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메조포러스 이산화티타늄 박막 기반 양자점-감응 태양전지
Quantum Dot-Sensitized Solar Cells Based on Mesoporous TiO2 Thin Films 원문보기

전기화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Electrochemical Society, v.18 no.1, 2015년, pp.38 - 44  

이효중 (전북대학교 화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총설은 다공성의 메조포러스 이산화티타늄 박막을 기반으로 하는 양자점-감응 태양 전지의 최근 발전 과정에 대해 정리하였다. 나노스케일의 무기물 양자점이 가지는 본질적 특성에 기반하고 다양한 양자점 구성 물질을 이용하여, 용액-공정 기반의 다양한 3세대 박막 태양전지를 만들 수 있었다. 양자점 감응제는 준비하는 방법에 따라 크게 2가지로 나눌 수 있는데, 첫 번째는 콜로이드 형태로 용액상에서 준비한 다음 $TiO_2$ 표면에 붙이는 것이고 두 번째는 양자점 전구체가 녹아있는 화학조를 이용하여 직접 $TiO_2$ 표면에 성장시키는 것이다. 폴리썰파이드 전해질을 사용하여, 콜로이드 양자점 감응제의 경우는 최근 들어 정밀한 조성 조절을 통하여 전체 광전 변환효율이 ~7%에 이르렀고 화학조 침전법을 이용하여 준비된 대표적 감응제인 CdS/CdSe는 ~5%의 효율을 보이고 있다. 앞으로는 지금까지 보고된 양자점 감응제의 뛰어난 광전류 생성 능력을 유지하면서, 새로운 정공 전달체의 개발 및 계면 조절을 통한 개방 전압과 채움 상수의 개선을 통한 효율 증가 및 안정성에 관한 체계적 연구가 필요한 상황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review article summarizes the recent progress of quantum dot (QD)-sensitized solar cells based on mesoporous $TiO_2$ thin films. From the intrinsic characteristics of nanoscale inorganic QDs with various compositions, it was possible to construct a variety of 3rd-generation thin film...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제안 방법

  • 그룹과17) Lee와 그 동료들의 보고에 의하여28) 어느 정도 가능하게 되었다. 첫 번째 보고는 CdSe를 준비하는 기존의 CBD 법에서 양이온과 음이온 소스를 다른 화학조에 나눠 담은 다음에 SILAR 과정을 50도씨에서 약 60분씩 담구는 과정을 반복하였다. CdSe를 TiO2/CdS 위에 감응제로 준비하고 폴리썰파이드 전해질을 이용하여 테스트한 결과, 표준 광원 조건에서 ~4%가 넘는 고효율의 모델이 된 CdS/CdSe 양자점 복합체를 처음으로 보고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양자점을 고온 주입법을 통해 콜로이드 형태로 준비했을 때의 장점은? 양자점을 고온 주입법(hot-injection)을 통하여 콜로 이드 형태로 준비했을 때의 장점은, 결정성을 가지며 크기가 비교적 균일한 양자점을 조성 및 특성을 비교적 정확히 조절하여 대량으로 한번에 만들 수 있다는 것이다.5) 또한, 1990년대 양자점 관련 연구의 거의 대부분에서 콜로이드 형태의 양자점이 사용되었기 때문에 태양전지 연구에서도 처음에는 콜로이드로 준비된 양자점을 감응제로 사용하는 것이 선호되었다.
양자점은 어떤 특성 때문에 태양전지의 광감응제로 적용될 수 있을 것이라 여겨졌는가? 5) 이러한 양자점 기반 초기 응용 연구는 고효율의 발광 현상을 이용한 바이오 이미징,6) 레이저,7) 발광다이오드(LED)8) 등에 집중되었다. 한편, 양자점이 가지는 뛰어난 흡광 능력 및 밴드갭 조절 용이성은 태양전지 연구자들에게도 매우 매력적인 광감응제로 적용될 수 있으리라는 기대를 가지게 하였고, 1970-80년대의 PEC 셀 연구에서 사용된 벌크 반도체 감응 물질의 나노스케일 변형이라는 관점에서도 자연스러운 시대적 귀결성이 있어 보였다. 이러한 배경을 바탕으로, 콜로이드 양자점을 태양전지 연구에 있어서 새로운 감응제로 적용한 결과가 1998년 Nozik 그룹에 의해 발표되었다.
콜로이드 InP QD를 염료-감응 태양전지의 구조에서 염료 대신 사용한 실험에서 광전변환 효율이 별로였던 이유는? 1(a)), 기대와는 달리 광전변환 효율에 있어서 거의 효과 없는 결과를 보여주고 말았다. 조금 뒤에 이해하게 된 사실이지만 사용된 산화/환원 쌍인 I-/I-3이 InP QD을 부식시키는 특성이 있기 때문이었다. Fig.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4)

