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DMZ의 축소된 공간 범위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Reduced Spatial Extent of DMZ 원문보기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Regional Geographers, v.21 no.2, 2015년, pp.355 - 363  

정규석 (녹색연합 자연생태국) ,  신현탁 (국립수목원 산림자원보존과) ,  김상준 (국립수목원 산림자원보존과) ,  안종빈 (국립수목원 산림자원보존과) ,  윤정원 (국립수목원 산림자원보존과) ,  권영한 (국립수목원 산림자원보존과) ,  허태임 (국립수목원 산림자원보존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정전협정으로 설치된 한반도 비무장지대(DMZ: Demilitarized Zone) 일대는 정치적 군사적 위상과 더불어 역사적 생태적 문화적으로 매우 중요한 지역으로 오늘날 국 내외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이에 따라 DMZ를 대상으로 한 다양한 연구들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는 현실이나, 정작 연구의 대상이 되는 DMZ 공간의 실제 범위에 대한 고민과 논의는 매우 미비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서쪽의 임진강 하구에서 동쪽의 고성군 명호리에 이르는 DMZ의 정확한 범위를 제시하고자 수행되었으며, 연구를 진행한 결과 DMZ의 면적은 약 $570km^2$로 기존에 알려진 $992km^2$에서 현재 43% 감소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편, 155마일로 대변되는 군사분계선(MDL: Military Demarcation Line) 길이의 경우 현 상황에서의 정확한 실측은 불가능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DMZ(Demilitarized Zone) created as part of the Armistice Agreement is important zone in the way that historic and eco-cultural value as well as military and political image of this are remarkable. Furthermore, the concern of DMZ has been rising at home and abroad. Even though various studies on thi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DMZ 접근의 한계를 극복한 현장조사를 통해 DMZ가 설정된 시점부터 60여 년이 지난 오늘에 이르기까지 기존에 시도된 바 없는 군사분계선의  위치를 확인하고, 남・북방 한계선 간의 실질적인 거리를 측정함으로써 DMZ 공간 범위의 구체적 면적을 제공하고자 수행되었다.
  • DMZ 출입이 매우 어려운 현실과 DMZ 공간 범위에 대한 정부나 국방부의 공식 자료의 부재는 DMZ 공간의 범위를 제각기 주장하는 혼돈을 야기해왔다. 이에 대하여 본 연구는 현장 조사를 통하여 구체적인 실측 자료를 제시하여 DMZ 축소의 역사와 현실을 고스란히 증명하고, DMZ 면적을 측정하여 축소된 면적을 비교하였음에 의의를 가진다. 비무장지대의 출입이 매우 제한적이라는 현실적인 제약 때문에 본 연구가 어느 정도 한계를 지니는 것도 사실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DMZ 설정의 목적은 무엇인가? ”라고 DMZ를 규정하였다. DMZ는 완충 지대를 통한 남・북 간 적대 행위의 재발방지라는 목적에 따라 임진강 강변에 세워진 군사분계선(MDL) 표식물 제0001호부터 시작하여 동해안의 표식물 제 1,292호까지 흑색 글씨에 황색 총 1,292개의 표식판(국토연구원, 2009)”을 잇는 군사분계선을 중심으로 2km 이북의 북방한계선과 2km 이남의 남방한계선을 사이에 둔 폭 4km의 공간으로 설정 되었다.
정전협정 제1조 제1항에서 규정한 DMZ는 무엇인가? 1953년 7월 27일 체결된 정전협정 제1조 제1항은 “한 개의 군사분계선(MDL)을 확정하고 쌍방이 이 선으로부터 각기 2km씩 후퇴함으로써 적대 군대 간에 한 개의 비무장지대를 설정한다.”라고 DMZ를 규정하였다. DMZ는 완충 지대를 통한 남・북 간 적대 행위의 재발방지라는 목적에 따라 임진강 강변에 세워진 군사분계선(MDL) 표식물 제0001호부터 시작하여 동해안의 표식물 제 1,292호까지 흑색 글씨에 황색 총 1,292개의 표식판(국토연구원, 2009)”을 잇는 군사분계선을 중심으로 2km 이북의 북방한계선과 2km 이남의 남방한계선을 사이에 둔 폭 4km의 공간으로 설정 되었다.
DMZ의 실질적인 면적 값을 계산한 결과, DMZ 공간 범위는 정전협정 당시와 비교해 현재 어떻게 달라졌는가? 한편 정전협정 당시 파주부터 고성까지 설치되었던 총 1,292개의 군사분계선 표지판을 모두 확인하는 것은 남한과 북한 서로가 각각의 한계선을 넘지 못하게 되어 있는 현 상황에서는 불가능하고, 명확한 경계선이 실재하지 않은 채 표지판으로 경계 지어진 군사분계선의 정확한 거리를 계산한다는 것 또한 현실적으로어렵다는 것을 판단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Google Earth Pro를 이용하여 DMZ의 실질적인 면적 값을 계산하였고, 그 결과 정전협정 당시의 규정에 따른 약 992km2에서 현재 약 570km2로 이는 과거에 비해 43% 정도 감소하였음을 밝힐 수 있었다. DMZ 출입이 매우 어려운 현실과 DMZ 공간 범위에 대한 정부나 국방부의 공식 자료의 부재는 DMZ 공간의 범위를 제각기 주장하는 혼돈을 야기해왔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