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시각의 선택적 주의집중 분석을 위한 공간요소별 주시데이터 추출방법
Method Extracting Observation Data by Spatial Factor for Analysis of Selective Attention of Vision 원문보기

감성과학 = Science of emotion & sensibility, v.18 no.4, 2015년, pp.3 - 14  

김종하 (동양대학교 건축소방행정학과) ,  김주연 (숭실대학교 건축학부 실내건축전공)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지하철 입구 공공공간에서 피험자의 선택적 주의집중 분석을 위한 공간요소별 주시데이터 추출이다. 주시데이터의 추출방법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눈을 통해 획득되는 시각정보의 특성을 분석하는 과정에 중심와의 반경을 이용하여 주시범위를 설정하는 방식은 기존의 시지각 이론을 근간에 두면서 선택적 주의집중에 해당하는 주시데이터의 추출 결과를 객관화시킬 수 있는 방법을 정리했다. 둘째, 주시데이터 추출방법으로 기존에는 격자에 의한 빈도 분석이 주를 이루었는데 세부적 특성으로 공간정보를 분석함에 한계를 가지고 있었다. 이에 비해 선택적 주의집중 정도를 알 수 있는 주시데이터 추출방법은 공간에서 특정 요소에 시선이 얼마만큼 집중되는지를 분석해 낼 수 있었다. 선택적 주의집중을 통해 공간사용자의 주시특성을 분석하게 되면, 요소 맞춤형 주시데이터 추출이 가능하고, 이를 공간디자인이나 사인 배치에 활용하고 성과를 검증하는 것도 가능하다. 셋째, 공간요소에 대한 시간범위별 분석을 통해 특정 공간 요소를 주시한 데이터 특성을 시계열적으로 추적하여 정리하는 것이 가능했는데, 본 연구에서 대상으로 삼은 "해당 공간범위"의 결과를 보면, 남녀 모두 2분을 지난 시점에서 주의집중 정도가 급격히 떨어진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넷째, 주시 우위빈도를 통해 선택적 주의집중이 일어난 구역을 시간범위별로 분석하였는데, 성별에 따라 남자는 I시간범위(52.4 %), 여자는 IV시간범위(24.0 %)에서 강한 주시가 이루어진 특성이 있어, 성별 차이가 나타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즉, 성별에 따라 선택적 주의집중이 일어나는 시간범위가 서로 다르다는 것에서부터 성별 차이를 향후 피험자 특성으로 설정하여 실험하고 분석하는 것이 필요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has extracted observation data by spatial factor for the analysis of subjects' selective attention with the objects of public space at the entrance of subway stations. The methods extracting observation data can be summarized as the following. First, the frequency analysis by lattice was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기존의 주시특성 연구에서 분석에 사용되는 기법과 선택적 주의집중의 분석 필요성과 가능성을 기술한다.
  • 선택적 주의집중의 특성은 fMRI를 통한 뇌 자극과의 상호관련성을 분석함에 있어 중요한 실마리를 제공할 수 있으며, 향후 뉴로 디자인의 가능성을 확장시킴에 있어 유용한 분석기술로 자리 잡을 수 있을 것이다. 나아가 선택적 주의집중 분석을 위한 중심와 적용방법과 영상 데이터의 편집과 공간요소별 주시데이터 추출 방법을 명확히 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지하철 출입구 공간을 대상으로 피험자의 선택적 주의집중 분석을 위한 공간요소별 주시데이터 추출방법을 정리하였다. 공간의 특성에 따라 선택적 주의집중 요소는 달라질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선택을 받기 위한 요소가 의도적으로 공간에 배치되는 경우도 있는데, 선택적 주시데이터의 추출방법을 정리한 결과는 다음과 같이 몇 가지로 요약할 수 있다.
  • 사용자가 공간을 실제 접하는 환경에서의 감성을 측정할 수 있는 방법으로 시선추적과 fMRI를 이용한 뉴로 디자인(Neuro Design) 통합 모델이 필요하지만, 시선추적과 fMRI에서 획득된 데이터 상호의 어떤 특성들을 연계시켜 분석할 것인가에 대한 개별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연구에서는 시각의 선택적 주의집중 특성 분석을 위한 주시데이터 추출방법에 초점을 맞춰 연구를 진행하였다. 선택적 주의집중의 특성은 fMRI를 통한 뇌 자극과의 상호관련성을 분석함에 있어 중요한 실마리를 제공할 수 있으며, 향후 뉴로 디자인의 가능성을 확장시킴에 있어 유용한 분석기술로 자리 잡을 수 있을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인간의 눈이란? 인간의 눈은 공간에 대한 정보의 대부분을 획득하는 가장 중요한 감각기관인 동시에 공간의 질을 평가할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하는 기관이다. 눈을 통해 획득된 정보를 근거로 우리는 공간을 선택하고, 길 찾기를 하거나 구매활동 등을 하는데, 시각정보에는 다양한 행태를 촉진하는 매개체 역할도 담겨있다.
시선추적장치의 특성은? 그 중의 하나가 시선추적(eye tracking)장치이다. 이 장치를 이용하면 사람의 시선 움직임을 추적할 수 있는데, 관심을 가지고 바라보는 대상이 곧 그 사람의 생각이나 관심 정보라고 볼 경우, 그동안 추상적으로 측정하거나 판단했던 시지각 내용들 을 보다 정량적이면서 객관적인 방법으로 정확한 결과를 도출할 수 있다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시선 추적 장치를 사용하여 측정할 수 있는 것은? 시선 추적 장치를 사용하면, 사람이 어디를 먼저 보는지, 얼마나 빈번하게 보는지, 얼마나 오래 보는지, 어떠한 감정을 가지고 보고 있는지, 어디를 건너 뛰어 보고 있는지 등을 측정할 수 있다. 이러한 측정은 사후 설문조사와 같은 기존의 조사방법에서 발생할 수 있는 기억의 변형이나 왜곡에 영향을 받지 않기 때문에 더욱 신뢰할 수 있는 자료를 수집할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2)

