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응급실에서 소아외상환자의 치과적 처치를 위한 케타민 진정법의 사용 현황
Use of Ketamine Hydrochloride for Pediatric Dental Patient at General Hospital 원문보기

大韓小兒齒科學會誌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pediatric dentistry, v.42 no.1, 2015년, pp.38 - 44  

차윤선 (연세대학교 원주 세브란스 기독병원 소아치과) ,  김지훈 (연세대학교 원주 세브란스 기독병원 소아치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어린이는 쉽게 넘어지거나 부딪혀 구강안면부의 손상을 흔히 경험하며, 응급치료를 필요로 한다. 이러한 환자들에서는 공포와 불안으로 인해 협조도가 불량해지게 된다. 케타민은 일반 응급실에서 어린 환자의 치료와 검사를 위한 진정제로 잘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원주 세브란스 기독병원 응급실에서 케타민을 이용한 진정법을 시행한 현황에 대해 알아보았다. 2010년 1월에서 2014년 5월까지 치과적 응급처치를 위해 의뢰된 만 18세 이하의 환자들의 기록이 수집되었으며, 연령, 성별, 시행된 치과적 치료, 케타민 진정법 시행 여부에 대한 자료를 분석하였다. 총 659명의 소아 환자가 치과적 응급처치를 필요로 하였으며, 이중 118명이 케타민 진정법이 시행되었다. 조사 결과 열상의 봉합을 시행한 환자에서 진정법이 더 많이 시행되었고, 연령이 어릴수록 진정법이 시행되었던 상관성이 확인되었다. 케타민 진정법은 치과의사 단독으로 사용하지 않아야 하지만, 응급실에서 1차 진료를 담당하는 치과의사는 케타민 진정법이 적용된 환자들을 쉽게 접할 수 있다. 따라서, 응급실에서 근무하는 치과의사는 케타민의 임상적 효과, 고려사항, 그리고 발생 가능한 합병증 및 대처 방안에 대해 숙지하고 있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Children commonly experience orofacial injuries and often need emergency treatment. Due to fear and anxiety, children tend to be uncooperative in emergency rooms. Ketamine hydrochloride is a well-known sedative agent at medical-based emergency rooms which has been used for procedural sedation. In th...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하지만 치과적인 치료가 요구되는 응급 상황에서 케타민을 이용한 깊은 진정법이 어떻게 시행되고 있는지 그 현황에 대해 조사한 연구는 없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약 5년간 본원 응급실에 내원한 소아 및 청소년환자에서 치과적인 처치를 위해 케타민 진정법을 시행한 현황에 대해 알아보고, 케타민의 사용에 대해 고찰해보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약 5년간 종합병원 내의 응급실에서 18세 이하의 소아 및 청소년의 치과적 응급 치료시 케타민 투여 현황에 대해 조사하였으며, 응급실에서 1차 진료를 시행하는 치과의사 또한 많은 수의 환자를 접하게 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조사 결과 케타민 진정법은 봉합을 시행하는 경우에 유의한 상관성을 가졌으며(p < 0.
  • 본 연구에서는 일반 응급실에서 치과치료를 위해 케타민 진정법을 시행하였던 소아 환자들의 현황에 대해 알아보았다. 총 659명의 환아 중 118명에서 진정법을 시행하였고, 6세 이하의 어린이, 그리고 열상의 봉합을 시행한 경우가 가장 많았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케타민 투여로 인하여 나타날 수 있는 부작용은? 약물의 특성상 눈을 뜨거나, 움직이거나 구토 증세 등이 나타날 수 있으며, 타액분비도 증가한다. 케타민 투여로 인한 부작용으로 후두경련과 무호흡증이 발생될 수 있으며, 깊은 진정을 유도하는 케타민은 기도확보가 가능하도록 장비와 전문인력이 갖추어진 환경에서 사용되어야 함이 강조되고 있다4,5,7-9).
케타민으로 유도된 마취인 해리성 마취의 특징은? 일반 응급실에서 많이 사용되는 진정용 약제는 포수클로랄(chloral hydrate)과 케타민(ketamine hydrochloride) 등이며3), 특히 케타민은 신체 고정(immobilization)이 필요한 응급처치 상황에서 이상적인 소아 진정 제재로서 그 사용이 보고된 바 있다4-6). 케타민으로 유도된 마취는 해리성 마취(dissociative anesthesia)로, 환자가 눈을 뜬 채 깨어있는 것처럼 보이며, 불수의적 근육운동도 가능하지만 주변 환경을 인지하지 못하고 강력한 진통과 기억상실 효과를 보인다. 케타민 투여 시 혈압과 심박수는 비록 증가하지만, 다른 진정제에 비해 호흡 억제에 미치는 영향이 적어 시술 동안 자발호흡은 잘 유지된다.
치과의사로서 깊은 진정을 유도하는 케타민의 사용이 제한적인 이유는? 치과의사로서 깊은 진정을 유도하는 케타민의 사용은 제한적이다. 진통 및 진정 효과와 안정성을 가지는 장점에도 불구하고 심각한 부작용의 발생 위험성으로 인해 기도유지와 호흡관리에 능숙하지 않은 치과의사는 사용이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또한 케타민 투여 후 후두반사가 유지되기는 하지만 약간의 저하도 일어나기 때문에, 즉시 기도 확보 및 호흡 유지가 가능할 수 있도록 전문 인력과 장비가 갖추어져야만 케타민 진정법이 이루어져야 한다7).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Petersson EE, Andersson L, Sorensen S : Traumatic oral vs non-oral injuries. Swed Dent J, 21:55-68, 1997. 

