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일 사회문제 해결형 연구개발사업 비교 분석
Comparative analysis of R&D programs for societal challenges 원문보기

科學技術學硏究 = Journal of science & technology studies, v.15 no.2, 2015년, pp.191 - 227  

박인용 (과학기술정책연구원) ,  성지은 (과학기술정책연구원) ,  한규영 (과학기술정책연구원)

초록

기존 혁신정책의 대안이자 사회문제의 새로운 대응책으로서 사회문제 해결형 연구개발사업이 시도되고 있다. 사회문제는 문제가 발생하는 사회적 맥락, 특히 문제에 직면하는 사용자를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 때문에 사회문제 해결형 연구개발사업은 사회문제와 사용자의 수요를 발굴하고, 개발 및 실증과정에서 연구자와 사용자의 협업을 강조한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 시민연구사업과 일본 사회기술연구개발센터 사업의 두 사례를 들어 각각의 배경, 기본 구성, 추진 과정을 비교분석하였다. 두 사례에서는 사회문제 해결 목표와 사용자 참여 방안이 유사한 형태로 나타나고 있었다. 그러나 사업 성격과 추진 과정 측면에서는 일본 사례가 더 넓은 시각에서 사회문제 해결형 연구개발에 접근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는 한국에서는 기술개발 중심의 기존 연구개발체계가 그대로 유지되는 가운데 사회문제 해결형 연구개발사업과의 정합성이 떨어진 데 따른 것으로 해석된다. 따라서 공급중심 시각 탈피, 사용자 참여의 내실화, 법제도 사업화 등 기술 외적 부문의 발달을 위한 지원 수단을 마련하여 기존 연구개발체계에서 비롯된 한계를 극복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supply-driven innovation system is encountering its limitation. At the same time, the needs for solving societal challenges occurring in people's lives are growing. Social problem-solving R&D programs have been attracting attention as a countermeasure to satisfy these needs. It is important to u...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사회문제가 확산, 심화되는 속도에 비해 이에 대한 대응이 소극적이거나 기대에 못 미친다고 인식되는 이유는? 사회문제가 확산·심화되는 속도에 비해 이에 대한 정책적 대응, 특히 혁신정책 차원에서의 대응은 소극적이거나 기대에 못 미치는 것으로 인식되어 왔다. 이는 기존 혁신정책에서 사회문제는 과학기술 밖의 영역이었으며, 그 목표 역시 산업경쟁력 강화와 경제성장 촉진에 초점을 맞춰져 있었기 때문이다(송위진 외, 2012).
전 세계적으로 과학기술혁신정책과 혁신시스템, 거버넌스 논의가 큰 전환기를 맞고 있는 이유는? 전 세계적으로 과학기술혁신정책(이하 혁신정책)과 혁신시스템, 거버넌스 논의가 큰 전환기를 맞고 있다. 경제성장, 국가경쟁력 강화 등 경제적 목표에 초점을 맞추고 연구개발·기술공급 중심으로 진화되어 온 혁신정책과 시스템이 그 한계를 드러내고 있기 때문이다. 저성장 추세가 장기화되면서 노동·자본·기술 등의 요소를 지속적으로 투입하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기술개발 성과 또한 경제·사회적으로 연계·확산되지 못하고 있다(성지은 외, 2013).
사회문제 해결형 연구개발사업의 의의는? 본 사업은 산업지원에 초점을 맞춘 기존 연구개발사업의 한계를 극복함과 동시에 지속가능성, 삶의 질, 양극화, 안전 등 다양한 사회문제에 대한 과학기술적 대안을 제시한다(송위진 외, 2014). 현재 전세계적으로 사회문제 해결형 연구개발사업이 강조되고 있는데, 이는 과학기술의 사회적 책임성 대응뿐만 아니라 기존 연구개발과는 다른 궤적을 형성하는 실험적 시도라는 의의를 지닌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5)

  1. 국가과학기술위원회(2012), 新과학기술 프로그램 추진전략(안), 국가과학기술위원회 심의안 4호, 2012.12.27. 

