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등학교 교사의 수학교수불안(數學敎授不安) 측정 도구 개발 연구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eaching Mathematics Anxiety Scale for Elementary Teachers 원문보기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 Journal of elementary mathematics education in Korea, v.19 no.4, 2015년, pp.649 - 666  

김리나 (서울목운초등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문헌 연구 및 초등학교 교사를 대상으로 한 설문의 통계적 검증 절차를 기반으로 하여 초등학교 교사의 수학교수불안(數學敎授不安) 측정 도구를 개발하였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신뢰도 검증을 위해 주성분분석(Principal Components Analysis)을 이용하여 설문 문항 간 유기성을 검증하였으며, 타당도 검증을 위해서 수학 교수 효능감 도구의 적용 결과와 비교 분석을 실시하였다. 문헌 연구를 기반으로 개발된 문항들의 신뢰도와 타당도에 대한 통계적 검증 절차를 통해, 본 연구에서는 21문항으로 구성된 초등학교 교사의 수학교수불안 측정 도구를 개발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d validate a teaching mathematics anxiety scale for elementary teachers in South Korea. The sample consisted of 150 elementary teachers in 22 elementary schools in Seoul. A total of 21 items were developed and examined for the internal consistence. The resu...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초등학교 교사의 수학교수불안을 이해하기 위한 다각도의 노력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교사의 수학교수불안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고 후속 연구에 대한 초석을 다지기 위해 문헌연구 및 초등학교 교사들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분석을 통해 초등학교 교사의 수학교수불안을 측정할 수 있는 도구를 개발하였다.
  • 초등학교 교사의 수학교수불안 측정 도구를 개발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수학교수불안을 가지고 있는 교사들의 특징에 대한 문헌연구를 실시하였다. Bursal 외(2006)에 따르면, 높은 수학교수불안을 가지고 있는 교사들은 수학 수업을 하기 싫어하며, 수학 수업을 하는데 있어 자신감이 낮을 뿐 아닐, 수학 수업의 효과성 역시 낮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 학습자의 수학불안의 다양한 요인 중 하나가 교사의 수학교수불안이라는 점이 여러 연구자에 의해 지속적으로 주장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예: Burns, 1998; Jones, 2001), 아직 국내 교사들의 수학교수불안에 대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특히, 교사들의 수학교수불안에 대한 대규모의 조사를 위해서 수학교수불안을 측정할 수 있는 도구의 개발이 시급하다는 문제점에 주목, 본 연구에서는 교사들의 수학교수불안을 측정할 수 있는 도구를 개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수학교수불안을 가진 초등학교 교사의 특징은? 이러한 논의들을 종합해보면, 수학교수불안을 가진 초등학교 교사의 특징은 크게 세 가지로 구분될 수 있다. 우선 수학 및 수학 수업에 대한 선호도가 낮으며(예: Bursal 외, 2006; Post, 1992; Cruikshan 외, 1992), 수학 및 수학 수업에 있어 자신감이 결여되어 있고(예: Swars 외, 2006; Post, 1992), 효율적인 수학 수업을 진행하지 못한다는 점(예: Cruikshan 외, 1992)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 세 가지 측면을 기반으로 설문문항을 설계하였다.
주성분분석이란? 본 연구에서는 본 연구에서 개발한 초등학교 교사들의 수학교수불안 측정도구의 요인구조를 결정하기 위해 주성분분석(Principal Components Analysis)을 실시하였다. 주성분분석은 많은 변수 사이의 상관관계에 대한 패턴을 간결하게 나타내어, 변수의 분산을 가장 잘 반영한 축을 찾아내는 방법이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앞서 초기 설문 문항 개발 시 고려한 수학교수불안의 세 가지 측면, 즉, 수학 및 수학 수업에 대한 선호도, 수학 및 수학 수업에 대한 자신감, 효율적 수학 수업의 진행 여부에 따라 각각의 하위 범주들에 대한 요인 구조 분석을 진행하였다.
수학불안이란? 수학불안이란 수학 문제를 풀도록 요구받았을 때 나타나는 당혹스러운 느낌, 혼란스러운 감정을 지칭한다(Tobias, & Weissbrod, 1980). 수학불안을 가지고 있는 학생들은 수학 학습 참여도가 저조하거나 수학 학습 성취도가 낮게 나오는 특성을 나타내므로, 교사들은 수학 교수 활동 중 학생들의 수학불안 증세를 예방 또는 최소화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한다(Jackson, & Leffingwell, 1999; 김연경, 오영열, 2014; 김은정, 강흥규, 201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강흥규 (2014). 초등수학에서 '나눗셈으로서의 분수(b $\div$ ab/a) 개념 지도에 관한 연구-한국의 역대 초등수학 교과서에 대한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18(3), 425-539. 

  2. 고호경, 이현숙 (2015). 중.고등학생의 배경 변인에 따른 요인별 수학 불안의 차이. 한국학교수학학회논문집, 15(3), 487-509. 

