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중년기 기혼남녀의 가족스트레스, 사회적 지지 자원이 결혼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family stress and social support resources on marital satisfaction among middle-aged married men and women 원문보기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 Journal of family resource management, v.19 no.4, 2015년, pp.71 - 94  

박주희 (성신여자대학교 사회복지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measures for social work practice to enhance the happiness of middle-aged married men and women by identifying the effects of family stress and social support resources (formal and informal support resources) on marital satisfaction among mid-life married coup...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어떠한 사실이 중년세대의 이혼율의 증가에 영향을 미치는가? 이처럼 중년기 기혼남녀는 노부모부양의 역할과 자녀양육 역할을 수행하는 과정에서의 부담 및 직업의 불안에 대한 스트레스를 크게 느끼게 되며 이로 인해 결혼생활의 질적 경험을 크게 위협받고 있다. 이러한 사실은 중년세대의 이혼율의 증가에도 영향을 미치게 된다고 본다.
결혼생활의 만족이란 무엇인가? 결혼생활의 만족은 가족기능의 한 측면에 영향을 미치고 건강가정유지를 위한 일차적 요소이다. 이에, 중년기 기혼남녀의 가정생활을 영위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가족생활 스트레스로 인해 그들의 결혼생활이 위협받게 되는 것을 예방하기 위한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신현주ㆍ전귀연, 2008).
현대사회에서의 결혼은 어떤 경향으로 변화하고 있는가? 오늘날 급격히 변화하는 사회적 규범은 결혼생활의 다양한 측면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전통사회에서의 결혼이 경제적 안정, 사회적 지위획득, 자녀출산 등 실용적 필요성을 우선시하고 도덕률과 사회규범을 강조했던 바에 비하여 현대사회에서의 결혼은 배우자간의 애정, 동료애, 자아 성장 등 배우자간의 적응과 정서적 만족을 추구하는 경향으로 변화하고 있다. 이와 같이 현대적 결혼에서 정서적 기능이 대단히 중요시 되는 것과 함께 중년기는 생애 발달주기적으로 자녀양육과 노부모부양 등의 부담과 가족 및 사회관계로 부터 오는 심리적 변화와 스트레스가 매우 큰 시기이기도 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98)

  1. 강순정(2008). 여성 결혼이민자의 사회적 지지와 결혼만족에 관한 연구. 상지대학교 사회정책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 강인(1990). 중년기 가족스트레스와 가족대처 방안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 강정희.설연욱(2012). 중년독신여성의 성공적 노화에 대한 인식과 준비에 대한 질적 연구. 한국가족복지학, 17(2), 127-151. 

  4. 경기개발연구원(2015). 2015 자녀양육실태조사. 

  5. 고재홍.박영화(2005). 부부의 자존감, 의사소통 방식 및 갈등대처행동과 결혼만족도간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19(1), 65-83. 

  6. 권한경(2011). 중년여성이 인지하고 있는 삶의 질이 자아존중감과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영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7. 김남순(1986). 한국 중년남녀의 성격특성에 관한 연구. 성신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8. 김명자(1989). 중년기 위기감 및 그 관련변인에 관한 연구: 서울시 남성과 여성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9. 김미령(2009). 연령대에 따른 여성의 결혼만족도 차이 및 영향요인 비교. 한국가족복지학, 26, 35-61. 

  10. 김리진.윤종희(2000). 직장보육시설을 이용하는 취업모의 양육 스트레스에 관한 생태학적 연구. 대한가정학회지, 38(12), 47-58. 

  11. 김미혜(2006). 장애아 어머니의 자아존중감, 스트레스 및 대처행동간의 관계.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2. 김명자(1989). 중년기 연구. 서울: 교문사. 

  13. 김명자(1991). 중년기 부부의 가족스트레스에 대한 대처양식과 위기감. 대한가정학회지, 29(1). 203-216. 

  14. 김연숙.김지미(2001). 사회적 지지에 대한 개념적 분석. 동남보건대학 학술저널, 19(2), 163-172. 