  1. Berger, A. A. (2011). Seeing is believing: An Introduction to Visual Communication. 4th ed. Columbus: McGraw-Hill Education. 

  2. Choi, G. Y. & Kim, J. H. (2013). A study on visual perception characteristics of the space of cafe through tracing the observing intention. Journal of Koran Institute of Interior Design, 22(3), 91-99. 

  3. Kim, E. I., Jeong, S. G., Yun, J. B., & Shin, N. S. (2004). A study on the eye fixation of port landscape from main view points. Journal of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20(7), 191-198. 

  4. Kim, J. H. (2009). A study on the property of visual perception of interior space according to eye movement. Journal of Koran institute of interior design, 18(1), 35-42. 

  5. Kim, J. H. & Kim, J. H. (2012). The partitioning standard of observation scope for analysis of spatial image. Journal of Korean Society Basic Design & Art, 13(2), 159-168. 

  6. Kim, J. H. (2014), A study on features of conscious observation of space and search activities for information. Journal of Koran institute of interior design, 23(3), 117-124. 

  7. Kim, J. H. & Kim, J. Y. (2014). The feature of scanning path algorithm shown at natural visual search activities of space user. Korean Journal of the Science of Emotion & Sensibility, 17(2), 111-122. 

  8. Ko, Y. J., Lee, E. C., & Park, K. R. (2009). A study on Gaze Tracking Based on Pupil Movement, Corneal Specular Reflections and Kalman Filter. Journal of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16(3), 203- 214. 

  9. Lee, J. H. & Lee, K. P. (2010). The method for measuring the initial stage of emotion in use context. Korean Journal of the Science of Emotion & Sensibility, 13(1), 111-120. 

  10. Solso R. L. (1996). Cognition and the visual arts. Cambridge: The MIT Press. 

  11. Yeo, M. & Oh, S. E. (2013). Analysis of the fashion shops' images applying gaze frequency. Journal of Koran Institute of Interior Design, 22(6), 212-219. 

  12. Yoo, J. Y., Park, H. K., & Lim, C. J. (2011. A Study on the Basic Research of Eye Fixation in the Space of Exhibition at A Museum. Journal of Koran Institute of Interior Design, 20(2), 64-71.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