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inhibitory mechanism of the hypopigmentating effects on ethanol extract of Rosae rugosae Flos (ERR) that has not yet been examined. Methods : We analyzed the anti-melanogenic effects of ethanol extracts from Rosae rugosae Flos by tyrosinase activity, melanin c...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실험에서는 α-MSH로 멜라닌 생성을 유도한 후 매괴화 에탄올추출물이 멜라닌생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 하였다.
  • 멜라닌 합성과 관련된 신호전달 경로 중 MAPK는 MITF의 인산화에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본 실험에서는 매괴화 에탄올추출물이 MAPK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여 확인하였다. 실험 결과 α-MSH 단일처리군의 경우 ERK의 인산화가 억제되었고, p38과 JNK의 인산화가 유도 되었다.
  • 이에 저자는 미백 효과가 있다고 보고된 매괴화의 멜라닌 억제 기전을 규명하고자 α-MSH로 과색소침착을 유발한 후 매괴화 에탄올추출물에 대한 tyrosinase, TRP-1, TRP-2 등의 단백질 발현 양상을 확인하였다. 또한 멜라닌 형성 경로 중 하나인 MAPKs 경로를 조사하여 보고 하는 바이다.
  • 본 실험에서는 α-MSH로 인해 증가 되었던 멜라닌이 매괴화 에탄올추출물에 의해 ERK의 활성에 영향을 주어 tyroisnase 활성 조절에 관련이 있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ERK 억제제인 PD98059를 사용하여, tyrosinase 활성과 멜라닌 합성을 측정 하였다.
  • 이에 본 실험에서는 B16F10 세포의 세포수준에서 α-MSH 유도 후 매괴화 에탄올추출물에 의한 tyrosinase의 DOPA oxidase 활성에 미치는 영향과 tyrosinase의 활성 억제효과에 대하여 조사 하였다.
  • 이에 저자는 미백 효과가 있다고 보고된 매괴화의 멜라닌 억제 기전을 규명하고자 α-MSH로 과색소침착을 유발한 후 매괴화 에탄올추출물에 대한 tyrosinase, TRP-1, TRP-2 등의 단백질 발현 양상을 확인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매괴화의 주요성분으로는 무엇이 있나? 해당화의 꽃인 매괴화(玫瑰花)는 낙엽관목의 장미 과에 속하며, 성미(性味)는 감(甘), 미고(微苦), 온(溫), 무독(無毒)하며, 이기해울(理氣解鬱), 화혈산어(和血散瘀)의 효능이 있다. 주요성분으로는 유기산과 비타민 C, β-carotene 등이 풍부하며, phenol성 화합물로서 quercetin, tannin, rugosin A-G, strictinin, isostricitinin 등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16). 천연물을 이용한 미백연구를 살펴보면, 교맥, 감초, 사삼 등 식물의 추출물들이 멜라닌 합성을 억제한다고 보고 되어있다17-19).
표피에는 어떤 세포가 존재하는가? 따라서 건강한 피부, 백옥 같은 피부를 갖고자 하는 현대인들에게 미백에 대한 관심은 점점 증가하는 추세이다. 표피는 각질형성세포(Keratinocyte), 멜라닌세포 (Melanocyte), 랑게르한스세포(Langerhans cell), 머켈 세포(Merkel cell) 등 4가지 세포가 존재하며, 이 중 멜라닌세포는 멜라닌을 생성하여 피부색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1). 멜라닌은 아미노산인 tyrosin 을 기질로 하며 tyrosinase에 의해 3, 4-dihydroxy phenylalanine (DOPA)를 거쳐 DOPA quinone으로 전환되고 자동 산화반응과 효소반응으로 DOPA chrome을 거쳐 흑갈색의 공동합체인 멜라닌을 생성하게 된다2,3).
멜라닌의 생성과정은? 표피는 각질형성세포(Keratinocyte), 멜라닌세포 (Melanocyte), 랑게르한스세포(Langerhans cell), 머켈 세포(Merkel cell) 등 4가지 세포가 존재하며, 이 중 멜라닌세포는 멜라닌을 생성하여 피부색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1). 멜라닌은 아미노산인 tyrosin 을 기질로 하며 tyrosinase에 의해 3, 4-dihydroxy phenylalanine (DOPA)를 거쳐 DOPA quinone으로 전환되고 자동 산화반응과 효소반응으로 DOPA chrome을 거쳐 흑갈색의 공동합체인 멜라닌을 생성하게 된다2,3). 이러한 멜라닌 생성에 관련된 신호전달경로는 cyclic AMP/protenin kinase A (cAMP/PKA)경로를 비롯하여 diacylglycerol/protein kinase C (DAG/PKC) 경로와 Ras 활성에 의존적인 mitogen activated protein kinase (MAPK) 등의 경로가 존재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Kang TC, Go JS, Kwon OY, Gi YG, Kim KY. Human histology. Seoul. Ko Moon Sa. 2012;7:263. 

  2. Tsukamoto K, Jackson IJ, Urabe K, Montague PM, Hearing VJ. A second tyrosinase-related protein, TRP-2, is a melanogenic enzyme termed DOPAchrome tautomerase. The Journal of the European Molecular Biology Organization. 1992;11(2): 519-26. 