  15. 김유정(2009). 중년 부부의 삶의 의미: 코오리엔테이션 모델 적용. 한양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6. 김재은(1983). 인간발달의 과정. 서울 : 展望社. 

  17. 김효민(2010). 결혼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변인의 자기효과와 상대방효과. 중앙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8. 문혁준(2004). 취업모와 비취업모의 양육스트레스, 대한가정학회지, 39(1), 109-122. 

  19. 박미연(2008). 자녀학령기 가계의 사교육 지출에 관한 연구. 성신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 박봉길.전석균(2006). 노인의 자살생각에 미치는 우울증을 매개로 한 관련요인 연구.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22, 58-90. 

  21. 박성연.전춘애(1996). 자녀양육 스트레스와 사회적 지지가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대한가정학회지, 34(5), 115-129. 

  22. 박신아(2014). 직장-가정 자원이 일-가정 갈등에 미치는 영향 : 여성노동자의 직업지위차이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3. 박윤숙.윤인진(2007). 탈북 청소년의 사회적 지지 특성과 남한사회 적응과의 관계. 한국사회학, 41(1), 124-155. 

  24. 박지원(1985). 사회적지지 척도 개발을 위한 일 연구. 연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5. 박지현(2009). 중년기 가족스트레스 및 가족 탄력성이 사회적 문제 해결능력에 미치는 영향. 성신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6. 박지현.김태현(2011). 중년기의 가족스트레스 및 가족탄력성이 사회적 문제해결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관계학회지, 16(1), 229-257. 

  27. 박주희(2014). 중고등학생 자녀에 대한 사교육비 지출 및 어머니의 사교육 스트레스와 역할갈등에 관한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32(4). 41-56. 

  28. 박주희(2015). 미취학 자녀를 준 취업모의 일-가정 역할갈등, 배우자 지지 자원이 양육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한국자원경영학회지, 19(3), 41-62. 

  29. 신기영(1991). 중년기 주부의 위기감과 사회관계망 지원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0. 신현주.전귀연(2008). 영아기 자녀를 둔 취업부의 결혼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한국가족관계학회지, 13(2), 195-227. 

  31. 신혜섭(2006). 중년기 위기와 가족스트레스. 생활과학연구, 11, 84-90. 

  32. 양병환(1999). 스트레스 연구. 서울: 하나의학사. 

  33. 양옥남(1995). 노인과 부양자의 스트레스와 대처방안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34. 오가실.박영주.오경옥.김정아.이숙자. 김희순.정추자(1999). 한국인이 인지하는 사회적지지의 구성요소: 중년여성을 대상으로.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9(4), 780-789. 

  35. 오명자(2007). 중년기 여성의 주부생활스트레스와 스트레스 대처방식의 관계: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 전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6. 유상미(2008). 지각된 스트레스, 부적응적 완벽주의, 자살사고의 관계: 사회문제해결 능력과 애착유형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7. 유주연(1995). 가족관계 스트레스 및 직무관련 스트레스와 중년기 남성의 위기감.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8. 이미숙(2000). 부인의 취업상태에 따른 부부의 성역할태도와 부인의 가정성이 부부의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정관리학회지, 18(4), 145-161. 

  39. 이신숙.이경주(1999). 남자노인의 성역할 태도와 결혼 만족도에 관한 연구. 한국노년학, 19(2), 1-13. 

  40. 이영선(2008). 결혼이민자의 부부갈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수도권 결혼 이민자를 중심으로. 중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41. 이영주(2010). 중년기 부부의 노후준비도와 노화불안. 한서대학교 석사학위논문. 

  42. 이정은.이영호(2000). 개인특성, 스트레스 및 부부간 의사소통과 결혼만족도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19(3), 531-548. 

  43. 이호신(2000). 결혼생활 만족에 관련된 부부의 상호작용 변인들. 성신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44. 장온정(2007). 국제결혼한 한국남성의 결혼적응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박사학위논문. 

