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광곽향 메탄올 추출물의 항산화, 항염증 및 암세포 증식 억제 효과
Anti-oxidant, Anti-inflammatory and Anti-cancer Effect of Methanol Extract of Pogostemon cablin 원문보기

생명과학회지 = Journal of life science, v.25 no.1 = no.177, 2015년, pp.44 - 52  

윤승근 (동의대학교 일반대학원 자연생활과학대학 생명응용학과) ,  진수정 (동의대학교 블루바이오 소재개발센터) ,  정현영 (동의대학교 블루바이오 소재개발센터) ,  윤희정 (동의대학교 블루바이오 소재개발센터) ,  도미영 (동의대학교 일반대학원 자연생활과학대학 생명응용학과) ,  김병우 (동의대학교 일반대학원 자연생활과학대학 생명응용학과) ,  권현주 (동의대학교 일반대학원 자연생활과학대학 생명응용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암세포 증식 억제효능과 항산화, 항염증 효능을 동시에 가지는물질을 탐색하였다. 그 결과, 광곽향 메탄올 추출물이 A549, HepG2, MCF7, HT29 등 다양한 암세포에 대하여 세포성장억제효과를 보였고, A549에 대해 특이적으로 뛰어난 사멸효과를 보였다. 광곽향 메탄올 추출물에 의한 A549에서의 항암 효과는 p38 - Cdc25A - Cdk - Cyclin - Rb pathway를 통해 G1 arrest 유도로 연결되는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DPPH를 통한 free radical의 소거능 확인 결과 항산화 효과를 가지고 있는 것을 확인하였고, 대식세포(RAW 264.7)의 iNOS 발현을 감소시켜 LPS에 의해 유도되는 NO의 생성을 유의적으로 억제함을 확인했다. 이러한 결과들로부터 광곽향 메탄올 추출물이 항산화, 항염증, 항암 후보물질 소재로 활용가능 할 뿐 아니라, 다양한 건강기능성 소재로 활용가능할 것이라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e present study, the substance that show anti-proliferation of cancer cells as well as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ory effect was searched. As a results, the methanol extract of Pogostemon cablin (P. cablin), is a well-known herb for traditional medicine in Korea and China for treating the d...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지속적인 염증, 활성산소의 과다 생성 등 암의 원인이 다양하므로 항염증, 항산화 활성을 가지면서 동시에 암세포의 세포 사멸을 유도할 수 있는 물질이 있다면 항암제로써 개발 가능성이 더 클 뿐 아니라, 기능성 식품소재 등 다양한 생리활성물질로서 응용 가능할 것이라 생각하고 다양한 생리활성을 가지는 물질을 탐색하였다. 그 결과, 광곽향 메탄올 추출물이 암세포 사멸효과와 더불어 LPS로 염증을 유발한 RWA 264.7세포에서의 NO 생성 억제 효과, DPPH를 사용한 항산화 효과를 동시에 가짐을 확인하였기에 보고하고자 한다.
  • 최근에는 이러한 암세포의 특징을 이용하여 암세포의 비정상적인 세포주기 진행을 제어하여 암세포의 사멸을 유도하는 항암제의 연구 개발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39].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광곽향 메탄올 추출물 처리에 의해 유발되는 A549 사멸효과가 세포주기에 영향을 주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적정 농도의 광곽향 메탄올 추출물을 24시간 처리한 후 세포 주기 변화를 flow cytometry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Fig.
  • 3B). 따라서, Cdc25A를 조절하는 단백질의 발현변화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Cdc25A의 인산화를 유도하여 G1 arrest 유발에 관여하는 상위단백질은 Chk1/2와 p38이 있다.
