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가수분해 방지제 제조용 Phospholene Oxide 촉매의 합성
Synthesis of Phospholene Oxide Catalysts for Hydrolysis Stabilizers 원문보기

공업화학 = Applied chemistry for engineering, v.26 no.1, 2015년, pp.86 - 91  

이진하 (공주대학교 환경공학과) ,  이창용 (공주대학교 환경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BHT (2,6-di-tert-butyl-4-methylphenol), TBC (4-tert-butylcatechol), 스테아린산구리 등 여러 가지 중합방지제를 사용하여 MPPO (3-methyl-1-phenyl-2-phospholene-1-oxide)를 제조하였다. 제조한 시료에 대해 FTIR, $^1H$-NMR, GC/MS 등을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 중합방지제의 종류에 관계없이 MPPO 합성이 확인되었다. 반응 시간이 증가하면 MPPO의 수율은 증가하지만, 순도는 약간 저하하는 경향을 보였다. 합성 온도가 높아지면 MPPO의 수율과 순도가 증가하였지만, 스테아린산구리를 사용한 경우 MPPO의 순도 변화는 나타나지 않았다. 중합방지제 양이 증가하면 MPPO의 수율은 변화가 나타나지 않았다. 순도는 중합방지제 양이 증가하면 증가하였지만, BHT를 사용한 경우에는 중합방지제 양에 따른 MPPO의 순도 변화가 없었다. Diphenylcarbodiimide 합성에 대한 MPPO의 촉매 활성은 스테아린산구리를 사용하여 제조한 MPPO가 가장 높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MPPO (3-methyl-1-phenyl-2-phospholene-1-oxide) was prepared by using various polymerization inhibitors such as BHT (2,6-di-tert-butyl-4-methylphenol), TBC (4-tert-butylcatechol), and copper stearate. The MPPO was confirmed by the analysis using FTIR, $^1H$-NMR, and GC/MS regardless of...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합성 시간 및 온도와 중합방지제의 첨가량 등의 합성 조건이 MPPO의 합성 수율과 순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Figure 6은 7, 13, 25 h 등 합성 시간에 따른 MPPO의 수율을 나타낸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가수분해에 대한 안정성을 부여해주는 카보디이미드는 어떠한 방법으로 제조되는가? 폴리에스테르(polyester)와 같은 수지의 카르복실 말단 그룹을 capping시켜 내가수분해성을 향상시킴으로써 안정성을 부여하게 되며, 인계 난연제가 포함된 폴리머의 성형 시 카보디이미드계 가수분해 방지제를 사용하면 폴리머의 안정성을 향상시킨다[5-6]. 이처럼 가수분해에 대한 안정성을 부여해주는 카보디이미드는 촉매로서 phospholene oxide 존재 하에 이소시아네이트 혼합물을 반응시켜 제조하며, 이러한 phospholene oxide 가운데 MPPO (3-methyl-1-phenyl-2-phospholene-1-oxide)가 가장 우수한 촉매 성능을 나타낸다[7-10]. 그러나 상용 촉매로서 MPPO를 제조 판매하는 공급사가 세계적으로 없고 현재 국내에서는 TCI, Sigma Aldrich, Santa Cruz Biotechnology 등으로부터 소량 단위의 시약용으로만 구입이 가능할 뿐이며 가격도 매우 높다.
카보디이미드(carbodiimide)계 가수분해 방지제는 어떠한 방법으로 내가수분해성을 향상시키는가? 한편, 카보디이미드(carbodiimide)계 가수분해 방지제는 가수분해에 기인한 수지의 물성저하를 방지한다. 폴리에스테르(polyester)와 같은 수지의 카르복실 말단 그룹을 capping시켜 내가수분해성을 향상시킴으로써 안정성을 부여하게 되며, 인계 난연제가 포함된 폴리머의 성형 시 카보디이미드계 가수분해 방지제를 사용하면 폴리머의 안정성을 향상시킨다[5-6]. 이처럼 가수분해에 대한 안정성을 부여해주는 카보디이미드는 촉매로서 phospholene oxide 존재 하에 이소시아네이트 혼합물을 반응시켜 제조하며, 이러한 phospholene oxide 가운데 MPPO (3-methyl-1-phenyl-2-phospholene-1-oxide)가 가장 우수한 촉매 성능을 나타낸다[7-10].
할로젠계 난연제의 단점은 무엇인가? 현재 많이 사용되는 난연제 가운데 할로젠계 난연제는 불과 맞닿으면 유독가스가 발생하고 폐기 처리를 위해 소각할 경우 다이옥신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전기⋅전자제품 및 자동차 소재에 많이 사용되고 있는 브롬화 난연제 가운데 PBB (polybrominated biphenyl)와 PBDE (polybrominated diphenylether)류에 대하여 환경 유해성 문제가 확인되면서 RoHS (EU 전기전자제품 유해물질제한지침, the Restriction of the use of Hazardous Substances in electrical and electronic equipment) 지침에 의하여 그 사용이 제한되었다[1-2]. 이와 같은 할로젠계 난연제의 사용에 따른 환경문제의 심각성이 대두됨에 따라 할로젠계 난연제를 대체할 수 있는 비할로젠계 난연제의 연구가 요구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J. S. Kim and W. G. Kang, Flame retardant regulation & development trends on the trim materials, KSAE 2011 Annual Conference, November, 2031-2034, Daejeon, Korea (2011). 