  45. 전찬례(2006). 기독 중년여성의 위기와 영성의 상관성 연구. 계명대학교 연합신학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46. 전영자(1992). 전문직 취업주부의 역할갈등, 대처방안, 자아존중감 및 심리적 디스트레스간의 관계. 경희대학교 박사학위논문. 

  47. 정계숙.유미숙.박수홍.최은실(2012). 자녀생애주기별 어머니의 행복조건에 대한 인식 경향. 아동학회지, 33(4), 69-89. 

  48. 정민자(1983). 부부가족의 가족스트레스와 심리사회적 가족자원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49. 정선화(2012). 중년여성의 생활스트레스와 사회적지지가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경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50. 정옥희(2011). 마음챙김과 사회적 지지가 기혼여성의 스트레스와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명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51. 정원길(2001). 기혼여성의 스트레스와 대처방안에 관한 연구. 목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52. 정현숙(1997). 결혼만족도 연구와 척도의 고찰을 통한 새로운 연구방향과 척도의 모색. 대한가정학회지, 35(1), 191-204. 

  53. 정현숙(1999). 가족연구의 발달적 접근. 서울: 교문사. 

  54. 조경진(2011). 중년기 가계의 노후 준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공교육 지출 유무를 중심으로. 충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55. 조성희.박소영(2010). 여성의 결혼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가족복지학, 29, 149-174. 

  56. 조혜선(2003). 결혼만족도의 결정요인, 한국사회학, 37(1), 91-115. 

  57. 지혜정(2003).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심리사회적 요인의 효과. 아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58. 박성호(2001). 부부의 자아존중감, 내적통제성 및 의사소통과 결혼만족도와의 관계. 서강대학교 석사학위논문. 

  59. 박윤숙.윤인진(2007) 탈북 청소년의 사회적 지지 특성과 남한사회 적응과의 관계. 한국사회학, 4191), 124-155. 

  60. 최연배(2003). 가족스트레스와 사회적지지 인식이 중도지체장애인의 결혼만족에 미치는 영향. 전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61. 최미영.이영희(2010). 중년성인의 우울과 무력감, 사회적지지 및 사회경제적 상태. 정신건강간호학회지,19(2), 196-204. 

  62. 최문임(2007). 중년기 여성의 성적 적응이 심리적 복지에 미치는 영향, 수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63. 최애선(2001). 중년여성의 스트레스와 사회적 지지의 관계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64. 최형성(2002). 어머니의 사회적 지원 및 스트레스와 아동의 기질이 어머니의 양육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고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65. 통계청(2014). 2014 혼인.이혼통계. 

  66. 통계청(2014). 2014 고령자 통계. 

  67. 한겨례신문(2014). 중년이여 나이를 사랑하라. 2014. 4. 6. 문화면. 

  68. 한명숙(2001). 사회적 지지가 스트레스와 수행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지지의 완충효과 가설을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69. 허미화(2004). 중년기 기혼남녀의 결혼생활 및 만족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70. 현경자(2004). 한국인이 느끼는 행복의 근원과 주제에 대한 종단적 탐색.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18, 60-100. 

  71. 홍숙선(2001). 기혼여성의 결혼만족 : 관계 및 자율지향성과 성만족을 중심으로. 가톨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72. 황인성(1998). 중년기 남성의 스트레스 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73. 황종귀(2009). 기혼남녀의 결혼만족도와 안정성에 관련된 요인. 한국생활과학회지, 18(4), 825-840. 

  74. Burr, W.(1970). Satisfaction with various aspects of marriage over life cycle: A random middle class sample. Journal of Marriage and the Family, 32(1), 29-37. 

  75. Bradbury, T. N., Fincham, F. D. and Beach, S. R. H.(2000). Research on the nature and determinants of marital satisfaction: A decade in review. Journal of Marriage and the Family, 62(4), 964-980. 

  76. Barnnett, M. A.(2008). Economic disadvantage in complex family systems: Expansion of family stress models. Clinical Child Family Psychology Review, 11(3), 145-162. 