  • 1A), 광곽향 메탄올 추출물의 A549에 대한 효과는 항암효과가 분명한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이후 A549에 대한 사멸 효과의 기전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 체내에 존재하는 활성 라디칼에 전자나 수소 원자를 공여하여 안정한 형태의 라디칼로 전환시켜 산화를 막는 것을 항산화 작용이라고 하며 이러한 라디칼 소거능이 큰 경우 높은 항산화 활성을 가진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광곽향 메탄올 추출물의 항산화능을 확인하기 위하여 DPPH를 사용하여 free radical 소거 정도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Table 1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광곽향 메탄올 추출물을 농도별로 DPPH와 반응시켰을 때, 농도 의존적으로 free radical 소거능을 보였다.
  • 따라서 iNOS의 차단에 의한 NO 생성 억제는 염증억제 뿐 아니라 암 예방을 위해서도 긍정적인 결과를 나타낼 수 있다[12]. 본 연구에서는 광곽향 메탄올 추출물이 iNOS에 의해 유도되는 NO 생성억제와도 관련 있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LPS로 자극한 마우스 대식세포주 RAW 264.7에 농도별 광곽향 메탄올 추출물을 처리하여 NO 생성량을 분석하였다. Fig.
  • 본 연구에서는, 지속적인 염증, 활성산소의 과다 생성 등 암의 원인이 다양하므로 항염증, 항산화 활성을 가지면서 동시에 암세포의 세포 사멸을 유도할 수 있는 물질이 있다면 항암제로써 개발 가능성이 더 클 뿐 아니라, 기능성 식품소재 등 다양한 생리활성물질로서 응용 가능할 것이라 생각하고 다양한 생리활성을 가지는 물질을 탐색하였다. 그 결과, 광곽향 메탄올 추출물이 암세포 사멸효과와 더불어 LPS로 염증을 유발한 RWA 264.
  • 세포주기 분석결과 광곽향이 A549 세포를 G1기에서 정지시킴을 확인하였고, 이러한 결과가 단백질 수준에서도 나타나는지 확인하기 위해 G1기 관련 단백질들의 발현변화를 확인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암 유발 요인은? 암은 흡연, 자외선, 방사선, 화학물질, 기타 환경인자 등 매우 다양한 요인에 의해 발생한다[34]. 또한 지속적인 염증유발 환경 및 활성산소에 의해서도 유전자의 손상이나 발현에 이상을 초래해 암세포를 유발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3]. 이렇듯 암은 현대인의 건강과 생명을 위협하는 주요 원인 중 하나로, 21세기에 들어 전 세계적으로 암 발병률 및 사망률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20, 33].
광곽향 메탄올 추출물이 세포 성장 억제효과를 보인 암세포의 종류는 어떤 것이 있는가? 본 연구에서는, 암세포 증식 억제효능과 항산화, 항염증 효능을 동시에 가지는물질을 탐색하였다. 그 결과, 광곽향 메탄올 추출물이 A549, HepG2, MCF7, HT29 등 다양한 암세포에 대하여 세포성장억제효과를 보였고, A549에 대해 특이적으로 뛰어난 사멸효과를 보였다. 광곽향 메탄올 추출물에 의한 A549에서의 항암 효과는 p38 - Cdc25A - Cdk - Cyclin - Rb pathway를 통해 G1 arrest 유도로 연결되는 것으로 사료된다.
inducible NOS이 염증반응에 기여하는 방법은? 포유동물 세포의 경우, endothelial NOS (eNOS), neuronal NOS (nNOS), inducible NOS (iNOS) 등 3가지 종류의 NOS가 존재하며 이중 eNOS, nNOS는 칼슘 농도 의존적으로, 자극에 대한 반응이 아닌 구성성분으로, 일시적이며 소량 발현된다. 반면 iNOS는 칼슘농도에 상관없이 interferon-ɣ, lipopolysaccharide (LPS), 그리고 여러 가지 염증 cytokine의 자극에 의해 지속적으로 다량 생성이 유도됨으로써 염증반응에 기여한다[24]. 따라서 염증매개물질인 NO의 생성 및 iNOS의 발현을 억제하는 물질에 관한 연구는 항 염증의 효과와 더불어 새로운 항암제 발굴을 위한 표적으로 인식되고 있다[3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1)

