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성인의 폭음 관련요인: 성별, 연령별 차이
Risk Factors for Heavy Episodic Drinking among Korean Adults: Differences by Gender and Age 원문보기

가정간호학회지, v.22 no.2, 2015년, pp.265 - 279  

임미영 (서일대학교 간호과) ,  이소영 (꽃동네대학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Most research on risky drinking among adults in Korea has focused on problem drinking and high-risk drinking. This paper examines the nature of heavy episodic drinking_(HED) among adults and seeks to identify the risk factors for HED by analyzing differences by gender and age. Method: Part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폭음의 기준을 연간 음주자 중 최근 1년간 한번이라도 폭음한 것으로 정하고 분석하였으나 폭음 수준에 따른 관련요인의 차이를 분석하지는 못했다. 그러나 폭음 관련요인을 성별, 연령별로 분석함으로써 성인의 폭음을 예방하고 중재하기 위한 접근 방향을 모색하는데 기초적인 자료를 제공한 것으로 판단된다. 추후연구에서 폭음의 수준을 구분하여 일회성 폭음과 상습적 폭음의 차이를 분석하여 폭음의 수준에 따른 차별화된 중재 수준을 모색해 볼 것을 제언한다.
  • 특히 술의 위험한 사용은 알코올 의존, 간경화, 암, 손상 등 200개 이상의 질병과 상해의 주요한 원인이 되고 최근에는 결핵, 에이즈와 같은 감염성 질환과 알코올의 위해한 사용 간의 관계에 관한 인과관계 연구들이 보고되고 있어(WHO, 2014) 폭음을 포함한 고위험 음주의 위해와 사회적 영향을 규명하고 적절히 관리하기 위한 적극적인 대책 마련이 요구된다. 본 연구는 성별, 연령별 성인의 폭음 관련요인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성인의 폭음양상을 파악하고 성별, 연령별 폭음의 특성과 폭음 관련요인을 규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는 음주자의 폭음 양상과 성별, 연령별 폭음 특성과 폭음 관련요인을 파악하는 것으로서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위험 음주에 관한 많은 연구들이 고위험 음주라는 제목으로 대부분 문제음주(AUDIT) 수준을 분석하고 있어 본 연구에서는 폭음유무 외에 고위험 음주의 수준을 문제음주를 통해서도 파악하기 위해서 문제음주 수준을 분석하였다. 성별, 연령, 흡연, 비만군별 문제음주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여성에 비해 남성의 문제음주(AUDIT) 수준이 유의하게 높았고 현재 흡연자가 비흡연자나 과거 흡연자에 비해 문제음주 수준이 높았으며 저체중인 경우가 정상체중인 경우에 비해 문제음주 수준이 유의하게 낮았다.
  • 적정 음주가 심장질환 등 몇몇 질환에 도움이 될 수 있다는 연구가 보고되었지만(Corrao, Rubbiati, Bagnardi, Zambon, & Poikolainen, 2000) 위험 음주와 폭음으로 인한 개인과 사회에 미치는 심각한 부정적 결과들을 고려할 때 위험 음주와 폭음을 예방하고 차단하기 위해 보다 적극적인 관심과 대책마련이 필요한 시점이다. 이에 본 연구는 연간 음주자의 폭음실태와 성별, 연령별 폭음의 특성을 파악하고 이들의 폭음 관련요인을 분석함으로써 폭음으로 인한 부정적인 위해를 예방하고 건전한 음주문화를 정착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확보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고위험 음주 관련 연구에서 차별화된 접근이 필요한 이유는 무엇인가 음주에 관한 세계적 동향에 따르면 전통적으로 음주소비가 높던 국가에서는 성인의 음주소비가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지만 현재까지 음주소비가 낮았던 국가의 경우 음주소비가 증가하고 있으며 젊은이의 알코올 소비와 폭음이 증가하고 폭음으로 인한 2차적인 문제가 발생되고 있어 새로운 관심과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OECD, 2015). 특히 음주는 성별, 연령별 음주의 특성과 양상이 다르므로 차별화된 접근이 필요함이 보고되고 있음에도(OECD, 2015; Sung, 2010; WHO, 2014)우리나라에서 음주에 대한 성별, 연령별 분석은 활발하지 않은 실정이다.
적정 음주의 장점은 무엇인가 적정 음주는 관상동맥질환, 허혈성 뇌졸중, 골다공증, 치매 등의 위험을 낮출 수도 있지만 과도한 음주는 심뇌혈관질환, 암, 소화기계 질환, 정신 및 행동장애와 자동차 사고 등 여러질병과 상해의 원인이 되며 자살, 원치 않는 성 행동 등 2차적 행동의 주요 위험요인으로 연결될 수 있어 개인의 문제를 넘어서 사회 전반에 걸쳐 다양하고 복합적인 문제로 이어질 수 있다(Lee & Roh, 2011; World Health Organization [WHO], 2014). 특히 젊은 연령층의 위험 음주는 교통사고, 폭력, 등으로 인해 음주로 인한 질병부담을 증가시키고 성인 후기 문제 음주로 진행되거나 취업제한 등 다양한 급성, 만성 상황을 유도하게 된다(OECD, 2015).
과도한 음주는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적정 음주는 관상동맥질환, 허혈성 뇌졸중, 골다공증, 치매 등의 위험을 낮출 수도 있지만 과도한 음주는 심뇌혈관질환, 암, 소화기계 질환, 정신 및 행동장애와 자동차 사고 등 여러질병과 상해의 원인이 되며 자살, 원치 않는 성 행동 등 2차적 행동의 주요 위험요인으로 연결될 수 있어 개인의 문제를 넘어서 사회 전반에 걸쳐 다양하고 복합적인 문제로 이어질 수 있다(Lee & Roh, 2011; World Health Organization [WHO], 2014). 특히 젊은 연령층의 위험 음주는 교통사고, 폭력, 등으로 인해 음주로 인한 질병부담을 증가시키고 성인 후기 문제 음주로 진행되거나 취업제한 등 다양한 급성, 만성 상황을 유도하게 된다(OECD, 201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Alati, A., Kinner, S., Najman, J. M., Fowler, G., Watt, K., & Green, D. (2004). Gender differences in the relationships between alcohol, tobacco, and mental health in patients attending an emergency department. Alcohol and Alcoholism, 39(5), 463-469. 

