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들깻잎(Perilla frutescens)으로부터 U937 세포에 apoptosis를 유도하는 광과민성 물질의 분리 및 구조동정
Isolation and Structure Identification of Photosensitizer from Perilla frutescens Leaves Which Induces Apoptosis in U937 원문보기

생명과학회지 = Journal of life science, v.25 no.1 = no.177, 2015년, pp.53 - 61  

하준영 (부산대학교 생명환경화학과) ,  김미경 (부산대학교 생명환경화학과) ,  이준영 (부산대학교 생명환경화학과) ,  최은비 (부산대학교 생명환경화학과) ,  홍창오 (부산대학교 생명환경화학과) ,  이병원 (농촌진흥청 식량과학원) ,  배창환 (국립생물자원관) ,  김근기 (부산대학교 생명환경화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 우리는 들깻잎(Perilla frutescens)으로부터 U937 세포에 대해 apoptosis를 유도하는 광과민성 물질을 분리하기 위해 연구를 시작하였다. 들깻잎은 한국의 대중적인 쌈채소로 바타민, GABA, 미네랄 등이 풍부하다고 알려져 있다. 건조한 들깻잎을 메탄올로 추출하여 다양한 크로마토그래피법을 이용하여 광과민성 물질을 순수 분리하였다. 순수 분리한 광과민성 물질을 PL9443으로 명명하고, 구조동정을 위하여 1D-NMR, 2D-NMR, FAB-mass spectroscopy 분석을 실시하였다. 순수 분리한 PL9443 compound의 흡광도를 측정한 결과 410 nm에서 최대 흡수를 보였고, 330, 410, 680 nm에서 흡수 peak를 나타내었다. PL9443 compound는 분자량 620.7의 pheophorbide a ethyl ester로 동정하였다. 구조동정한 물질은 porphyrin환을 갖는 구조에서 Mg이온이 탈리된 pheophorbide 유도체화합물이었다. PL9443 compound의 처리에 따른 U937 세포의 형태학적 변화를 관찰한 결과, 광조건에서 apoptosis의 전형적인 현상인 apoptotic body와 소낭구조물이 형성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PL9443 compound를 0.08 nM로 처리하였을 때 99%의 caspase-3/7 activity가 나타났고, 세포손상 역시 광의존적으로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다. PL9443 compound를 처리하고 광을 조사한 처리구와 광을 조사하지 않은 처리구의 세포로부터 DNA를 분리하여 전기영동을 실시한 결과 광을 조사한 곳에서 DNA ladder현상을 관찰할 수 있었다. 따라서 PL9443 compound는 광의존적 apoptosis 유도에 의한 세포손상을 일으키는 것을 확인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we tried to separate the photosensitizer that induces apoptosis of leukemia cells (U937) from perilla leaves. Perilla leaves (Perilla frutescens Britt var. japonica Hara) are a popular vegetable in Korea, being rich in vitamins (A and E), GABA, and minerals. Dried perilla leaves were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들깻잎의 용매추출물로부터 광역학 활성을 확인하고, 광과민성 물질을 순수분리하여 광감작제 개발을 위한 연구자료로 이용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들깻잎이란? 들깻잎(Perilla frutescens Britt var. japonica Hara)은 동남아시아가 원산이며 재배작물로 들여와 농가에서 흔히 재배하는 귀화식물로 1년생 초본이다. 식용, 약용으로 쓰이고 잎과 씨를 식용하며 기름을 짜내고 민간에서 강장, 해수, 소화, 충독, 음종 등에 약으로 쓰인다. 한의학에서 들깻잎은 한기에서 오는 감기를 없애주고, 열을 내리게 하여 열 감기에 좋은 식품으로 알려져 있으며, 체한 기운이 있는 사람이나 구토, 설사를 하는 사람에게 좋다고 하였다[11].
U937 세포에 들깻잎추출물로부터 광역학활성을 나타내는 물질이 존재한다고 판단할 수 있었던 이유는? 본 연구에서 U937세포에 들깻잎(P. frutescens) MeOH 추출물을 처리하고 광을 조사한 처리구에서 세포사멸이 유도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고, 암조건에서는 물질처리에 따라 세포생육에 대한 영향이 없었다. 이에 들깻잎추출물로부터 광역학활성을 나타내는 물질에 대한 가능성을 확인하였고, 광역학활성을 보이는 물질을 순수 분리하였다.
광역학치료에 의한 세포의 사멸 타입 2가지는 무엇인가? 광역학 치료(Photodynamic Therapy)는 광감작제(Photosensitizer)를 투여한 후 광감작제를 활성화 시킬 수 있는 특정파장의 빛을 조사함으로써 광감작제가 축적되어 있는 암조직에 손상을 유도하여 괴사를 시키는 치료방법이다[7]. 광역학치료에 의한 세포의 사멸은 Type Ⅰ 반응과 Type Ⅱ 반응으로 나뉘는데, Type Ⅰ 반응은 활성화된 광감작제와 수소원자의 추출작용 또는 전자전달 반응으로 자유라디칼 또는 라디칼 이온이 생성되는 반응이고, Type Ⅱ 반응은 활성화된 광감작제와 산소분자 사이의 에너지 전달반응으로 singlet oxygen이 생성되는 반응이다. 일반적으로 Type Ⅱ 반응이 광역학 치료기전으로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고 알려져 있고, Type Ⅰ 반응은 저산소 상태 또는 극성의 환경에서 우세하게 일어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Cheng, H. H., Wang, H. K., Ito, J., Bastow, K. F., Tachibana, Y., Nakanishi, Y., Xu, Z., Luo, T. Y. and Lee, K. H. 2001. Cytotoxic pheophorbide-related compounds from Clerodendrum calamitosum and C. cyrtophyllum. J. Nat. Prod. 64, 915-919. 