  3. 교육부 (2015). 교육통계. 서울: 대한민국, 교육부. 

  4. 김리나 (2015). 초등학생의 수학불안 요인 분석 연구. 한국초등교육, 26(1), 83-92. 

  5. 김명숙, 임신일, 김세영 (2011). 고등학생 수학불안 척도의 개발 및 타당화 연구. 한국교육심리학회, 25(4), 717-737. 

  6. 김연경, 오영열 (2014). 클립형 콘텐츠를 활용한 수학 수업이 초등학생의 수학 학습에 미치는 영향.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18(2), 357-377. 

  7. 김은정, 강흥규 (2014). 초등수학에서 측정활동에 기반한 소수의 학습 지도 방안 및 학생의 이해 실태 분석.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18(1)., 37-62. 

  8. 윤락경, 전인호 (2010). 수학불안 감소를 위한 수학 친화적 활동 프로그램 개발.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14(3). 583-613. 

  9. Bates, A. B., Latham, N. I., & Kim, J. (2013). Do I have to teach math? Early Childhood preservice teachers' fears or teaching mathematics. Issues in Undergraduate Mathematics Preparation of School Teachers: The Journal, 5(August). 

  10. Burns, M. (1998). Math: Facing an American phobia. Sausality, CA: Math Solutions Publication. 

  11. Bursal, M., & Panznokas, L. (2006). Mathematics anxiety and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confidence to teach mathematics and science, School Science and Mathematics, 106, 173-179. 

  12. Cruikshank, D. E., & Sheffield, L. J. (1992). Teaching and learning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mathematics. Columbus, OH: Merrill. 

  13. Delaney, S., Ball, H. C., Hill, S. G., Schilling, S., & Zopf, D. (2008). Mathematics knowledge for teaching: Adapting U.S. measures for use in Ireland. Journal of Mathematics Teacher Education, 11(3), 171-197. 

  14. De Mesquita, P. B., & Drake, J. (1994). Educational reforms and the self-efficacy beliefs of teachers implementing nongraded primary school programs. Teaching and Teacher Education, 10(3), 291-302. 

  15. Enochs, L. G., & Huinker, P. D. (2014). Establishing factorial validity of the mathematics teaching efficacy beliefs instrument, School Science and Mathematics, 100(4), 194-202. 

  16. Haycock, K. (2001). Closing the achievement gap, Educational Leadership, 58(6), 6-11. 

  17. Hill, H. C. (2008). Mathematics Knowledge for teaching and the mathematical quality of instruction: An exploratory study. Cognition and Instruction, 430-511. 

  18. Jackson, C., & Leffingwell, R. (1999). The role of instructors in creating math anxiety in sttudents from kindergarten through college. Mathematics Teacher, 92, 583-587. 

  19. Jones, W. (2001). Applying the psychology to the teaching of basic math: A case study, Inquiry, 6(2), 60-65. 

  20. Kaiser, H. F. (1970). A second generation Little Jiffy, Psychometrika, 35, 401-415. 

  21. Kelly, K., Clark, B., Brown, V., & Sitzia, J. (2003). Good practice in the conduct and reproting of survey research, International Journal for Quality in Health Care, 15, 261-266. 

  22. Konstantopoulos, S. (2011). Teacher effects in early grades: Evidence from a randomized study. Teacher College Record, 113. 

  23. Levine, G. (1993). Closing the gender gap: Focus on mathematics anxiety, Contemporary Education, 67(1), 42-45. 

  24. Levine, G. (1996). Variability in anxiety for teaching mathematics among pre-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enrolled in a mathematics course. Paper presented at the Annual Meeting of the American Educational Research Association, April 12, 1996, New York, NY. (ERIC Document Reproduction Service No. ED 398 067). 

  25. Liu, F. (2005). U.S. and Chinese teachers' constructing, knowing, and evaluating representations to teach mathematics, Education, 7(2), 135-169. 

  26. Peker, M. (2006). Matematik ogretmeye yonelik kaygi olceginin gelistirilmesi, Egitim Bilimleri ve Uygulama, 9, 73-92. 

  27. Post, T. R. (1992). Teaching mathematics in grades K-8. Boston: Allyn & Bacon. 

  28. Swars, S., Daane, C., & Giesen, J. (2006). Mathematics anxiety and mathematics teacher efficacy: What is the relationship in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 School Science and Mathematics, 106, 306-315. 

  29. Tobias, S. (1978). Overcoming math anxiety. New York: Norton. 

  30. Tobias, S., & Weissbrod. C. (1980). Anxiety and Mathematics: An update. Harvard Educational Review, 50, 63-70. 

  31. Wilson, S. (2013). Maure age pre-service teachers' mathematics anxiety and factors impacting on university retention. In V. Steinle, L. Ball & C. Bardini (Eds.), Mathematics Education: Yesterday, today and tomorrow. Proceedings of the 36th annual conference of the Matheamtics Education Research Group of Australasia, (pp.666-673). Melbourne, VIC: MERGA,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