  1. P. V. Kamat, K. Tvrdy, D. R. Baker, and J. G. Radich, Chem. Rev., 110, 6664 (2010). 

  2. A. J. Bard, J. Phys. Chem., 86, 172 (1982). 

  3. M. Gratzel, Nature, 414, 338 (2001). 

  4. C. B. Murray, D. J. Norris, and M. G. Bawendi, J. Am. Chem. Soc., 115, 8706 (1993). 

  5. C. B. Murray, C. R. Kagan, and M. G. Bawendi, Annu. Rev. Mater. Sci. 30, 545 (2000). 

  6. B. A. Kairdolf, A. M. Smith, T. H. Stokes, M. D. Wang, A. N. Young, and S. Nie, Annu. Rev. Anal. Chem., 6, 143 (2013). 

  7. N. N. Ledentsov, Semicond. Sci. Technol., 26, 014001 (2011). 

  8. D. Bozyigit and V. Wood, MRS Bull., 38, 731 (2013). 

  9. A. Zaban, O. I. Micic, B. A. Gregg, and A. J. Nozik, Langmuir, 14, 3153 (1998). 

  10. W. Lee, J. Lee, S. Lee, W. Yi, S.-H. Han, and B. W. Cho, Appl. Phys. Lett., 92, 153510 (2008). 

  11. G. Hodes, J. Phys. Chem. C, 112, 17778 (2008). 

  12. A. Hagfeldt, G. Boschloo, L. C. Sun, L. Kloo, and H. Pettersson, Chem. Rev., 110, 6595 (2010). 

  13. H. Nusbaumer, S. M. Zakeeruddin, J.-E. Moser, and M. Gratzel, Chem. Eur. J., 9, 3756 (2003). 

  14. P. Yu, K. Zhu, A. G. Norman, S. Ferrere, A. J. Frank, and A. J. Nozik, J. Phys. Chem. B, 110, 25451 (2006). 

  15. H. J. Lee, J. H. Yum, H. C. Leventis, S. M. Zakeeruddin, S. A. Haque, P. Chen, S. I. Seok, M. Grazel, and M. K. Nazeeruddin, J. Phys. Chem. C, 112, 11600 (2008). 

  16. V. Chakrapani, D. Baker, and P. V. Kamat, J. Am. Chem. Soc., 133, 9607 (2011). 

  17. Y. L. Lee and Y. S. Lo, Adv. Funct. Mater., 19, 604 (2009). 

  18. Z. Pan, H. Zhang, K. Cheng, Y. Hou, J. Hua, and X. Zhong, ACS Nano, 6, 3982 (2012). 

  19. H. McDaniel, N. Fuke, N. S. Makarov, J. M. Pietryga, and V. I. Klimov, Nat. Comm., 4, 2887 (2013). 

  20. Z. Pan, K. Zhao, J. Wang, H. Zhang, Y. Feng, and X. Zhong, ACS Nano, 7, 5215 (2013). 

  21. J. Wang, I. Mora-Sero, Z. Pan, K. Zhao, H. Zhang, Y. Feng, G. Yang, X. Zhong, and J. Bisquert, J. Am. Chem. Soc., 135, 15913 (2013). 