  2. Enari, M., Sakahira, H., Yokoyama, H., Okawa, K., Iwamatsu, A. and Nagata, S. 1998. A caspase-activated DNase that degrades DNA during apoptosis, and its inhibitor ICAD. Nature 391, 43-50. 

  3. Foote, C. S. 1991. Definition of type Ⅰ and type Ⅱ photosensitized oxidation. Photochem. Photobiol. 54, 659. 

  4. Hirohisa, T., Naomi, O., Chiaki, S., Rie, Y., Ken-ichiro, I., Akiko, Y., Midori, N., Seigo, B., Ei-ichiro, I. and Toshikazu, Y. 2003. Extract of perilla frutescens enriched for rosmarinic acid, a polyphenolic phytochemical, inhibits seasonal allergic rhinoconjunctivitis in humans. Exp. Biol. Med. 229, 247-254. 

  5. Hiroshi, U., Chikako, Y. and Masatoshi, Y. 2002. Luteolin as an anti-inflammatory and anti-allergic constituent of Perilla frutescens. Biol. Pharm. Bull. 25, 1197-1202. 

  6. Huh, J. E., Kang, K. S., Ahn, K. S., Kim, D. H., Saiki, I. and Kim, S. H. 2003. Mylabris phalerlata induces apoptosis by caspase activation following cytochrome c release and Bid cleavage. Life Sci. 73, 2249-2262. 

  7. Kato, H. 1996. History of photodynamic therapy-past, present and future. Gan. To. Kagaku Ryoho. 23, 8-15. 

  8. Kim, K. H., Chang, M. W., Park, K. Y., Rhee, S. H., Rhew, T. H. and Sunwoo, Y. I. 1993. Antitumor activity of phytol identified from perilla leaf and its augmenative effect on cellular immune response. Kor. J. Food Nutr. 26, 379-289. 

  9. Kim, K. K., Kawano, Y. and Yamazaki, Y. 2003. A novel porphyrin photosensitizer from bamboo leaves that induces apoptosis in cancer cell lines. Anticancer Res. 23, 2355-2361. 