  2. Castro, D. S., Sanches, Z. M., Zaleski, S. M., Alves, H. N. P., Pinsky, I., Caetano, R., & Laranjeira, R. R. (2012).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associated with binge drinking among Brazilians. Drug and Alcohol Dependence, 126(1-2), 272-276. 

  3. Chou, A. P., Chun, S., Smith, S., Ruan, J., Li, T. K., & Grant, B. F. (2012). Episodic heavy drinking, problem drinking and injuries-Results of the WHO/NIAAA collaborative emergency room study in South Korea. Alcohol, 46(5), 407-413. 

  4. Corrao, G., Rubbiati, L., Bagnardi, V., Zambon, A., & Poikolainen, K. (2000). Alcohol and coronary hart disease: A meta-analysis. Addiction, 95(10), 1505-1523. 

  5. Dawson, D. A., Grant, B. F., & Ruan, W. J. (2005). The association between stress and drinking: modifying effects of gender and vulnerability. Alcohol and Alcoholism, 40(5), 453-460. 

  6. Goncalves, P. D., Cunha, P. J., Malbergire A., Amaral, R. A., Oliveira, L. G., Yang, J. J., & Andrade, A. G. (2012). The association between low alcohol use and traffic risk behaviors among Brazilian college students. Alcohol, 46(7), 673-679. 

  7. Hong, H. Y. (2013). A study on characteristics of high risk drinking and factors of effect. Unpublished masters' thesis.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Seoul. 

  8. Jeon, G. S., & Lee, H. Y. (2010). Associated Factors of Binge Drinking and Problem Drinking among Korean Men and Women. Korean Journal of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27(1), 91-103. 

  9. Kim, H. K., Kim, S. Y., Cha, J. G., Cho S., Kwon, E. J., Park, J. Y., & Cho, H. I. (2011). Unhealthy drinking patterns in middle aged and older adults: Result from the 2010 national Lifetime Transition Period Health Screening Program. Journal of Korean Alcohol Science, 12(2), 141-154. 

  10. Kim, J., & Chun S. (2014). Association between obesity and patterns of alcohol drinking in Korea. Korean Public Health Research, 40(1), 99-108. 

