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등 수학 수업에서 설명식 쓰기 활동이 수학적 의사소통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s of Expository Writing on Mathematical Communication in Elementary Mathematics Classes 원문보기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 Journal of elementary mathematics education in Korea, v.19 no.3, 2015년, pp.435 - 455  

정다운 (서울휘경초등학교) ,  오영열 (서울교육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초등 수학 수업에서 설명식 쓰기 활동이 수학적 의사소통에 미치는 영향을 수준 변화와 특징을 중점으로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5학년을 대상으로 설명식 쓰기 활동의 수학 수업을 14차시 실시하였으며, 각각의 설명식 쓰기에 대해 개념 및 원리 설명식 쓰기 유형과 문제해결 설명식 쓰기 유형을 적용하였다. 수학적 의사소통 분석을 위해 수학적 의사소통을 수학적 언어의 정확성, 과정과 결과의 논리성, 내용 전개의 구체성, 독자 지향의 전달성의 네가지 범주로 분류하였다. 그 결과 설명식 수업이 진행될수록 네 가지 의사소통 범주 각각에 대해 개념 및 원리 설명식 쓰기 유형에 대한 수학적 의사소통은 크게 향상된 반면에 문제해결 과정 설명식 쓰기에 대한 의사소통의 수준은 중기에 낮아졌다가 후기에 다시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또한 수학적 의사소통의 특징으로 수학적 언어를 통한 지식의 견고화, 쓰기에 근거한 논리의 정교화, 결과에 도달하는 사고 과정의 가치화, 자기 자신과 독자에게 전달하는 내용의 명료화를 나타내었다. 이에 본 연구 결과는 수학 수업에서 설명식 쓰기 활동이 수학적 의사소통 및 수학적 사고의 과정에 유의미한 지도 방안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s aimed at analyzing the level change and features of mathematical communication in elementary students' expository writing. 20 students of 5th graders of elementary school in Seoul were given expository writing activity for 14 lessons and their worksheets was analyzed through four categ...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우리나라 수학교육에서 수학적 의사소통을 강조하는 부분은 어디에 나타나 있는가? 또한 CCSSM(Common Core State Standards for Mathematics, 2010)에서 수학 학습의 방법적 규준으로써 제시한 여덟 가지 “수학적 실천” 과제 가운데 세 번째 규준인 “실행 가능한 주장을 구성하고 다른 사람의 추론 비판하기”와 여섯 번째 규준인 “정확성에 주의를 기울이기”는 수학적 의사소통과 밀접히 관련지을 수 있다. 우리나라 수학교육에서도 역시 수학적 의사소통을 강조하고 있는데, 이는 2009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에서 다양한 현상을 수학과 연결하고 다양한 상황에서 발생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요구되는 수학적 능력으로 문제해결, 의사소통, 추론 능력을 포함하는 “수학적 과정(mathematical process)"을 강조하고 있는데서 잘 나타나 있다(교육과학기술부, 2011).
수학 수업을 위한 규준 6가지는 무엇인가? NCTM(1989, 1991, 2000), CCSSM(2010), 그리고 2009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에서는 수학 수업에서 수학적 의사소통과 함께 담화(discourse)를 함께 중요시하고 있다(교육과학기술부, 2011). NCTM(1991)에서는 “수학 수업을 위한 규준”으로 여섯 가지를 제시한 바 있는데, 여기에는 가치 있는 수학적 과제, 담화에서의 교사의 역할, 담화에서의 학생의 역할, 담화 증진을 위한 도구, 학습 환경, 그리고 교수·학습의 분석을 포함한다. 이와 같이 여섯 가지 규준 가운데 담화는 수학 수업에서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함을 알 수 있다.
미래 사회를 대비하기 위해 NCTM에서는 '학교수학을 위한 교육과정과 평가 규준'에서 무엇을 포함하였는가? 미래 사회는 정보를 수집하고 분석, 조직, 종합하여 정선된 정보를 얻고 자신의 정보를 다른 사람들과 어떻게 공유하고 활용하여 발전시키느냐에 따라 정보의 가치가 결정된다. 이러한 시대적 흐름을 반영하여 NCTM(1989, 2000)에서는 수학교육의 내용과 방법 면에서 의사소통을 꾸준히 강조해 왔으며, 이는 1989년 출판된 “학교수학을 위한 교육과정과 평가 규준”에서 제시한 5가지 주요 목표 중 하나로 수학적 의사소통을 포함하였으며, 이어서 2000년에 출판한 “학교수학을 위한 원리와 규준”에서도 수학 내용을 획득하고 활용하기 위한 주요한 방법으로써 의사소통을 강조하였다. 또한 CCSSM(Common Core State Standards for Mathematics, 2010)에서 수학 학습의 방법적 규준으로써 제시한 여덟 가지 “수학적 실천” 과제 가운데 세 번째 규준인 “실행 가능한 주장을 구성하고 다른 사람의 추론 비판하기”와 여섯 번째 규준인 “정확성에 주의를 기울이기”는 수학적 의사소통과 밀접히 관련지을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2)

  1. 교육과학기술부 (2011). 교육과학기술부 고시 제 2011-361호에 따른 수학과 교육과정 해설. 서울: 교육과학기술부. 

