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패션브랜드 확장시 모 브랜드와의 자아이미지 일치성과 지각된 위험, 제품지식이 확장제품의 태도에 미치는 영향 - 조정적 역할을 중심으로 -
The effect of congruency of parent brand image with self-image, perceived risk, and product knowledge on the attitude towards extended product in fashion brand extension - Focusing on moderating effects - 원문보기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 복식문화연구, v.23 no.1, 2015년, pp.63 - 73  

이영주 (성신여자대학교 의류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congruency of parent brand image with self-image, perceived risk, and product knowledge on the attitude towards extended product in fashion brand extension. A survey questionnaire was used to collect data from 170 female college students and...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패션브랜드 확장 시 모 브랜드의 자아이미지 일치성, 확장제품에 대한 지각된 위험, 제품지식이 확장 브랜드 제품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데 있다. 여기서 한 단계 더 나아가 모 브랜드의 자아이미지 일치성과 조정변수로서 지각된 위험, 제품지식이 확장 브랜드 제품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고자 한다.
  • 또한 모 브랜드가 브랜드 확장을 한다는 기사와 함께 1차 예비조사를 통해 추출된 확장제품의 범주를 화장품으로 제시하였으며, 모 브랜드 코데즈 컴바인이 브랜드 확장을 통해 화장품을 출시할 경우, 이에 대한 응답자들의 호의도와 구매의도를 통해 확장제품의 태도를 측정하였다. 또한 설문을 시작하기 전에 모 브랜드에 대한 히스토리를 알려줌으로써, 응답자별로 상이하게 알고 있는 브랜드에 대한 지식수준을 평준화시키고자 하였다. 총 200부의 설문지가 수거된 후, 불완전한 설문을 제외한 170부가 최종분석에 사용되었다.
  • 본 연구는 패션브랜드 확장 시 모 브랜드 이미지와 소비자의 자아이미지의 일치성이 확장제품의 태도에 미치는 영향과 조정변수로써 지각된 위험과 제품지식의 역할을 알아보았다. 본 연구의 결과와 시사점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패션브랜드 확장 시 모 브랜드의 자아이미지 일치성, 확장제품에 대한 지각된 위험, 제품지식이 확장 브랜드 제품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데 있다. 여기서 한 단계 더 나아가 모 브랜드의 자아이미지 일치성과 조정변수로서 지각된 위험, 제품지식이 확장 브랜드 제품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고자 한다. 패션브랜드 확장 시 확장된 제품의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를 파악함으로써 구매행동 전단계인 태도형성에 영향을 미치는 소비자의 심리적 기재를 파악하여 브랜드 확장 관련 의사결정에 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하는데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 여기서 한 단계 더 나아가 모 브랜드의 자아이미지 일치성과 조정변수로서 지각된 위험, 제품지식이 확장 브랜드 제품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고자 한다. 패션브랜드 확장 시 확장된 제품의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를 파악함으로써 구매행동 전단계인 태도형성에 영향을 미치는 소비자의 심리적 기재를 파악하여 브랜드 확장 관련 의사결정에 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하는데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브랜드 확장이란 무엇인가? 브랜드 확장은 기업이 새로운 브랜드를 가지고 새로운 시장에 진입할 때의 높은 재무적인 비용과 실패위험에 대한 부담을 줄이고, 새로운 브랜드의 성공에 요구되는 시간을 단축하고자 소비자들에게 친숙한 기존의 브랜드를 이용하여 새로운 시장에 진입하는 브랜드 관리 전략이다(Kim, 2006). Kim (2009)의 연구에 의하면, 모 브랜드의 이미지와 소비자 자아이미지의 일치성이 높을수록 확장제품에 대한 호의도와 구매의도가 높게 나타났다.
패션업체가 브랜드의 가치를 높여 좋은 이미지를 유지하기 위해 막대한 비용을 투자해 온 이유는 무엇인가? 패션브랜드는 제품을 구별하게 하는 실질적 수단 이외에 소비자의 심리적 가치를 증가시키거나 감소시키는 중요한 역할을 하기 때문에 패션 제품의 경우 브랜드의 명성이나 신뢰성은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패션업체는 브랜드의 가치를 높여 좋은 이미지를 유지하기 위해 막대한 비용을 투자해 왔다.
지각된 위험이란 무엇인가? Song and Yoo(2008)는 ‘지각된 위험이란 구매 행동의 결과에 대하여 소비자가 주관적 불확실성과 구매 후 결과로 생길 수 있는 손실에 관해 주관적으로 지각하고 있는 위험’이라고 정의하였다. 지각된 위험은 지각되는 내용이나 성질에 따라 여러 유형으로 다르게 분류될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7)