  11. Korean Statistical Information Service (2015). Trends of heavy episodic drinking rate among people who having report drunk any alcohol in the past 12 months. Retrieved October, 27, 2015, from http://kosis.kr/statisticsList/statisticsList_01List.jsp?vwcdMT_ZTITLE&parentIdD#SubCont 

  12. Lee, H., & Roh S. (2011). The relations of alcohol drinking behavior, depressive mood, and suicidal ideation among Korean adults. Journal of Korean Alcohol Science, 12(1), 155-168. 

  13. Lee, J. O., Hill, K. G., Guttmannova, K., Bailey, J. A., Hartigan, L. A., Hawkins, D., & Catalano, R. F. (2012). The effects of general and alcohol-specific peer factors in adolescence on trajectories of alcohol abuse disorder symptoms from 21 to 33 years. Drug and Alcohol Dependence, 121(3), 213-219. 

  14. Lee, K. W., Park, B. J., Kang, H. T., & Lee, Y. J. (2011). Alcohol-drinking patterns and metabolic syndrome risk: 2007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Alcohol, 45(5), 499-505. 

  15. Livingston, M. (2008). Recent trends in Risky alcohol consumption and related harm among young people in Victoria, Australia. Australian and New Zealand Journal of Public Health, 32(3), 266-271. 

  16. Lopez-Caneda, E., Holguin, S. R., Corral, M., Doallo, S., & Cadaveira, F. (2014). Evolution of the binge drinking pattern in college students: Neurophysiological correlates. Alcohol, 48(5), 407-418. 

  17. Lyu, M., Lee, M. K., & Shin, H. (2010). The relationship of alcohol drinking and sociocognitive factors on binge drinking of college students- Focused on of perceived drinking norm. Korean Journal of Psychological and Social Issues, 16(1), 63-79. 

  18.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2).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V-2) Results Conference. Retrieved April, 9, 2013, from https://knhanes.cdc.go.kr/knhanes 

  19. OECD (2015). Tackling Harmful Alcohol Use: Economics and Public Health Policy. Retrieved November, 1, 2015, from, http://www.oecd-ilibrary.org/social-issues-migration-health/tackling-harmful-alcohol-use_9789264181069-enOECDpublishing 

  20. Pedersen, W., & Soest, T. V. (2013). Socialization to binge drinking: A population-based, longitudinal study with emphasis on parental influences. Drug and Alcohol Dependence, 133(2), 587-592. 

  21. Rehm, J., Room, R., Monteiro, M., Gmel, G., Graham, K., Rehn, N., Sempos, C.T., & Jernigan, D. (2003-a). Alcohol as a risk factor for global burden of disease. European Addiction Research, 9(4), 157-164. 

  22. Rehm, J., Room, R., Graham, K., Monteiro, M., Gmel, G., & Sempos C. T. (2003-b). The relationship of average volume of alcohol consumption and patterns of drinking to burden of disease-An overview. Addiction, 98(9), 1209-1228. 

  23. Roerecke, M., & Rehm, J. (2010). Irregular heavy drinking occasions and risk of ischemic heart disease: A systemic review and meta-analysis. American Journal of Epidemiology, 171(6), 633-644. 

  24. Seo, J. Y. (2014). Construction for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on binge drinking among Korean undergraduate students.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26(1), 76-88. 

  25. Sohn, A., & Park. J. (2006). Comparison of sexual behavior between binge drinkers and non-binge drinkers among Korean university students. Journal of Korean Alcohol Science, 7(1), 27-38. 

  26. Sung, H. N. (2010). Factors associated with binge drinking and related health problems: Finding from the 2005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Unpublished masters' thesis. Ulsan University, Seoul. 

  27. Statistics Korea (2014). 2013 Annual report on the cause of death statistics. Retrieved November, 1, 2015, from http://kosis.kr/ups/ups_01List.jsp 

  28. Wemm, S., Fanean, A., Baker, A., Blough, E. R., Mewaldt, S., & Bardi M. (2013). Problematic drinking and physiological responses among female college students. Alcohol, 47(2), 149-157. 

  29. White, A. M., Hingson, R. W., Pan, I. J., & Yi, H. Y. (2011). Hospitalization for alcohol and drug overdoses in young adults ages 18-24 in the United States, 1999-2008: Results from the nationwide impatient sample. Journal of Studies on Alcohol and Drugs, 72(5), 774-786. 

  30. World Health Organization (2014). Global status report on alcohol and health. ISBN 978 92 4 069276 3. Geneva: Author.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