  77. Borland, D. C.(1978). Research on male mid-life crisis. Counseling Psychologist, 6, 2-9. 

  78. Boss. P.(1988). Family stress management. Sage Publication: Thousand Oaks. 

  79. Cobb, R., Davila, J., & Bradbury, T. N. (2001). Attachment security and marital satisfaction: The role of positive perceptions and social support.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Bulletin, 27(9), 1131-1143. 

  80. Cohen, S., & Hoberman, H.(1983). Positive events and social support as buffers of life change stress. Journal of Applied Social Psychology,13(2), 99-125. 

  81. Culp, A. M., Clup, R. E., Noland, D., & Anderson, J. W.(2006). Stress, marital satisfaction, and child care provision by mothers of adolescent mothers: Considerations to make when providing services. Children and Youth Service Review, 28(6), 673-681. 

  82. Cutrona,C.E.(1996). Social support as a determinant of marital quality: The Interplay of Nagative and Supportive Behaviors, In G.R. Pierce, B.R. Sarason, & I.G. Sarasons(Eds.) Handbook of social support and the family New York: Plenum Press. 173-194. 

  83. Dunst, Trovett, C., & Deal, A.(1988). Enabling and empowering families and guidelines for practice: Cambridge, MA: Brookline Books. 

  84. Erickson, E. H.(1994). Identity and the life cycle. New York: W. W. Norton & Company. 

  85. Folkman S. & Lazarus R.S.(1984). Stress, appraisal and coping. Springer Co. New York. 

  86. Glenn, N. D. and Weaver, C. N.(1981). The contribution of marital happiness to global happiness. Journal of Marriage and the Family, 43, 161-168. 

  87. House, J. S.(1981). Work stress and social support, Massachusetts: Addison-Wesley. 

  88. Hovey, J.(2000). Acculturative stress, depression, and suicidal ideation in Mexican immigrants. Cultural Diversity and Ethnic Minority Psychology, 6(2), 134-151. 

  89. Larson, R. W., Richards, M. H., & Perry-Jenkins, M.(1994). Divergent words: The daily emotional experience of mothers and fathers in domestic and public sphere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16, 1034-1046. 

  90. McCubbin, H., Patterson, J., & Wilson, L. (1982). FILE: Family inventory of life events and changes. In D. Olson, H. I. McCubbin, H. Barnes, A. Larsen, M. Muxen & M. Wilson (Eds.), Family inventories (pp. 69-89). St. Paul, MN: Family Social Science, University of Minnesota. 

  91. Norton, R.(1983). Measuring marital quality. A critical look at the dependent variables. Journal of Marriage and the Family, 45, 141-151. 

  92. Park, S., Cho, S., & Moon, S.(2010). Factors associated with suicidal ideation: Role of emotional and instrumental support. Journal of Psychosomatic Research 69, 389-397. 

  93. Rollins, B., & Feldman, H.(1970). Marital Satisfaction over the family life cycle. Journal of Marriage and the Family, 32(1), 20-28. 

  94. Rosen-Grandon, J. R., Meyers, J. E., & Hattie, J. A.(2004). The relationship between marital characteristics, marital interaction processes, and marital satisfaction. Journal of Counseling Development, 82(1), 58-68. 

  95. Sarason, I. G., Levine, H. M., Bashsm, R. B., & Sarason, B. R.(1983). Assessing social support: The social support questionnaire.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44(1), 127-139. 

  96. Spanier, G.(1976). Measuring dyadic adjustment: New scales for assessing the quality of marriage and similar dyads. Journal of Marriage and Family, 38(8), 15-28. 

  97. Staudinger, U. M., & Bluck, S.(2001). A view on midlife development from life-span theory. In Lachman, M. E.(2001). Handbook of mid-life development. New York: John Wiley & Sons. 

  98. Zainah, A. Z., Nasir, R., Ruzy, S. H., & Noraini, M. Y.(2012). The Effect of Demographic Variables on Marital Satisfaction. Asian Social Science, 8(9), 46-49.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