  1. Ahn, K. H., & Li, J.(2006). A study of the effect of congruity between parent brand image and self-image on consumer's brand attitude toward extended brand product. Journal of Marketing Management Research, 11(3), 85-103. 

  2. Birdwell, A. E.(1968). A study of the influence of image congruence on consumer choice. The Journal of Business, 41(1), 76-78. 

  3. Brucks, M.(1985). The effects of product class knowledge on information search behavior.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12(1), 1-16. 

  4. Brucks, M.(1986). A typology of consumer knowledge content. In R. J. Lutz (Ed.). Advances in consumer research (pp. 58-63). Provo, UT: Association for Consumer Research. 

  5. Chang, Y. Y., & Park, E. J.(2003).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risk and consumer satisfaction of beauty service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metology, 9(1), 120-138. 

  6. Cho, E. S.(2004). A study on brand extensions of apparel produc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Korea University, Seoul. 

  7. Choi, M. H.(2005). A study on the influence of self-congruity between brand personality and self-image on attitude toward brand. Unpublished master's thesis, Myongji University, Seoul. 

  8. Choi, S. H.(2011). The effect of the correspondence between self-image and brand image on masstige brand preference.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9. Choi, Y. J.(2003). An exploratory study on effect of brand equity on extended brand in fashion brand extension. Unpublished master's thesis. Hankuk University of Foreign Studies, Seoul. 

  10. Chung, M. S.(2002). The effect of fashion brand awareness and brand loyalty on brand expansion.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ung-ang University, Seoul. 

  11. Engel, J. E., Blackwell, R. D., & Miniard, P. W. (1995). Consumer behavior (8th ed.) Forth Worth, TX: The Dryden Press. 

  12. Frewer, L. J., Howard, C., & Shepherd, R.(1998). Understanding public attitudes to technology. Journal of Risk Research, 1, 221-235. 

  13. Gronhaug K., Hem, L., & Lines, R.(2002). Exploring the impact of product category risk and consumer knowledge in brand extensions, Journal of Brand Management, 9(Jul.), 463-476. 

  14. Han, J. Y.(2004). Study on the relationship of congruence between brand personality and selfimage in terms of consumers' attitude towards brands. Unpublished master's thesis, Hong-Ik University, Seoul. 

  15. Hong, H. S., & Hong, B. S.(2008). Perceived risks and benefits to natural dyeing product -The role of product knowledg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32(9), 1343-1355. 

  16. Hwang, S. J., Song, K. E., & Lee, Y. K.(2003). The influence of fashion involvement, familiarity and expertise of negative information as moderate variable on extended apparel brand evaluati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27(1), 9-17. 

  17. Hwang, Y. Y.(2001). The role of search motiva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xternal consumer information search and prior knowledge. Journal of Consumer Studies, 12(2), 1-22. 

  18. Jacoby, J., & Kaplan, L. B.(1972). "The Components of Perceived Risk" in Proceedings 3rd Annual Conference Association for Consumer Research, M. Venkatesan(ed.), Champaign, IL: Association for Consumer Research, 382-393. 

  19. Jung, J. H.(2003). The effects of discount size of extension brand on parent brand: the moderating roles of product level similarity and brand concept. Unpublished master's thesis, Sogang University, Seoul. 

  20. Kim, B. G.(2009). The effect of congruence of fashion brand image with self-image on the attitude towards brand extension. Unpublished master's thesis, Sungkyunkwan University, Seoul. 

  21. Kim, H. J.(2002). The conceptual framework of building fashion brand equity: Focused on casual wear brand.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22. Kim, H. S.(2006). The influence of congruence between parent brand image and self-image on attitude toward extended brand.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23. Kim, J. Y.(2001). Consumers' risk perception, risk reduction behavior and purchase intention in internet shopping of apparel. Unpublished master'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24. Kim, N. H., & Hwang, S. J.(2001). The comparative study on the differences among choice of information source, risk perception and benefits sought according to the purchase type of the men's suit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51(7), 123-134. 

