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당알코올로 코팅한 껌의 제조특성과 색택변화에 관한 연구
Manufacturing Characteristics and Its Color Change of Chewing Gum coated Various Polyols 원문보기

Culinary science & hospitality research = 한국조리학회지, v.21 no.6 = no.75, 2015년, pp.303 - 311  

이수한 (을지대학교 식품산업외식학과) ,  이종록 (을지대학교 식품산업외식학과) ,  김정환 (을지대학교 식품산업외식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무설탕 원료로서 xylitol, maltitol, isomalt, erythritol 및 sorbitol을 껌의 코팅 재료로 사용하여 코팅 공정 중 제조특성과 외관을 비교하였고, 코팅 후 표면 균일성, 색택 변화, 코팅시간, 건조시간 등을 비교하였을 때 maltitol이 가장 우수하였으며, erythritol과 sorbitol은 코팅품질과 코팅시간이 길어지는 등의 생산성과 품질면에서 껌의 코팅 소재로는 부적합하였다. 이에 maltitol, xylitol 및 isomalt로 코팅한 껌을 고온 저장하면서 코팅층의 색택 변화를 분석한 결과, maltitol 코팅껌의 경우 $80^{\circ}C$, 1일간 저장시 ${\Delta}E$값은 2.88로 상온보관 시료와 비교하여 색상의 변화가 비교적 작았으나, xylitol과 isomalt 코팅껌은 색상의 변화가 크게 나타났다. 또한, maltitol 코팅껌을 polypropylene 포장재에 넣고 저장 중 색택의 변화를 관찰한 결과, $40^{\circ}C$이하에서는 색택의 변화가 적었으며, $60^{\circ}C$에서도 30일간 저장시 색차는 3 이하로 나타나 유통과정 상 품질의 변화가 적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그러나 본 실험은 색상변화로만 저장 중 변화를 평가하였던 바, 향후 당알코올류를 코팅제로 사용한 코팅껌의 저장 중 품질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valuate the possibility of polyols for coating material of chewing gum. Five polyols xylitol, maltitol, isomalt, erythritol, and sorbitol were compared the coating quality, coating and drying time, and color differences. Maltitol was evaluated to be the best quality f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xylitol, maltitol, isomalt, erythritol 및 sorbitol을 코팅 소재로 만든 껌의 저장 중 coating 표면의 색택변화를 측정함으로써 코팅껌에서의 당알코올류의 적용 가능성을 검토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 근래에는 껌의 형태도 일반 판검(stick gum)형태에서 코팅껌(coating gum)으로 다양화 되고 있어, 당알코올류을 코팅재료로 이용하는 코팅껌의 제조에 관한 연구가 보고되어 있다(Boutin RF 1992). 이에 본 연구는 polyol 5종을 sugarless gum코팅 소재로 적용하여 제조하였으며, 고온조건에서 저장하면서 coating gum의 색택변화를 측정함으로써 코팅껌에서의 당알코올류의 적용 가능성을 검토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껌의 효능은? 껌은 다양한 효능을 갖는데, 기억력과 지각 속도 등 뇌의 인지능력을 향상시키며(Onyper SV et al 2011), 입냄새를 치료한다(Deshpande A & Jadad AR 2008). 또한, 침의 분비를 촉진하여 소화기능을 강화시키며(Emsley J 2004), 신진대사를 촉진시켜 주는데, parotin이라는 귀밑샘에서 분비 되는 hormone은 치아, 뼈, 근육 등을 강화시키며 (Dodds MW et al 1991), 치아표면 청정과 침의 분 비를 촉진시키고 pH를 높여 입냄새를 제거한다 (Dong C & Macpherson LMD 1995). 그 밖에 긴장 완화, 저작운동을 통한 뇌세포의 발달 촉진과 지각신경을 자극하여 졸음을 방지하는 등의 다양한 효능을 가지고 있다(Wilkinson L et al 2002).
온도변화가 껌의 질감과 탄성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이유는? 2 수준이며, 껌베이스 20~25%, 감미료 70~75% 및 향료 1~6%의 조성으로 배합되는데(WeltiChanes J et al 2008), 이중 껌베이스는 껌의 탄성과 연도 등 조직감에 영향을 미친다(Douglas F 2008; Gary R 2005). 껌의 제조에 있어서 중요 인자는 껌베이스의 처리온도와 습도 및 건조열풍의 속도인데, 높은 온도에서 껌베이스를 녹이고, 이를 다시 냉각하여 모양을 만들어 껌의 바람직한 특성을 갖도록 한다. 따라서 온도변화는 껌의 질감, 탄성에 중요한 역할을 하며, 특히 껌 베이스에 사용되는 여러 재료들에 의해 제조공정과 최종품질에도 영향을 받는다.
껌베이스가 영향을 미치는 곳은? 껌의 수분함량은 1% 이하, 수분활성도는 약 0.2 수준이며, 껌베이스 20~25%, 감미료 70~75% 및 향료 1~6%의 조성으로 배합되는데(WeltiChanes J et al 2008), 이중 껌베이스는 껌의 탄성과 연도 등 조직감에 영향을 미친다(Douglas F 2008; Gary R 2005). 껌의 제조에 있어서 중요 인자는 껌베이스의 처리온도와 습도 및 건조열풍의 속도인데, 높은 온도에서 껌베이스를 녹이고, 이를 다시 냉각하여 모양을 만들어 껌의 바람직한 특성을 갖도록 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An HL, Heo SJ, Lee KS (2010) Quality characteristics of muffins with xylitol. The Korean J Culinary Res 16:307-316. 

