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노인의 성공적 노화와 영향을 미치는 요인: 가족지지를 중심으로
Successful Aging and the Influencing Factors in the Korean Elderly: Focused on Family Support 원문보기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ommunity health nursing, v.26 no.4, 2015년, pp.372 - 379  

한송이 (서울대학교 간호대학) ,  윤순녕 (서울대학교 간호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research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successful aging and identify factors influencing successful aging in the Korean elderly. Methods: The subjects were 4,507 elders and data were collected from the 4th Korean Longitudinal Study of Ageing in 2012.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freque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Rowe와 Kahn의 성공적 노화 개념을 바탕으로 우리나라 노인을 대상으로 시행한 대규모 자료인 고령화연구패널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성공적 노화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을 규명하고, 특히 서구와는 다른 우리나라의 문화에서 영향요인으로 파악된 가족지지[14,20]가 성공적 노화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확인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2012년 제 4차 고령화연구패널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Rowe와 Kahn의 모델을 바탕으로 한국 노인의 성공적 노화와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는 이차 자료분석 연구이다.
  • 본 연구는 Rowe와 Kahn의 성공적 노화 개념에 근거하여 한국 노인의 성공적 노화 정도를 파악하고 성공적 노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는 것이다.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노인인구가 급속하게 증가함에 따라 중요하게다루어지고 있는 개념인 성공적 노화를 우리나라 노인들은 어느 정도 경험하고 있는지 여부와 성공적 노화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을 파악하여 궁극적으로는 대상자들이 성공적 노화를 이룰 수 있도록 돕기 위해 수행되었다.
  • 본 연구는 한국 노인의 성공적 노화 정도와 영향요인을 파악하고자 2012년 제 4차 고령화연구패널조사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성공적 노화의 3가지 영역 중 낮은 질병과 장애 위험 영역, 신체적 ‧ 정신적 기능유지 영역은 성취 비율이 높은 반면, 삶에 대한 적극적 참여 영역은 다른 영역에 비해 성취 정도가 현저히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노인의 성공적 노화에는 성별, 연령, 주관적 경제상태, 주관적 건강상태, 가족지지, 특히 배우자와의 관계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Rowe와 Kahn은 성공적 노화의 구성 요소를 어떻게 정의하였나? Rowe와 Kahn은 맥아더 재단의 지원을 받아 다학제적 접근을 통해 다차원적 개념을 포함하는 성공적 노화 모델을 제시하였다. Rowe와Kahn은 성공적 노화의 구성 요소를 1)낮은 질병과 장애위험,2)높은 신체적 ‧ 정신적 기능유지, 3)삶에 대한 적극적인 참여로 정의하고, 이 세 가지 영역이 모두 충족되었을 때를 성공적노화로 보았다. 이 세 가지 영역은 위계순서가 있어 질병과 장애가 없으면 신체적 ‧ 정신적 기능을 높게 유지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삶에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다고 하였다[9].
성공적 노화란 무엇인가? 이런 사회적 인구변화에 따라 노년기를 질병, 쇠약과 같이 부정적으로 인식하던 시각에서 벗어나 긍정적으로 바라보는 성공적 노화의 개념이 중요하게 다루어지고 있다[3]. 성공적 노화는 단일 차원의 개념이 아닌 신체적, 사회적, 정신적, 영적 건강과 문화, 환경 등을 모두 포함하는 다차원적 개념으로[2,4] 1986년 미국노년학회에서 처음 소개된 이후[5] 많은 학자들이 이에 대한 개념을 연구하기 시작하였다[6-10]. 이 중 Rowe와 Kahn의 성공적 노화 개념은 많은 연구에서 인용되고 있는 대표적인 모델이라 할 수 있다[3].
우리나라 노인의 성공적 노화에 대한 인식을 잘 반영할 수 있는 합의된 개념 도출이 시급한 것으로 사료되는 이유는? 1%[4]인 연구와, 성공적 노화 점수가 중간 이상인 연구[13]에 비해서는 낮은 편이다. 이처럼 연구마다 성공적 노화의 비율이 다르게 나타나는 가장 큰 이유는 성공적 노화의 구성요소나 측정도구 등이합의되지 않고 연구자들마다 다양하게 사용하기 때문일 것이다. 따라서 우리나라 노인의 성공적 노화에 대한 인식을 잘 반영할 수 있는 합의된 개념 도출이 시급한 것으로 사료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Statistics Korea. 2014 social indicaters in Korea [Internet]. Seoul: Statistics Korea. 2015 [cited 2015 March 27]. Available from: http://kostat.go.kr/portal/korea/kor_nw/2/1/index.-board?bmoderead&aSeq334501 

  2. Kim DB. The study on the development of the Korean elderly's successful aging scale.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2008;60(1):211-231. 

  3. Araujo L, Ribeiro O, Teixeira L, Paul C. Successful aging at 100 years: The relevance of subjectivity and psychological resources. International Psychogeriatrics. 2015;24:1-10. 

