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가족스트레스가 중년기 기혼여성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 : 가족건강성과 가족지지의 조절효과
The Effects of Family Stress on Depression in Married, Middle-aged Women : The Moderating Effects of Family Strength and Support 원문보기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 Journal of family resource management, v.20 no.1, 2016년, pp.141 - 158  

이서영 (한경대학교 아동가족복지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ffects of family stress on instances of depression in married, middle-aged women; more specifically, this study examined the moderating effects family strength and support have on depression in middle-aged women. Three hundred women from 40 to 60 years 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이와 같은 선행연구들을 토대로 본 연구에서는 가족스트레스가 중년기 기혼여성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가족건강성과 가족지지의 조절효과를 실증적으로 검증해 보고자 하며 이를 바탕으로 구체적인 제언을 제시해보고자 한다.
  • 본 연구는 가족스트레스가 중년기 기혼여성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봄에 있어 가족건강성과 가족지지와 같은 긍정적 두 변인의 조절 효과를 검증해보고 이를 바탕으로 구체적인 제언을 제시해보고자 한다. 주된 논의와 이에 따른 구체적인 제언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 또한 중년기 여성의 우울과 관련한 조절변인으로는 ‘자아존중감’(김미례, 2007)이나 ‘자아정체감’(송은미ㆍ이승연, 2015) 그리고 ‘사회적지지’(오명자ㆍ김병욱ㆍ김미례, 2008)의 조절효과를 살펴본 연구들은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가족스트레스가 중년기 기혼여성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앞서 언급한 가족건강성과 사회적 지지 중에서도 보다 구체적으로 가장 중요하고 많은 영향을 미치는 가족지지와 같은 긍정적 가족변인이 가족스트레스와 우울의 관계에서 완충의 역할을 하는 조절효과가 있을 것이라 판단하며 이를 살펴보는 것이 우울 감소를 위한 구체적인 방안을 모색하는데 도움이 되리라고 여겨진다.

가설 설정

  • 1) 변인들의 일반적 경향(가족스트레스, 우울, 가족건강성, 가족지지)은 어떠한가?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가족건강성이란 무엇인가? 가족건강성은 가족생활의 병리적, 부정적 측면보다는 긍정적 측면을 강조하는 개념으로 가족의 관계적, 기능적 측면을 전제로 하는 개념이다. 가족건강성이란 가족단위에서 부딪치는 위기, 변화, 스트레스 원으로부터 다시 일어서는 가족의 잠재력 또는 가능성을 말한다(박지현ㆍ김태현, 2011).
가족스트레스와 우울은 어떠한 관계를 가지는가? 대체적으로 스트레스가 우울을 야기하거나 예측하는데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보고하고 있고(김미례, 2007; 이선미ㆍ김경신, 2012) 이를 반증하듯 많은 연구들이 가족스트레스 수준이 높을수록 우울 수준이 높아지는 것으로 보고하고 있다(정미경ㆍ이규미, 2010; Flynn & Rudolph, 2011). 아울러 가족건강성과 우울간의 부적관계를 밝히는 연구들(전혜정 외, 2009; 최은희ㆍ윤혜미, 2011)과 가족스트레스와 가족건강성의 부적상관을 제시한 연구들(이은희, 2009; 최정혜, 2006)도 이루어져 왔다.
중년기의 가족스트레스가 중요하게 다루어 져야 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중년기는 가족관계에 대한 부담감, 역할부담 및 역할갈등 등이 중년기 가족의 스트레스를 유발하게 되고, 이로 인한 신체적ㆍ심리적 건강의 악화, 가족간의 갈등은 결과적으로 가족의 건강성을 악화시키며, 그 기능을 저하시키게 된다. 따라서 중년기의 가족스트레스는 비단 개인의 문제에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가족전체의 안정성 및 건강성에 큰 영향을 미치리라 짐작할 수 있으며, 결국 중년기 가족스트레스는 개인 및 가족의 안녕과 직결되는 문제이므로 매우 중요하게 다루어 져야 할 필요가 있다 할 수 있다(박지현ㆍ김태현, 201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0)

  1. 강희경(2005). 가족의 건강성과 학령기 아동의 자아탄력성.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3(3), 93-102. 

  2. 김미례(2007). 기혼여성의 생활스트레스와 우울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및 조절효과 검증. 한국심리학회지 : 건강, 12(4), 761-777. 

  3. 김성일.정용철(2001). 청소년의 우울성향과 가정환경과의 관계. 한국청소년연구, 12(1), 5-27. 

  4. 김순옥.임현숙.정구철(2013). 결혼이주여성의 배우자지지, 가족지지가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3(11), 221-235. 

  5. 김안자(2005). 가족레질리언스가 한부모가족의 가족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경기대학교 박사학위논문. 

  6. 김정림(2013). 죽음준비교육이 중년여성의 죽음에 대한 태도와 생의 의미에 미치는 효과. 부산카톨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7. 박지원(1985). 사회적 지지 척도 개발을 위한 일 연구. 연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8. 박지현.김태현(2011). 중년기의 가족스트레스 및 가족탄력성이 사회적 문제해결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관계학회지, 16(1), 229-257. 

  9. 송유미.이윤형(2009). 조손가족 조부모의 가족스트레스와 가족기능 간 사회적 지원의 조절 효과에 관한 연구. 노인복지연구, 43, 111-134. 