  2. J. K. Cho, K. M. Kim, J. S. Na, K. W. Chung, and D. K. Lee, Development of new chemicals and their evaluation to cope with global environmental regulations, Polymer Science and Technology, 19, 499-511 (2008). 

  3. B. N. Jang and J. H. Choi, Research trends of flame retardant and flame retardant resin, Polymer Science and Technology, 20, 8-15 (2009). 

  4. C. B. Kim and S. B. Kim, Effect of halogen-phosphorus flame retardant content on properties of rigid polyurethane foam, Appl. Chem. Eng., 24, 77-81 (2013). 

  5. G. Wick, E. Kruger, and H. Zeitler, Carbodiimide-modified polyester fiber and preparation thereof, US Patent, 5,885,709 (1999). 

  6. S. Hoerold and O. Schacker, Flame retardant and stabilizer combined for thermoplastics polymers, US Patent, 7,255,814 B2 (2007). 

  7. Y. Imashiro and I. Takahashi, Process for producing solution of high-molecular weight polycarbodiimide, US Patent, 5,338,794 (1994). 

  8. S. Amano and N. Nakamura, Polycarbodiimide copolymer and process for production thereof, US Patent, 6,090,906 (2000). 

  9. T. W. Campbell and J. J. Verbanc, Production of carbodiimides, US Patent, 2,853,473 (1958). 

  10. G. Keil, Process for the manufacture of carbodiimides, US Patent, 4,096,334 (1978). 

  11. F. Kurzer and K. Douraghi-Zadeh, Advances in the Chemistry of Carbodiimides, Chem. Rev., 67, 107-152 (1967). 

  12. G. V. Coleman, D. Price, A. R. Horrocks, and J. E. Stephenson, Phospholene oxides, Canada Patent, 2088175 (1993). 

  13. M. Yang and R. Kumar, Method of producing phospholene oxide, WIPO, 2014164045 (2014). 

  14. Y. Imashiro, N. Horie, and T. Yamane, Process for the producing 3-methyl-1-phenylphospholene oixde, US Patent, 5,488,170 (1996). 

  15. C. Symmes and L. D. Quin, 1-Vinylcycloalkenes in the McCormack cycloaddition with phosphorous dihalides. Stereochemistry of some resulting bicyclic phospholene oxides, J. Org. Chem., 41, 238-242 (1976). 

  16. M. Yamada, M. Yamashita, T. Suyama, J. Yamashita, K. Asai, T. Niimi, N. Ozaki, M. Fujie, K. Maddali, S. Nakamura, and K. Ohnishi, Prepar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novel 4-bromo-3,4-dimethyl-1-phenyl-2-phospholene 1-oxide and the analogous phosphorus heterocycles or phospha sugars, Bioorg. Med. Chem. Lett., 20, 5943-5946 (2010). 

  17. R. A. Nyquist, Interpreting Infrared, Raman, and Nuclear Magnetic Resonance Spectra, Volume 1, 45-92, Academic Press, NY (2001). 

  18. A. L. Chen, K.-L. Wei, R.-J. Jeng, J.-J. Lin, and S. A. Dai, Well-defied polyamide synthesis from diisocyanates and diacids involving hindered carbodiimide intermediates, Macromolecules, 44, 46-59 (2011).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