  2. 교육인적자원부 (2006). 수학과 교육과정 교육인적자원부 고시 제2006-75호 수정 고시에 따른 보도자료. 교육인적자원부. 

  3. 교육인적자원부 (2007). 수학과 교육과정 해설. 교육인적자원부. 

  4. 교육부 (2014). 초등학교 교사용 지도서 수학 5-2. 서울: 천재교육. 

  5. 강문희 (1999). 수학 학습에 있어서 쓰기 활동이 수학 학습 태도 및 학업 성취에 미치는 효과.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6. 김민주, 권오남 (2006). 사회적 상호작용 중심의 탐구지향학습에서 나타나는 학생들의 논증과 수학적 정당화. 교육학연구, 44(1), 247-275. 

  7. 김보영 (2003). 초등수학에서의 쓰기 활동이 개념의 이해 및 의사소통의 쓰기 능력에 미치는 효과.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8. 김용익 (1999). 수학 교육에서의 쓰기(writing)의 활용 방향. 대한수학교육학회지, 1(2), 589-603. 

  9. 김효선, 오영열 (2014). 서술형 수학 쓰기 수업이 초등학생의 문제해결력 및 수학적 성향에 미치는 효과. 수학교육논문집, 28(1), 131-154. 

  10. 박윤정 (2008). 수학적 의사소통으로서의 쓰기활동이 고등학교 학생들의 수학 학습에 미치는 효과. 수학교육, 47(1), 27-47. 

  11. 신성기 (2009). 초등학교 6학년 학생들의 수학적 의사소통 수준.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2. 우정호, 박교식, 강문봉 (2006). 초등수학교육연구. 서울: 경문사. 

  13. 윤정민 (2005). 상호교류적 쓰기-반성 활동이 수학 학습에 미치는 영향: 초등학교 2학년을 대상으로. 서울교육대학 석사학위논문, 

  14. 이종희, 김선희 (1998). 수학 교수 학습에서의 의사소통에 관한 연구. 대한수학교육학연구, 8(2), 691-708. 

  15. 이종희, 김선희, 채미애 (2001). 수학적 의사소통 능력의 평가 기준 개발. 수학교육학연구, 11(1), 207-221. 

  16. Bell, E. S., & Bell, R. N. (1985). Writing and mathematical problem solving: arguments in favor of synthesis. School science and mathematics, 85(3), 210-221. 

  17. Cai, J., Lane, S., & Jakabcsin, M. S. (1996). The role of open-ended tasks and holistic scoring rubrics: Assessing students' mathematical reasoning and communication. Communication in mathematics, K-12 and beyond, 137-145. 

  18. Common Core State Standards Initiative(2010). Common Core State Standards for Mathematics(CCSSM). http://www.corestandards.org/assets/CCSSI_Math%20Standards.pdf에서 2014년 3월 10일 인출. 

  19. Cobb, P., & Bauersfeld, H. (1995). The emergence of mathematical meaning: Interaction in classroom cultures (Eds.). Hillsdale, NJ: Lawrence Erlbaum Associates. 

  20. Creswell, J. W., & Clark, V. L. (2011). Designing and conducting mixed methods research (2nd). Thousand Oaks, CA: Sage Publications, Inc. 

  21. Davison, D. M. & Pearce, D. L. (1988). Using writing activities to reinforce mathematics instruction. Arithmetic Teacher, 35, 42-45. 

  22. Dunham, R. B. (1984). Organizational behavior: People and process in management. Homewood, III. Illinois: Irwin. 

  23. Mason, J. (1996). Qualitative researching. 김두섭 (역) (1999). 질적 연구방법론. 서울: 나남출판. 

  24. Miller, L. D. (1991). Writing to learn mathematics. Mathematics Teacher, 84(7), 516-521. 

  25. National Council of Teachers of Mathematics (1989). Curriculum and evaluation standards for school mathematics. Reston, VA: Author. 

  26. National Council of Teachers of Mathematics (1991). Professional standards for teaching mathematics. Reston, VA: Author. 

  27. National Council of Teachers of Mathematics (2000). Principles and standards for school mathematics. Reston, VA: Author. 

  28. National Council of Teachers of Mathematics (2006). Curriculum focal points for prekindergarten through grade 8 mathematics: A quest for coherence. Reston, VA: Author. 

  29. Shield, M., & Galbraith, P. (1998). The analysis of student expository writing in mathematics. Educational Studies in Mathematics, 36(1), 29-52. 

  30. Stecher, B. M., & Mitchell, K. J. (1995). Portfolio-driven reform: vermont teachers' understanding of mathematical problem solving and related changes in classroom practice. Los Angeles, CA: CRESST. 

  31. Van Eemeren, F. H., Grootendorst, R., Johnson, R. H., Plantin, C., & Willard, C. A. (1996). Fundamentals of argumentation theory: A handbook of historical backgrounds and contemporary developments. Mahwah, NJ: Lawrence Erlbaum. 

  32. Yackel, E. (2004). Theoretical perspectives for analyzing explanation, justification and argumentation in mathematics classrooms. 수학교육연구, 8(1), 1-18.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