  1. Bonfoco, E., Krainc, D., Ankarcrona, M., Nicotera, P. and Lipton, S. A. 1995. Apoptosis and necrosis: two distinct events induced, respectively, by mild and intense insults with N-methyl-D-aspartate or nitric oxide/superoxide in cortical cell cultures. Proc. Natl. Acad. Sci. USA 92, 7162-7166. 

  2. Bouayed, J. and Bohn, T. 2010. Exogenous antioxidants - Double-edged swords in cellular redox state: Health beneficial effects at physiologic doses versus deleterious effects at high doses. Oxid. Med. Cell Longev. 3, 228-237. 

  3. Choi, I. P. 2013. Reactive oxygen species and cancer. Hanyang Med. Rev. 33, 118-122. 

  4. Choi, P. S., Kim, H. S. and Chin, K. B. 2013. Antioxidant activities of water or methanol extract from cherry (Prunus yedoensis) and its utilization to the pork patties. Kor. J. Food Sci. An. 33, 268-275. 

  5. Dicker, E. A., Crum, A. D. and Calvert, J. T. 1992. Differences in the antioxidant mechanism of carmosine in the prescence of copper and iron. J. Agric. Food Chem. 40, 756-759. 

  6. Donzelli, M. and Draetta, G. F. 2003. Regulating mammalian checkpoints through Cdc25 inactivation. EMBO Rep. 4, 671-677. 

  7. Dorai, T. and Aggarwal, B. B. 2004. Role of chemopreventive agents in cancer therapy. Cancer Lett. 215, 129-140. 

  8. Enukidze, M. G., Machavariani, M. G., Intskirveli, N. A., Bezhitashvili, N. D. and Sanikidze, T. V. 2009. Cell death in Jurkat cells induced by oxygen/nitrogen stress. Georgian Med. News 167, 109-113. 

  9. Halliwell, B. H. and Gutteridge, J. M. C. 1990. Role of free radicals and catalytic metal ions in human disease: an overview. Methods Enzymol. 186, 1-85. 

  10. Hanahan, D. and Weinberg, R. A. 2000. The hallmarks of cancer. Cell 100, 57-65. 

  11. Hartwell, L. H. and Kastan, M. B. 1994. Cell cycle control and cancer. Science 266, 1821-1828. 

  12. Hirst, D. G. and Robson, T. 2010. Nitrosative stress as a mediator of apoptosis: implications for cancer therapy. Curr. Pharm. Des. 16, 45-55. 

  13. Jeong, J. B., Choi, J., Lou, Z., Jiang, X. and Lee, S. H. 2013. Patchouli alcohol, an essential oil of Pogostemon cablin, exhibits anti-tumorigenic activity in human colorectal cancer cells. Int. Immunopharmacol. 16, 184-190. 

  14. Kalyanaraman, B. 2013. Teaching the basics of redox biology to medical and graduate students: Oxidants, antioxidants and disease mechanisms. Redox Biol. 1, 244-257. 

  15. Kang, H. J., Kim, H. J., Jeong, S. I., Kim, H. S., Jeon, I. H., Mok, J. Y., Shim, J. S. and Jang, S. I. 2013. Antioxidant and antihemolytic activities of ethanol extracts of Carpesii fructus and Farfarae flos. Kor. J. Herbology 28, 25-31. 

  16. Kawashima, S. 1970. The possible role of lipoperoxide in aging. Nagoya J. Med. Sci. 32, 303-326. 

  17. Kim, H. Y., Kim, J. W., Kim, S. K., Kim, Y. T., Kim, J. H., Kim, S. H., Kim, S. W., Yoon, B. S., Nam, E. J. and Cho, H. J. 2006. Expression of Cdc25A, Cdc25B and Cdc25C in cervical carcinoma. Obstet. Gynecol. Sci. 49, 2156-2165. 

  18. Kim, H. W., Cho, S. J., Kim, B. Y., Cho, S. I. and Kim, Y. K. 2010. Pogostemon cablin as ROS Scavenger in Oxidant-induced Cell Death of Human Neuroglioma Cells. Evid. Based Complement Alternat. Med. 7, 239-247. 

  19. Kostourou, V., Cartwright, J. E., Johnstone, A. P., Boult, J. K., Cullis, E. R., Whitley, G. and Robinson, S. P. 2011. The role of tumour-derived iNOS in tumour progression and angiogenesis. Br. J. Cancer 104, 83-90. 

  20. Kwon, S. J., Lee, J. H., Kim, J. Y., Moon, K. D., Yee, S. T. and Seo, K. I. 2014. Anticancer activity of methyl gallate in RC-58T/h/SA#4 primary human prostate cancer cells. J. Kor. Soc. Food Sci. Nutr. 43, 367-373. 

  21. Lee, S. Y., Lee, J. S. and Park, S. K. 2013. Effects of acorn powder on lifespan and a resistance to oxidative stress in Caenorhabditis elegans. J. Kor. Soc. Food Sci. Nutr. 42, 670-674. 

  22. Li, C. W., Wu, X. L., Zhao, X. N., Su, Z. Q., Chen, H. M., Wang, X. F., Zhang, X. J., Zeng, H. F., Chen, J. N., Li, Y. C. and Su, Z. R. 2013. Anti-inflammatory property of the ethanol extract of the root and rhizome of Pogostemon cablin(Blanco) Benth. Scientific World Journal 2013, 434151. 