  2. 김태희(2015), 사회문제 해결형 R&D사업의 현황 및 개선방안, 한국연구재단 내부문건. 

  3. 미래창조과학부(2015), 사회문제 해결을 위한 시민연구사업 2015년 추진계획. 

  4. 성지은(2015), 일본 과학기술혁신정책 동향, 한국연구재단 발표자료 

  5. 성지은.김미.임홍탁.김은정(2014), 연구개발사업의 사회적 파급효과 분석 가능성과 과제, 과학기술학연구, 14(2), pp.49-84. 

  6. 성지은.송위진.김왕동.김종선.정병걸.박미영.박인용.정연진(2013), 저성장시대의 효과적인 기술혁신지원제도, 정책연구 13-12, 과학기술정책연구원. 

  7. 성지은.송위진.박인용(2014), 사용자 주도형 혁신모델로서 리빙랩 사례 분석과 적용 가능성 탐색, 기술혁신학회지, 17(2), pp.309-333. 

  8. 손병호.김선경(2006), 일본의 제1기, 2기 및 3기 과학기술기본계획 주요 내용 비교 분석, 조사자료 06-08,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9. 송위진(2012a), 사회.기술시스템론과 정책적 의의, Issue & Policy, 30, 과학기술정책연구원. 

  10. 송위진(2012b), 문제지향적 연구개발사업의 주요 특성과 정책방향: 사회-기술기획과 사용자 참여, STEPI Insight, 99, 과학기술정책연구원. 

  11. 송위진.민정원(2011), 사회문제 해결을 위한 연구개발 프로그램 사례 분석: 일본 社會技術硏究開發센터, Issues & Policy, 52, 과학기술정책연구원. 

  12. 송위진.성지은(2013a), 사회문제 해결형 혁신과 사회-기술기획: 현황과 과제, 과학기술학연구, 13(2), pp.111-136. 

  13. 송위진.성지은(2013b), 사회문제 해결을 위한 과학기술혁신정책, 한울. 

  14. 송위진.성지은.김종선.박인용(2015), 사회문제 해결형 연구개발 활성화를 위한 교육체계 설계, 국가과학기술인력개발원. 

  15. 송위진.성지은.김종선.장영배.정병걸.이은경(2014), 사회문제 해결형 혁신에서 사용자 참여 활성화 방안, 정책연구 14-04, 과학기술정책연구원. 

  16. 송위진.성지은.임홍탁.장영배(2013), 사회문제해결형 연구개발 사업발전방안 연구, 정책연구 13-11, 과학기술정책연구원. 

  17. 송위진.성지은.장영배(2011), 사회문제 해결을 위한 과학기술-인문사회 융합방안, 정책연구 11-14, 과학기술정책연구원. 

  18. 송위진.성지은.홍성주.한재각.박진희(2012), 사회문제 해결형 혁신정책의 주요 이슈와 대응, 조사연구 12-03, 과학기술정책연구원. 

  19. 안승구(2015), 정부R&D투자 효율화를 위한 중장기 이슈분석 및 정책 기반 구축, 연구보고 2015-052, KISTEP. 

  20. 이정찬(2014), 아베노믹스와 일본의 과학기술혁신정책, 동향과 이슈, 11, 과학기술정책연구원 

  21. 임홍탁.김국태.성지은(2014), 연구개발사업의 사회적 영향 평가, 한국기술혁신학회 춘계학술대회 발표논문. 

  22. 차민석.김영배.배종태(2010), 사용자 중심의 기술혁신시스템과 정부정책, 기술혁신연구, 특별호. 

  23.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2009), 산업원천 전략기술별 TRL 평가지표. 

  24. 한국연구재단(2014), 사회문제 해결형 기술개발사업 설명서". 