  22. Z. Pan, I. Mora-Sero, Q. Shen, H. Zhang, Y. Li, K. Zhao, J. Wang, X. Zhong, and J. Bisquert, J. Am. Chem. Soc., 136, 9203 (2014). 

  23. S. Jiao, Q. Shen, I. Mora-Sero, J. Wang, Z. Pan, K. Zhao, Y. Kuga, X. Zhong, and J. Bisquert, ACS Nano, 9, 908 (2015). 

  24. O. Niitsoo, S. K. Sarkar, C. Pejoux, S. Ruhle, D. Cahen, and G. Hodes, J. Photochem. Photobiol. A, 181, 306 (2006). 

  25. H. M. Pathan and C. D. Lokhande, Bull. Mater. Sci., 27, 85 (2004). 

  26. R. Plass, S. Pelet, J. Krueger, M. Gratzel, and U. Bach, J. Phys. Chem. B, 106, 7578 (2002). 

  27. H. J. Lee, P. Chen, S.-J. Moon, S. Frederic, K. Sivula, T. Bessho, D. R. Gamelin, P. Comte, S. M. Zakeeruddin, S. I. Seok, M. Gratzel, and Md. K. Nazeeruddin, Langmuir, 25, 7602 (2009). 

  28. H. Lee, M. K. Wang, P. Chen, D. R. Gamelin, S. M. Zakeeruddin, M. Gratzel, and M. K. Nazeeruddin, Nano Lett., 9, 4221 (2009). 

  29. J. H. Bang and P. V. Kamat, ACS Nano, 3, 1467 (2009). 

  30. H. J. Lee, J. Bang, J. Park, S. Kim, and S.-M. Park, Chem. Mater., 22, 5636 (2010). 

  31. J. G. Radich, R. Dwyer, and P. V. Kamat, J. Phys. Chem. Lett., 2, 2453 (2011). 

  32. C. S. Kim, S. H. Choi, and J. H.Bang, ACS Appl. Mater. Interfaces., 6, 22078 (2014). 

  33. S.-Y. Lee, M.-A. Park, J.-H. Kim, H. Kim, C.-J. Choi, D.-K. Lee, and K.-S. Ahn, J. Electrochem. Soc. 160, H847 (2013). 

  34. M. Deng, Q. Zhang, S. Huang, D. Li, Y. Luo, Q. Shen, T. Toyoda, and Q. Meng, Nanoscale Res. Lett., 5, 986 (2010). 

  35. H. J. Lee, H. C. Leventis, S.-J. Moon, P. Chen, S. Ito, S. A. Haque, T. Torres, F. Nuesch, T. Geiger, S. M. Zakeeruddin, M. Grtzel, and Md. K. Nazeeruddin, Adv. Funct. Mater., 19, 2735 (2009). 

  36. Y. C. Choi, T. N. Mandal, W. S. Yang, Y. H. Lee, S. H. Im, J. H. Noh, and S. I. Seok, Angew. Chem. Int. Ed., 53, 1329 (2014). 

  37. Y. C. Choi, Y. H. Lee, S. H. Im , J. H. Noh, T. N. Mandal, W. S. Yang , and S. I. Seok, Adv. Energy Mater., 4, 1301680 (2014). 

  38. Y. C. Choi, D. U. Lee, J. H. Noh, E. K. Kim, and S. I. Seok, Adv. Funct. Mater., 24, 3587 (2014). 

  39. S. Ito, K. Tsujimoto, D.-C. Nguyen, K. Manabe, and H. Nishino, Int. J. of Hydrogen Energy, 38, 16749 (2013). 

  40. I. J. Kramer and E. H. Sargent, ACS Nano, 5, 8506 (2011). 

  41. Y. Zhou, M. Eck, and M. Kruger, Energy Environ. Sci., 3, 1851 (2010). 

  42. P. V. Kamat, J. Phys. Chem. C, 112, 18737 (2008). 

  43. J. H. Rhee, C.-C. Chung, and W.-G. Diau, NPG Asia Mater., 5, e68 (2013). 

  44. I. Hod and A. Zaban, Langmuir, 30, 7264 (201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