  25. Kim, Y., & Hwang, S. J. (2000). A study on the degree of self-monitoring, perceived risk and the appeal types of advertising impact on cosmetic purchase behavior.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38(6), 59-70. 

  26. Kim, Y. S.(2003). Perceived risk, satisfaction and intention on rental clothing.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53(7), 29-36. 

  27. Lee, T. H.(2006). The influence of congruence between parent brand personality and self-image on attitude toward extended brand: The moderating effects of perceived fit and previous knowledge. Unpublished master's thesis, Yeungnam University, Gyeongbuk. 

  28. Lee, Y. K.(2002). The influence of the congruence between brand personality and self-image on consumer statisfaction consumer-brand relationship and brand loyalty.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29. Lee, Y. K.(2007). A study on impulsive buying by CATV home shopping characteristics, internal information search of apparel product purchaser. Unpublished master's thesis, Hanyang University, Seoul. 

  30. Li, J.(2006). A study of the effect of congruity between parent brand image and consumer selfimage on consumer's brand attitude toward extended brand product. Unpublished master's thesis, Inha University, Incheon. 

  31. Lim, Y. J., & Ryou, E. J.(2001). A study of the effective factors on the purchase intention of Saenghwal-Hanbok.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39(6), 123-133. 

  32. Mackenzie, S. B., Lutz, R. J., & Belch, G. E.(1986). The role of attitude toward the ad as a mediator of advertising effectiveness: A test of competing explanations.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23(2), 130-143. 

  33. Mowen, J. C., & Minor, M.(1998). Consumer behavior (5th ed.). Upper Saddle River, N.J: Prentice Hall. 

  34. Murray, K. B.(1991). A test of service marketing theory: Consumer acquisition activities. Journal of Marketing, 55, 10-25. 

  35. Nam, M. W., & Koh, A. R.(2004). Urban House wives' clothing evaluative criteria, perceived risks on apparel buying through cable TV home shopping.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ostume, 54(6), 1-13. 

  36. Park, H. C.(2006). A study on the attitude effect of brand image and self-image. Unpublished master's thesis, The University of Seoul, Seoul. 

  37. Park, J. Y., Choi, I. H., & Jang, K. S. (2001). The influence of self-congruity between brand personality and self-image on attitude toward brand. Asia Marketing Journal, 3(2), 92-114. 

  38. Ross, I.(1971). Self-concept and brand preference. Journal of Business, 44, 38-50. 

  39. Seo, E. J.(1994). A study of the brand image strategy for brand expansion. Unpublished master's thesis, Sookmyung Womens' University, Seoul. 

  40. Shin, B. S., & Park, J. Y.(2006). The effect of the Consumer's perceived risk on the level of information search. Journal of Global Scholars of Marketing Science, 16(3), 143-167. 

  41. Siegrist, M., & Cvetkovich, G.(2000). Perception of hazards: The role of social trust and knowledge. Risk Analysis, 20(5), 713-719. 

  42. Sim, Y. J.(2005). A study on the influential factors of the original brand toward sports wear brand extension. Unpublished master's thesis, Sungkyunkwan University, Seoul. 

  43. Sirgy, M. J.(1982). Self-image/product image congruity and advertising strategy. Development in Marketing Science, 5, 129-133. 

  44. Son, G. S.(2004). The influence of congruence between parent brand image and self-image on attitude toward extended brand.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ung-ang University, Seoul. 

  45. Son, M. J.(2010). The effect of the self-congruity between brand image and self-image on attitude toward brand extension: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the brand attachment. Unpublished master's thesis, Hanyang University, Seoul, Korea. 

  46. Song, E. G., & Yoo, H. J.(2008). The covariance structural analysis of perceived risk on food safety consciousness and food safety pursuit between Seoul & Shanghai consumers: focused on food consumption. Journal of Consumer Studies, 19(3), 215-244. 

  47. Zajonic, R. B., & Markus, H.(1982). Affective and cognitive factors in preferences.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9(2), 123-13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