  23. Lopez-Contreras, A. J. and Fernandez-Capetillo, O. 2012. Protein Phosphorylation in Human Health, pp. 233-262, 1st ed, intech: Rijeka, Croatia. 

  24. Lowenstein, C. J. and Snyder, S. H. 1992. Nitric oxide, a novel biologic messenger. Cell 70, 705-707. 

  25. Lowenstein, C. J., Dinerman, J. L. and Snyder, S. H. 1994. Nitric oxide: a physiologic messenger. Ann. Intern. Med. 120, 227-237. 

  26. Lu, T. C., Liao, J. C., Huang, T. H., Lin, Y. C., Liu, C. Y., Chiu, Y. J. and Peng, W. H. 2011. Analgesic and Anti-Inflammatory Activities of the Methanol Extract from Pogostemon cablin. Evid. Based Complement Alternat. Med. 671641. 

  27. Masui, Y. and Markert, C. L. 1971. Cytoplasmic control of nuclear behavior during meiotic maturation of frog oocytes. J. Exp. Zool. 177, 129-145. 

  28. Moncada, S., Palmer, R. M. and Higgs, E. A. 1991. Nitric oxide: physiology, pathophysiology, and pharmacology. Pharmacol. Rev. 43, 109-142. 

  29. Mukhopadhyay, P., Rajesh, M., Bátkai, S., Kashiwaya, Y., Haskó, G. and Liaudet, L. 2009. Role of superoxide, nitric oxide, and peroxynitrite in doxorubicin-induced cell death in vivo and in vitro. Am. J. Physiol. Heart Circ. Physiol. 296, 466-483. 

  30. Neergheen, V. S., Bahorun, T., Taylor, E. W., Jen, L. S. and Aruoma, O. I. 2010. Targeting specific cell signaling transduction pathways by dietary and medicinal phytochemicals in cancer chemoprevention. Toxicology 278, 229-241. 

  31. Nevins, J. R. 1998. Toward an understanding of the functional complexity of the E2F and retinoblastoma families. Cell Growth Differ. 9, 5850593. 

  32. Oh, Y. N., Jin, S. J., Park, H. J., Kwon, H. J. and Kim, B. W. 2014. Anti-oxidative and anti-cancer activities by cell cycle regulation of Salsola collina extract. Kor. J. Microbiol. Biotechnol. 42, 73-81. 

  33. Park, S. Y., Kim, J. Y., Park, K. W., Kang, K. S., Park, K. H. and Seo, K. I. 2009. Effects of thiosulfinates isolated from Allium tuberosum L. on the growth of human cancer cells. J. Kor. Soc. Food Sci. Nutr. 38, 1003-1007. 

  34. Peter, B. and Bernard, L. 2008. World cancer report. IARC. 

  35. Pratheeshkumar, P. and Kuttan, G. 2011. Nomilin inhibits tumor-specific angiogenesis by downregulating VEGF, NO and proinflammatory cytokine profile and also by inhibiting the activation of MMP-2 and MMP-9. Eur. J. Pharmacol. 668, 450-458. 

  36. Rao, C. V. 2004. Nitric oxide signaling in colon cancer chemoprevention. Mutat. Res. 555, 107-119. 

  37. Singh, S. and Gupta, A. K. 2011. Nitric oxide: role in tumour biology and iNOS/NO-based anticancer therapies. Cancer Chemother. Pharmacol. 67, 1211-1224. 

  38. Thornton, T. M. and Rincon, M. 2009. Non-classical p38 map kinase functions cell cycle checkpoints and survival. Int. J. Biol. Sci. 5, 44-52. 

  39. Vermeulen, K., Van Bockstaele, D. R. and Berneman, Z. N. 2003. The cell cycle: a review of regulation, deregulation and therapeutic targets in cancer. Cell Prolif. 36, 131-149. 

  40. Wu, Y. G., Guo, Q. S., He, J. C., Lin, Y. F., Luo, L. J. and Liu, G. D. 2010. Genetic diversity analysis among and within populations of Pogostemon cablin from China with ISSR and SRAP markers. Biochem. Syst. Ecol. 38, 63-72. 

  41. Yang, G. Y., Taboada, S. and Liao, J. 2009. Induced nitric oxide synthase as a major player in the oncogenic transformation of inflamed tissue. Methods Mol. Biol. 512, 119-15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