  3. Costin GE, Hearing VJ. Human skin pigmentation. melanocytes modulate skin color in response to stree. The Journal of the Federation of American Societies for Experimental Biology. 2007;21:976-94. 

  4. Kim, DS, Hwang ES, Lee JE, Kim SY, Kwon SB, Park KC. Sphingosine-1-phosphate decreases melanin synthesis via sustained ERK activation and subsequent MITF degradation. Journal of Cell Science. 2003;116:1699-706. 

  5. Hong WS. Jing Xiao Huang Di Ne Jjing Su Wen. Seoul. Oriental Medicine Institute Press. 1981:179. 

  6. Lu ying. Yi Xue Gang Mu. Seoul. Bu Bin Publishers Company. 2010:681-2, 509, 510. 

  7. Hua S. Zhong Hua Yi Shu Ji Cheng. Nan Jing Ben Yi. Beijing.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Ancient Publishing Company 1999;1(3):12. 

  8. Zhou ZH. Dan Xi Yi Ji. Beijing. People's Health publisher. 1995:1(2):511, 513. 

  9. Zhao Ji. Sheng Ji Zong Lu. Beijing. People's Health publisher. 1987:1763. 

  10. Zhou MS. Yi Xue Bao Jian. Seoul. Haeng Rim Seo Won. 1975:186-7. 

  11. Heo J. Dong Ui Bo Gam. Seoul. Han Mi Medical Publishing Co. 2001:268-9, 271. 

  12. Qi K. Wai Ke Da Cheng. Munkwang library Limited. 1968:218. 

  13. Chen SG. Wai Ke Zheng Zong. Beijing.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Ancient publishing company.1999;1:248. 

  14. Gu SC. Yang Yi Da Quan. Beijing. People's Health publisher. 1987:1:479-82. 

  15. Gynaecology Oriental Medicine Compilation Committee. Korean Medicine Gynecology & Obstetrics. Seoul. Jeong Dam. 2002:2(2):431. 

  16. Ju YS. Ungok Herbology. Jeonju. Woosuk Press. 2013;2(2):846-7. 

  17. Kim DS, No ST, Lee JC, Lim KS, Shin MR, Woo WH, Mun YJ. Inhibitory effect of the ethanol extract of fagopyrum escuentum on melanin synthesis. The Journal of Tradition Korean Medicne. 2006;15(1):70-6 

  18. Lee JS, Kim JA, Cho SH, Son AR, Jang TS, So MS, Chung SR, Lee SH. Tyrosinase Inhibitors isolated from the Roots of Glycyrrhiza glabra L. Korean Journal of Pharmacognosy. 2003;34(1):33-9. 

  19. Lim NY, Kwon KJ, Kim YS, Baek SG, Lim JR, Mun YJ, Woo WH. Inhibitory Effect of Methanolic Extract from Adenophorae Radix on Melanogenesis. Korean Journal of Oriental Physiology & Pathology. 2004;18(3):747-53. 

  20. Yu HS, Mun YJ, Woo WH, Song JH. Anti-Melanogenic Effects of Ethanol Extracts from Rosa rugosa Thunb. Department of Beauty Desing Graduate School of Wonkwang University. 2014;20(1):39-41. 

  21. Hwang JG, Yun JK, kim SK, Lee SH, Han KH. Mass Production of Chaff-vinegar and Its Effect of Anti-Aging and Whitening.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2012;40 (3):208-14. 

  22. Kim DS, Sung BG, Lee JC, Lee BK, Woo WH, Lim KS. Inhibitory Effect of Belamcandae Rhizoma on the Melanogenesis in MSH-stimulated B16F10 cells. J Korean Med Ophthalmol Otolaryngol Dermatol. 2011;24(1):25-35. 

  23. Provance DW, Jr, Wei M, Ipe V, Mercer JA. Cultured melanocytes from dilute mutant mice exhibit dendritic morphology and altered melanosome distribution. Proceedings of the National Academy Sciences of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1996;93:14554-8. 

  24. Bertolotto C, Busca' R, Abbe P, Bille K, Aberdam E, Ortonne JP, Ballotti R. Different cis-acting element are involved in the regulation of TRP1 and TRP2 promoter activities by cyclic AMP: pivotal role of M boxes (GTCATGTGCT) and of microphthalmia. Molecular and Cellular Biology. 1998;18: 694-702. 

  25. Hunt G, Todd C, Cresswell JE, Thody AJ. Alpha-melanocyte stimulating hormone and its analogue Nle4DPhe7 alpha-MSH affect morphology, tyrosinase activity and melanogenesis in cultured human melanocytes. Journal of Cell Science. 1994;107 (Pt 1):205-11. 

  26. Rodrigez-Lo'pez JN, Tudela J, Var'on R, Garci'a-Carmona F, Garcia-Ca'novas F. Analysis of a kinetic model for melanin biosynthesis pathway. The Journal of Biological Chemistry. 1992;267:3801-10. 

  27. Jang JY, Kim HN, Kim YR, Kim BY, Choi YH. Studies of Inhibitory Mechanism on Melanogenesis by Partially Purified Asiasari radix in α-MSH Stimulated B16F10 Melanoma Cells. Journal of Life Science. 2010;20(11);1617-24.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유발과제정보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