  2. Boutin RF (1992). Sugarless panning procedures and techniques. 46th PM Production Conference. 129-134. Hershey, PA, USA. 

  3. Brygidyr AM, Rzepecka MA, McConnell MB (1977). Characterization and drying of tomato paste foam by hot air and microwave energy. Canadian Inst Food Sci Technol J 10:313-319. 

  4. Chung WG, Lee JH (2010) Batter and product characteristics of sponge cake containing sugar alcohols. The Korean J Culinary Res 16:305-311. 

  5. Deshpande A, Jadad AR (2008). The impact of polyol-containing chewing gums on dental caries. J American Dental Association 139:1602-14. 

  6. Dodds MW, Hsieh SC, Johnson DA (1991). The effect of increased mastication by daily gumchewing on salivary gland output and dental plaque acidogenicity. J Dent Res 70:1474-1478. 

  7. Dong C, Macpherson LMD (1995). The effects of chewing frequency and duration of gum chewing on salivary flow rate and sucrose concentration. Archs Oral Biology 40:585-588. 

  8. Douglas F (2008). Formulation and Production of Chewing and Bubble Gum. 2nd. Loughton, Kennedys Book Ltd., 1-5, 104, 147, 253-270, 277-291. Essex, England. 

  9. Emsley, J (2004). Vanity, Vitality, and Virility. Oxford University Press. 189-97. New York, USA. 

  10. Flanyak J (1998). Panning technology: an overview. Manufact Confect 78(1):65. 

  11. Gary R (2005). Flavor Chemistry and Technology. CRC Press. 409-411. Boca Raton, USA. 

  12. Hartel RW (1995). Crystallization and drying during panning. Manufact Confect 7(2):51. 

  13. Isokangas P, Soderling E (2000). Occurrence of dental decay in children after maternal consumption of xylitol chewing gum, a follow-up from 0 to 5 years of age. J Dent Res 79: 1885-1889. 

  14. Jo EW, Kim HA, Kim YS (2015) Quality characteristics of JungKwa made with ginseng and the effects of different types of sweetners. The Korean J Culinary Res 21:248-258. 

  15. Kacena R (1997). Hard coat panning. Manufact Confect 77(10):41. 

  16. Machiulskiene V, Nyvad B, Baelum V (2001). Caries preventive effect of sugar-substituted chewing gum. Community Dentistry Oral Epidemiology 29:278-288. 

  17. Onyper SV, Carr TL, Farrar JS, Floyd BR (2011). Cognitive advantages of chewing gum. Now you see them, now you don't. Appetite 57: 321-328. 

  18. Welti-Chanes, J, Vergara-Balderas F, Perez E, Bermudez D, Valdez-Fragoso A, Mijica-Paz H (2008). Phase transitions and hygroscopicity in chewing gum manufacture. In: Food Engineering: Integrated Approaches. Gutierrez-Lopez GF, Welti-Chanes J, Parada-Arias E. (ed). 139-153. Springer, Pullman, Washington, USA. 

  19. Wilkinson L, Scholey A, Wesnes K (2002). Chewing gum selectively improves aspects of memory in healthy volunteers. Appetite 38:235-236. 

  20. Zumbe A, Lee A, Storey D (2001). Polyols in confectionery: the route to sugar-free, reduced sugar and reduced calorie confectionery. British J Nutrition 85:S31-4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