  10. 송은미.이승연(2015). 중산층 중년 기혼여성의 건강 스트레스와 우울, 불안과의 관계에서 자아정체감의 조절효과 검증. 한국심리학회지 : 여성, 20(4), 531-549. 

  11. 신선인(2001). 한국판 일반정신건강척도(KGHQ)의 개발에 관한 연구1 : KGHQ-20과 KGHQ-30을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학, 46, 210-235. 

  12. 신혜섭(2006). 중년기 위기와 가족스트레스. 생활과학연구, 11, 84-90. 

  13. 양유정.신성희(2014). 중년부부의 자아존중감과 가족스트레스가 우울에 미치는 자기효과와 상대방효과. 정신간호학회지, 20(2), 52-69. 

  14. 오명자.김병욱.김미례(2008). 중년기 여성의 주부생활스트레스와 스트레스 대처방식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 한국심리학회지 : 여성, 13(4), 499-520. 

  15. 유영주(2004). 가족강화를 위한 한국형 가족건강성척도 개발 연구. 한국가족관계학회지, 9(2), 119-151. 

  16. 이선미.김경신(2012). 기혼남녀의 가족스트레스와 가족건강성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관계학회지, 17(3), 3-22. 

  17. 이은희(2009). 생활스트레스에 대한 결혼이민자 여성의 적응 연구-탄력모델을 적용하여-. 한국가족복지학, 14(1), 73-94. 

  18. 이진숙.최원석(2011). 기혼 취업여성의 우울경로에 관한 연구. 사회복지연구, 42(4), 89-412. 

  19. 이재림.옥선화(2001). 저소득층 여성가장의 가족생활사건, 사회적 지원, 자녀의 지원과 생활만족도.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39(5), 49-63. 

  20. 전혜정.민성혜.이민영.최혜영(2009). 결혼이주여성 가족 건강성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 한국가족복지학, 14(2), 5-27. 

  21. 정미경.이규미(2010). 노인의 스트레스, 우울, 낙관주의 및 적응유연성의 경로분석. 한국노년학, 30(2), 629-642. 

  22. 정순둘.구미정(2011). 우울 영향요인 : 베이부부머, 예비노인, 현재노인의 비교. 노인복지연구, 52, 305-324. 

  23. 최경란(2006). 중년기 여성의 위기감과 관련변인. 전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4. 최은희.윤혜미(2011). 아동기 성폭력경험, 자아존중감, 성정체성노출 및 사회적 지지가 게이와 레즈비언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37(4), 231-254. 

  25. 최정혜(2006). 맞벌이부부의 가족스트레스와 가족건강성. 대한가정학회지, 44(6), 47-58. 

  26. 하춘광.석희정(2015). 호주이민 한인 중년여성의 가족지지와 자아존중감에 관한 연구 : 우울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9(3), 63-80. 

  27. 허제은.태영숙(2014). 중년여성의 영적 안녕, 사회적 지지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 대한성인간호학회지, 26(2), 181-190. 

  28. Beiser, M. N. & Hou, F.(2006). Ethnic identity, resettlement stress and depressive affect among southeast asian refugees in canada. Science and Medicine, 63, 137-150. 

  29. Bernstein, K. S.(2007). Mental health issues among urban korean american immigrants. Journal of Transcultural Nursing, 18(2), 175-180. 

  30. Dean, A. & Lin, N.(1977). The stress-buffering role of social support: problems and prospects for systematic investigation. The Journal of Nervous and Mental Disease, 65(6), 403-413. 

  31. Feldman, D. B. & Snyder, C. R.(2005). Hope and the meaningful life: theoretical and empirical association between goal-directed thinking and life meaning. Journal of Social and Clinical Psychology, 24, 401-421. 

  32. Flynn, M. & Rudolph, K. D.(2011). Stress generation and adolescent depression: contribution of interpersonal stress response. Journal of Abnormal Child Psychol, 39, 1187 -1198. 

  33. Lamanna, M. A. & Ridemann, A.(2009). Marriages and families: making choices in a diverse society (10th ed.). Thomson Learning Inc. 

  34. Lennon, M. C.(1980). Psychological reaction to menopause: a sociological study.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The Columbia University. 

  35. McCubbin, H. I.(1981). Family inventory of life events and changes(FILE). st. paul minnesota : Family Social Science, University of Minnesota. 

  36. Miller, B. & Taylor, J.(2012). Racial and socioeconomic status differences in depressive symptom among black and white youth: an examination of the mediation effects of family structure, stress and support. Journal of Youth Adolescence, 41, 426-437. 

  37. Olson, D. H. & Defrain, J.(2010). Marriages & families: intimacy, diversity, and strengths(5th ed). Educational Gerontology, 36(5), 447-458. 

  38. Silberg, J. L. Maes, H. & Eaves, L. J.(2010). Genetic and environmental influences on the transmission of parental depression to children's depression and conduct disturbance: and extended children of twins study. Journal of Child Psychology and Psychiatry, 51(6), 734-744. 

  39. Sjolander, C. & Bertero, C.(2008). The significance of social support and social networks among newly diagnosed lung cancer patients in sweden. Nursing and Health Sciences, 10(3), 182-187. 

  40. Tak, Y. R. & McCubbin, M. (2002). Family stress, perceived social support and coping following the diagnosis of a child's congenital heart disease. Journal of Advanced Nursing, 39(2), 190-19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