  2. Kang CM, Lee HS, Choi HJ, et al. : The Distribution of Patients and Treatment Trends in the Department of Pediatric Dentistry, Yonsei University Dental Hospital for Last 5 Years. J Korean Acad Pediatr Dent, 41:134-144, 2014. 

  3. Choi SC, Kim JW : Pediatric Procedural Sedation and Analgesia in the Emergency Department. Journal of Soonchunhyang Medical Science, 12:321-330, 2006. 

  4. Green SM, Nakamura R, Johnson NE : Ketamine sedation for pediatric procedures: Part 1, A prospective series. Ann Emerg Med, 19:1024-1032, 1990. 

  5. Green SM, Rothrock SG, Lynch EL, et al. : Intramuscular ketamine for pediatric sedation in the emergency department: safety profile in 1,022 cases. Ann Emerg Med, 31:688-697, 1998. 

  6. Seo JP, Park JS, Hwang TS, et al. : Ketamine Use for Pediatric Sedation in Emergency Room. J Korean Soc Emerg Med, 11:339-344, 2000. 

  7. Hollister GR, Burn JM : Side effects of ketamine in pediatric anesthesia. Anesth Analg, 53:264-267, 1974. 

  8. Green SM, Johnson NE : Ketamine sedation for pediatric procedures: Part 2, Review and implications. Ann Emerg Med, 19:1033-1046, 1990. 

  9. Tintinalli JE, Stapczynski JS, Ma OJ, et al., Tintinalli's Emergency Medicine: A Comprehensive Study Guide, 7e. The McGraw-Hill Companies, 283-290, 2011. 

  10. Jo YS, Kim KW : The Study of Anesthetic effect Using Ketamine, Midazolam, Glycopyrrolate in the Operation of Pediatric Patients. J Korean Assoc Oral Maxillofac Surg, 24:198-204, 1998. 

  11. Yang YM, Shin TJ, Yoo SH, et al. : Survey of Sedation Practices by Pediatric Dentists. J Korean Acad Pediatr Dent, 41:257-265, 2014. 

  12. Kim SO : A Survey of Non-Emergency and Emergency Deep Sedation using Sevoflurane Inhalation for Pediatric or Disabled Patients. J Korean Acad Pediatr Dent, 41:18-26, 2014. 

  13. Min JH, Do HS, Hong SW, et al. : The Comparison of Sedative Efficacy and Safety of Oral Chloral Hydrate and Intramuscular Ketamine in Children for Primary Repair in Emergency Department. J Korean Soc Emerg Med, 17:623-629, 2006. 

  14. Bredmose PP, Grier G, Davies GE, Lockey DJ : Prehospital use of ketamine in paediatric trauma. Acta Anaesthesiol Scand, 53:543-545, 2009. 

  15. Baier K, Milgrom P, Russell S, et al. : Children's fear and behavior in private pediatric dentistry practices. Pediatr Dent, 26:316-321, 2004. 

  16. Rosenberg M : Oral ketamine for deep sedation of difficult-to-manage children who are mentally handicapped: case report. Pediatr Dent, 13:221-223, 1991. 

  17. Green SM, Rothrock SG, Hestdalen R, et al. : Ketamine sedation in mentally disabled adults. Acad Emerg Med, 6:86-87, 1999. 

  18. Kim SJ, Lim DY, Lee JG : A Experimental study of the Intramuscular Use of the Ketamine for Anesthesia of the Pedodontic Patients in 5 Cases. J Korean Acad Pediatr Dent, 9:85-90, 1982. 

  19. Lee JH, You JS, Cho YS, et al. : The Clinical Effects of Adjunctive Midazolam During Ketamine Procedural Sedation in Pediatric Emergency Patients. J Korean Soc Emerg Med, 16:78-82, 2005. 

  20. Burnett AM, Watters BJ, Barringer KW, et al. : Laryngospasm and hypoxia after intramuscular administration of ketamine to a patient in excited delirium. Prehosp Emerg Care, 16:412-414, 2012. 

  21. Cho YS, Kim KH, Lim H, et al. : Utility of Capnography During Intramuscular Ketamine for Procedural Sedation in Children. J Korean Soc Emerg Med, 21:704-708, 2010. 

  22. Lee KU, Cho NS, Kim YB : The Effect of Ketamine Hydrochloride. J Korean Soc Emerg Med, 7:280-287, 1996.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