1996).
원주율과 원의 넓이에 대한 학생들의 개념적 이해를 위해 교과서의 활용이 중요한 이유는 무엇인가? 1, 3,14 등은 정확한 값이 아님을 알고 상황에 따라 적절하게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게 한다’는 유의사항은 강문봉(2001)을 비롯한 선행연구들이 그동안 지적해온 내용들을 교육과정에 반영한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실제로 교수․학습과정을 통해 구현되는 학생들의 학습된 지식은 대부분의 교사들이 가르칠 지식의 원천으로 삼고 있는 교과서에 의해 좌우된다. 따라서 원주율과 원의 넓이에 대한 학생들의 개념적 이해를 위해서는 교과서가 원주율 개념을 어떻게 도입하고 설명하고 있는지, 어떤 근삿값들을 어떠한 방식으로 제공하고 있는지, 어떤 활동들을 통해 원의 넓이 를 어림하는지, 원의 넓이 공식을 어떻게 유도하는지에 대한 분석이 필요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0)

  1. 강문봉 (2001). 초등학교에서 ${\pi}3.14$ 의 사용에 대하여, 과학교육논총, 13, 51-62. 

  2. 강완 (2001). 원의 넓이공식에 대한 교수학적 변환 분석, 과학과수학교육논문집, 27, 37-68. 

  3. 강향임, 최은아 (2015). 초등수학 영재교육 대상자의 원주율 개념에 대한 이해. 수학교육논문집, 29(1), 91-110. 

  4. 교육과학기술부 (2012). 수학과 교육과정. 교육과학기술부 고시 제 2011-361호(별책 8). 

  5. 교육부 (2015). 수학과 교육과정. 교육부 고시 제 2015-74호(별책 8). 

  6. 교육부 (2017). 수학 6-1. 서울: 천재교육. 

  7. 교육부 (2018), 수학 6-1. 세종: 교육부. 

  8. 문교부 (1989). 산수 6-1. 서울: 국정교과서주식회사. 

  9. 방정숙, 이지영, 이상미, 박영은, 김수경, 최인영, 선우진 (2015). 한국.중국.일본.미국의 초등학교 수학과 교육과정 비교.분석 - 도형 영역을 중심으로.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18(3), 311-334. 

  10. 이승은, 이정은, 박교식 (2018). 우리나라와 일본의 초등학교 수학과 교육과정 측정 영역 비교.분석 : 외연량을 중심으로.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21(1), 19-37. 

  11. 최영기, 홍갑주 (2008). 원주율의 상수성과 아르키메데스의 계산법, 수학교육, 47(1), 1-10. 

  12. 최은아, 강향임 (2014). 예비교사의 원의 넓이에 대한 내용지식 분석. 학교수학, 16(4), 763-708. 

  13. 文部科學省(2008). 小學校學習指導要領解說算數編. 

  14. 藤井齊亮 外(2015). 新編 新しい算數 5-下. 東京:東京書籍. 

  15. 藤井齊亮 外(2015). 新編 新しい算數 6. 東京:東京書籍. 

  16. Baravalle, H. (1969). The number ${\pi}$ , In J. K. Baumgart (Eds), Historical topics for the mathematics classroom, Reston, VA: NCTM. 

  17. Baturo, A., & Nason, R. (1996). Student teachers' subject matter knowledge within the domain of area measurement. Educational Studies in Mathematics, 31(3), 235-268. 

  18. Beckmann, P. (2002). 파이의 역사 (박영훈 역), 서울: 경문사. (원저 1971년 출판) 

  19. Boyer, C. B. (1968). A History of mathematics. John Wiley & Sons. 

  20. Burke, M. J., Taggart, D. L. (2002). So that's why 22/7 is used for ${\pi}$ , Mathematics teacher, 95(3), 164-169. 

  21. Cajori, F. (1905). History of mathematics, London: The Macmillan Company. 

  22. Cajori, F. (1917). History of elementary mathematics with hints on methods of teaching. London: The Macmillan Company. 

  23. Common Core State Standards Initiative(2010). Common Core State Standards for Mathematics(CCSSM). http://www.corestandards.org/ssets/CCSSI_Math%20Standards.pdf 

  24. Freudenthal, H. (1983). Didactical phenomenology of mathematical structures. Dordrecht: D. Reidel Publishing Company. 

  25. Kheong, F. H., Soon, G. K., & Ramakrishnan, C. (2017b). My pals are here! Maths 6B (2nd ed). Singapore: Marshall Cavendish Education. 

  26. Lehrer, R., Jaslow, L., & Curtis, C. (2003). Developing an understanding of measurement in the elementary grades. In D. H. Clements & G. Bright (Eds.), Learning and teaching measurement (pp. 100-121). Reston, VA: NCTM. 

  27. Lobato, J., & Ellis, A. B. (2010). Essential understandings: Ratios, proportions, and proportional reasoning. In R. M. Zbiek (Series Ed.), Essential understandings. Reston, VA: NCTM. 

  28. Linn, S. L. & Neal, D. K. (2006). Approximating Pi with the golden ratio. Mathematics teacher, 99(7), 472-477. 

  29. Ministry of Education. (2012). Mathematics Syllabus Primary one to six. Singapore: Curriculum Planning & Development Division, Ministry of Education. 

  30. Ofir, R. (1991). Historical happenings in the mathematical classroom, For the learning of mathematics, 11(2), 21-23. 

  31. Outhred, L. N., & Mitchelmore, M. C. (2000). Young children's intuitive understanding of rectangular area measurement. Journal for Research in Mathematics Education, 31(2), 144-167. 

  32. Reynolds, A. & Wheatley, G. H. (1996). Elementary students construction and coordination of units in an area setting. Journal for Research in Mathematics Education 27, 564-581. 

  33. Santucci, L. C. (2011), Recreating history with Archimedes and Pi, Mathematics teacher, 105(4), 298-303. 

  34. Schepler, H. C. (1950), The Chronology of Pi, Mathematics Magazine, 23(4), 216-228. 

  35. Scott, P. (2008), ${\pi}$ The chronicle, Australian Mathematics Teacher, 64(4), 3-5. 

  36. Seitz, D. T. (1986), A geometric figure relating the golden ratio and pi, Mathematics teacher, 79(5), 340-341. 

  37. Smith, D. E. (1925). History of Mathematics vol. 2 special topics of elementary mathematics, NY: Dover Publications. 

  38. Stephan, M., & Clements, D. (2003). Linear and area measurement in prekindergarten to grade 2. In D. H. Clements, & G. Bright (Eds.), Learning and teaching measurement (pp.3-16). Reston, VA: NCTM. 

  39. Stephen, H. (2012). Saxon Math course 1. Orlando: Houghton Mifflin Harcourt Publishing Company. 

  40. Velasco, S., Roman, F. L., Gonzalez, A., & White, J. A. (2006). Statistical estimation of some irrational numbers using an extension of Buffon's needle experiment. International Journal of Mathematical Education in Science and Technology, 37(6), 735-74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