  4. Cosco TD, Prina AM, Perales J, Stephan BC, Brayne C. Operational definitions of successful aging: A systematic review. International Psychogeriatrics. 2014;26(3):373-381. http://dx.doi.org/10.1017/S1041610213002287 

  5. Sohn ES. Development of scale on Selection, Optimization, Compensation (SOC) model as successful aging strategies of Korean elderly. Journal of the Korean Gerontological Society. 2011;31(2):381-400. 

  6. Baltes PB, Baltes MM. Successful aging: Perspectives from the behavioral sciences. New York: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0. 397 p. 

  7. Fisher BJ, Specht DK. Successful aging and creativity in later life. Journal of Aging Studies. 1999;13(4):457-472. 

  8. Flood M. A mid-range nursing theory of successful aging. Journal of Theory Construction & Testing. 2005;9(2):35-39. 

  9. Rowe JW, Kahn RL. Successful aging. The Gerontologist. 1997; 37(4):433-440. 

  10. Ryff CD. Beyond ponce de leon and life satisfaction: New directions in quest of successful ageing. International Journal of Behavioral Development. 1989;12(1):35-55. http://dx.doi.org/ 10.1177/016502548901200102 

  11. Kim KH, Kim JH. Influences of life satisfaction on successful aging -focusing on the elderly having partners. Korean Journal of Family Welfare. 2008;13(2):87-106. 

  12. Lee SJ, Song MS. Successful aging of Korean older adults based on Rowe and Kahn's model: A comparative study according to the use of community senior faciliti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15;45(2):231-239. http://dx.doi.org/10.4040/jkan.2015.45.2.231 

  13. Han SJ, Han JS, Moon YS. Factors influencing successful aging in elder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Adult Nursing. 2009;21(4):423-434. 

  14. Jeong YJ, Yu NY, Kim BA, Shin HJ, Chong YS. A meta-analysis on variables related with successful aging. Journal of the Korean Gerontological Society. 2014;34(4):781-797. 

  15. Young Y, Frick KD, Phelan EA. Can successful aging and chronic illness coexist in the same individual? A multidimensional concept of successful aging. Journal of the American Medical Directors Association. 2009;10(2):87-92. http://dx.doi.org/10.1016/j.jamda.2008.11.003 

  16. Depp CA, Jeste DV. Definitions and Predictors of Successful Aging: A Comprehensive Review of Larger Quantitative Studies. The American Journal of Geriatric Psychiatry. 2006;14 (1):6-20. 

  17. Shin YH, Lee HJ. Factors associated with successful aging of Korean older people living in a city. Journal of the Korean Gerontological Society. 2009;29(4):1327-1340. 

  18. Kim HS. An effect of elderly volunteer participation to a successful aging. Korean Association for Local Government and Administration Studies Research. 2013;27(2):419-442. 

  19. Sung HY, Cho HS. A study of successful aging model: Using the components of Rowe & Kahn. Journal of the Korean Gerontological Society. 2005;26(1):105-123. 

  20. An JS, Chong YS, Jeong YJ, Seo SG, Cooney TM. Critical aspirations from studies of successful aging. The Korean Journal of Developmental Psychology. 2011;24(3):35-54. 

  21. Kim EJ. Accessing factor structure and construct validity of the successful aging inventory.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13;43(4):568-578. http://dx.doi.org/10.4040/jkan.2013.43.4.568 

  22. Korea Employment Information Service. Korean longitudinal study of ageing [Internet]. Seoul: Korea Employment Information Service. 2012 [cited 2015 August 5]. Available from: http://survey.keis.or.kr/ENLCTGO01N.do?mnucdcfsaklosa1 

  23. Oh SE, Ko Y. Activities of daily living, depression, and selfrated health and related factors in Korean elderly: Focused on socioeconomic status and family support.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ommunity Health Nursing. 2015;26(2): 140-149. http://dx.doi.org/10.12799/jkachn.2015.26.2.140 

  24. Young Y, Fan M-Y, Parrish JM, Frick KD. Validation of a Novel Successful Aging Construct. Journal of the American Medical Directors Association. 2009;10(5):314-322. 

  25. Strawbridge WJ, Wallhagen MI, Cohen RD. Successful aging and well-being: Self-rated compared with Rowe and Kahn. Gerontologist. 2002;42(6):727-733. 

  26. Jung KH, Oh YH, Lee YK, Son CK, Park BM, Lee SY, et al. Research on actual conditions of elderly in 2011. Policy Report. Seoul: Ministry of Health & Welfare,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ail Affairs; 2012 April. Report No.: 11-1352000-000672-12. 

  27. Irwin M, Artin KH, Oxman MN. Screening for depression in the older adult: criterion validity of the 10-item Center for Epidemiological Studies Depression Scale (CES-D). Archives of internal medicine. 1999;159(15):1701-1704. 

  28. Chung SD, Koo MJ. Factors influencing depression: A comparison among babyboomers, the pre-elderly, and the elderly. Jounal of Welfare for the Aged. 2011;52:305-324. 

  29. Bae JM. An illustrated guide to medical statistics using SPSS. Seoul: Hannarae; 2012. 367 p. 

  30. Chang JY, Boo KC. Self-rated health status of Korean older people: An introduction for international comparative studies. Korea Journal of Population Studies. 2007;30(2):45-6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