  25. 한국연구재단(2015a), 2015년도 사회문제해결을 위한 시민연구사업신규과제(생활환경 분야) 선정평가 결과 공고, 미래창조과학부 공고 제 2015-0244호, 2015.6.1. 

  26. 한국연구재단(2015b), 2015년도 사회문제해결을 위한 시민연구사업신규과제(재난안전 분야) 선정평가 결과 공고, 미래창조과학부 공고 제 2015-0306호, 2015.7.3. 

  27. 한국연구재단(2015c), 2015년도 사회문제해결형 기술개발사업 신규과제(격차해소 기술개발분야) 선정평가 결과 공고, 미래창조과학부 공고 제 2015-0306호, 2015.7.3. 

  28. 한국연구재단(2015d), 2015년도 사회문제해결형기술개발사업 신규과제(격차해소 분야) 선정평가 결과 공고, 미래창조과학부 공고 제 2015-0541호, 2015.11.30. 

  29. 한국연구재단(2015e), 2015년도 사회문제해결형기술개발사업 신규과제(재난안전 분야) 선정평가 결과 공고, 미래창조과학부 공고 제 2015-0542호, 2015.11.30. 

  30. 홍성주(2012), 과학기술기본계획의 추이 분석과 시사점: 최근 10여년간 한국과 일본의 과학기술기본계획을 중심으로. STEPI Insight , 89, 과학기술정책연구원. 

  31. Biemans, W.G.(1991), "User and third-party involvement in developing medical equipment innovations", Technovation, 11(3), pp.163-182. 

  32. Bornmann, L.(2013), "What is Societal Impact of Research and How Can It Be Assessed? A Literature Survey", Journal of the American Society for Information Science and Technology, 64(2), PP. 217-233. 

  33. Buhler, C.(2001), "Empowered participation of users with disablities in R&D projects", International Journal of Human-Computer Studies, 55(4), pp.645-659. 

  34. Clarence, E. and Gabriel, M.(2014), People Helping People: The Future of Public Services, NESTA. 

  35. Geels, F. et al.(2008), "The Feasibility of Systems Thinking in Sustainable Consumption and Production Policy: A Report to the Department for Environment", Food and Rural Affairs, London: Brunel University. 

  36. Holbrook, J.B.(2010), "The use of societal impacts considerations in grant proposal peer review, A comparison of the five models", Technology & Innovation, 12(3), pp.213-224. 

  37. Klerkx, L. and Leeuwis, C.(2008), "Institutionalizing end-user demand steering in agricultural R&D: Farmer levy funding of R&D in the Netherlands", Research Policy, 37(3), pp.460-472. 

  38. Kuhlmann, S. and Rip, A. (2014): The challenge of addressing Grand Challenges. A think piece on how innovation can be driven towards the "Grand Challenges" as defined under the European Union Framework ProgrammeHorizon 2020, Report to ERIAB. 

  39. Loorbach, D.(2007), Transition Management: New Mode of Governance for Sustainable Development, International Books. 

  40. RISTEX(2010), 犯罪からの子どもの安全?究開?領域, 同?究開 ?プログラム犯罪からの子どもの安全及び 同プログラ ム 平成19年度 採??究開?プロジェクト中間評?報告書. 

  41. RISTEX(2015), RISTEX Brochure(2014-2015). 

  42. Shah, S.G.S. and Robinson, I(2007), "Benefits of and barriers to involving users in medical device technology development" and evaluation, International Journal of Technology Assessment in Health Care, 23(1), pp.131-137. 

  43. Toivonen, M.(2014), Policies and measures for systemic and social innovations in the healthcare sector: experience from Finland, ESIC Peer Review. 

  44. 科?技術振興機構(JST)(2013), Japan Science and Technology Agency(JST) 2012-2013 ?要. 

  45. 科?技術振興機構(JST)(2014), Research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for Society(RISTEX) 2014-201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