  10. Kim, S. K., Byun, H. G., Park, P. J. and Adachi, K. 2002. Purification and structure of antioxidative substance derived from Tetraselmis suecica. J. Kor. Fish Soc. 35, 155-161. 

  11. Kim, T. J. Natural plant resources in Korea. 1996. Seoul National University Press. 

  12. Lavie, G., Kaplinsky, C., Toren, A., Aizman, I., Meruelo, D., Mazur, Y. and Mandell, M. 1999. A photodynamic pathway to apoptosis and necrosis induced by dimethyl tetrahydroxyhelianthrone and hypericin in leukaemic cells: possible relevance to photodynamic therapy. Br. J. Cancer 79, 423-432. 

  13. Lazebnik, Y. A., Kaufmann, S. H., Desnoyers, S., Poirier, G. G. and Earnshaw, W. C. 1994. Cleavage of poly (ADP-ribose) polymerase by a proteinase with properties like ICE. Nature 371, 346-347. 

  14. Lee, J. Y., Kim, M. K., Ha, J. Y., Kim, Y. G., Hong, C. O., Kim, S. Y., Kim, C. H. and Kim, K. K. 2013.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photosensitizer from Pueraria thunbergiana leaves that induces apoptosis in SK-HEP-1. J. Life Sci. 24, 242-251. 

  15. Lee, K. I., Rhee, S. H. and Park, K. Y. 1999. Anticancer activity of phytol and eicosatrienoic acid identified from perilla leaves. Kor. J. Soc. Food Sci. Nutr. 28, 1107-1112 

  16. Lee, K. I., Rjee, S. K., Park, K. Y. and Kim, J. O. 1992. Antimutagenic compounds identified from perilla leaf. Kor. J. Soc. Food Nutr. 21, 302-307. 

  17. Miller, G. G., Brown, K., Moore, R. B., Diwu, Z. J., Liu, J., Huang, L., Lown, J. W., Begg, D. A., Chlumecky, V., Tulip, J., and McPhee, M. S. 1995. Uptake kinetics and intracellular localization of hypocrellin photosensitizers for photodynamic therapy: a confocal microscopy study. J. Photochem. Photobiol. 61, 632-638. 

  18. Norihiro, B., Toshihiro, A., Harukuni, T., Ken, Y. Hiroshi, H., Motohiko, U., Kenji, W., Yumiko, K., Jun-ichi, H. and Hoyoku, N. 2004. Triterpene acids from the leaves of Perilla frutescens and their anti-inflammatory and antitumor-promoting effects. Biosci. Biotechnol. Biochem. 68, 85-90. 

  19. Oh, S. I. and Lee, M. S. 2003. Screening for antioxidative and antimutagenic capacities in 7 common vegetables taken by korean. J. Kor. Soc. Food Sci. Nutr. 32, 1344-1350. 

  20. Pan, M. H., Lin, J. H., Lin-Shiau, S. Y. and Lin, J. K. 1999. Induction of apoptosis by penta-O-galloyl-β-d-glucose through activation of caspase-3 in human leukemia HL-60 cells. Eur. J. Pharmacol. 381, 171-183. 

  21. Rosenthal, I. 1991. Phthalocyanines as Photodynamic sensitizers. Photochem. Photobiol. 53, 859-870. 

  22. Sanbongi, C., Takanowz, H., Osakabe, N., Sasa, N., Natsume, M., Yanagisawaw, R., Inouez, K. i., Sadakane K., Ichinose, T. and Yoshikawaz, T. 2004. Rosmarinic acid in perilla extract inhibits allergic inflammation induced by mite allergen, in a mouse model. Clin. Exp. Allergy 34, 971-977. 

  23. Woodburn, K. W., Fan, Q., Miles, D. R., Kessel, D., Luo, Y. and Young, S. W. 1997. Localization and efficacy analysis of the phototherapeutic lutetium texaphyrin (PCI-0123) in the murine EMT6 sarcoma model. J. Photochem. Photobiol. 65, 410-41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